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적 도시환경의 보존형태 분석을 통한 유산적 가치 고찰 - 수원 화성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Heritage Value through the Analysis about the Preservation Status of Historic Urban Environment - Focusing in Suwon Hwaseong Fortres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811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수원 화성 내 도시환경의 보존형태를 분석하여 보전가치가 있는 역사적 자원들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시환경 보전에 있어 시간의 지속성을 갖춘 자원의 보호와 장소적 특...

      이 논문은 수원 화성 내 도시환경의 보존형태를 분석하여 보전가치가 있는 역사적 자원들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시환경 보전에 있어 시간의 지속성을 갖춘 자원의 보호와 장소적 특징이 남아있는 자원의 관리가 중요하기에, 보존형태 내부의 도시환경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자 1911년에 제작된 지적원도와 현재의 도면을 필지의 특성을 담고 있는 지형, 수공간, 가로, 대지의 네 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둘째, 도면에 기초한 문헌연구, 현장답사, 인터뷰의 내용을 토대로도시환경의 변화내용을 연구하였고, 이를 보존-일부 보존-소멸의 척도로 구분하여 보존형태를 고찰하였다. 셋째, 도시환경에서오랜 기간 보존되고 있는 자원과 완전히 보존되고 있지는 않지만 장소적 특징이 남아있는 자원을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형과 수계의 자연적 요소와 가로와 같은 도시구조적 요소가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변했더라도 지반환경의 속성을 보존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과거의 도시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지형, 수공간, 가로, 대지의 보존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을 보다 큰 맥락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화성의 역사적 정취도 보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셋째, 현재 시점에서 오랜 기간 지속되어온 자원에는 근대에 조성된 공공시설들이 많이 있어 화성 내 역사문화자원을 조선시대 외에도 다양한 시대적 켜로 읽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도시화 시기를 지나면서도 오랜 기간 보존된 필지와 가로가 최근의 역사문화복원사업으로 오히려 훼손되는 경우도 찾아볼 수 있어 이들을 신중히 다룰 필요가 있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historic valuable resources to conserve through the analysis about the preservation status of historic urban environment in Suwon Hwaseong Fortress. As for the conservation of urban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historic valuable resources to conserve through the analysis about the preservation status of historic urban environment in Suwon Hwaseong Fortress. As for the conservation of urban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protect the resources showing historical continuity and to manage the resources remaining characteristics of place, the analysis of the preservation status is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preservation of physical form and land use. This paper makes progress through three phase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urban environment in Hwaseong Fortress overall, it compares land registration original map in 1911 to current map in 2014 by the four items of topography, water environment, streets and sites. Next, changes of four items in urban environment have been reviewed further by the research of maps, relative literatures, field survey and interview, and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preservation-partially preservation-disappearance. After analysing preservation status, valuable urban historic cultural resources are drawn separately by being preserved continually and by being preserved partially but remaining characteristics of place. As a result, natural factors of topography and waterway and urban factor of streets are remained considerably preserved. And even if these factors are changed, the ground environment features support to understand historic urban context. Second, as preservation of topography, water environment, streets and site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tegrated conservation frameworks are needed to enhance urban historic landscape. Third, modern historic resources in Hwaseong are remained unchanged and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urban historic environment by the layers of various times besides Joseon Dynasty period. Fourth, historic sites and streets which had been preserved through urban development process are destroyed by recent historic cultural restoration policies, therefore urban historic resources worthy of conservation should be treated prudent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