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과 직무표준안 개발 = Study on School Social Worker`s Job Analysis and Standard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50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 사례를 통해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 경로와 절차 그리고 분석결과를 살펴보고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조사1회, 3회의 초점집단...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 사례를 통해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 경로와 절차 그리고 분석결과를 살펴보고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조사1회, 3회의 초점집단 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거쳐 전국 학교 상주 학교사회복지사 1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71부의 자료에 대한 2차 자료분석을 통하여 직무분석이 이루어졌다. 직무분석의 전체 과정은 직무분석을 위한 팀을 구성하여 진행되었으며 준비 및 설계, 직무정보수집, 분석, 분석결과제시 단계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직무분석은 학교사회복지 직무분류, 직무등급평가, 직무분포평가, 직무비중평가, 표준직무 제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직무분류 및 직무등급 평가결과, 현재 진행 중인 학교사회복지 실천은 6개의 세부직무와 총 20개의 세부직무들이 분류되어졌다. 학교사회복지사 직무의 우선순위는 직무차원에서 빈도, 중요도, 우선도, 난이도 모두를 고려하였으며 그 결과 개별개입, 지역사회개입, 가족개입, 일반행정 및 기타, 학교체계지원, 집단개입의 순으로 조사되어졌다. 또한 직무 비중평가 결과, 개별개입직무가 25.18로서 가장 높은 비중으로 조사되어졌고 가족개입과 학교체계지원직무는 10.25, 11.14로 비교적 낮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이상적으로 적절하다고 평가되는 비중과의 차이에 있어 가족개입과 지역사회개입은 현재비중에 비해 높아져야할 비중으로 나타났고, 일반행정 및 기타업무의 비중은 현재비중에 비해 낮아져야 할 영역으로 나타났는데 실질적으로 이러한 업무비중상의 개선을 위해 학교교육 차원, 학교사회복지 사협회 차원, 직무자 개인차원 등에서 실질적인 교육훈련과 직무관리방안수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직무분석은 결과에 대한 분석뿐 아니라 전문직 내부에서 직무관리 및 인력양성에 활용되어져야만 의미가 있다는 전제하에 본 연구에서는 직무분석의 차후 활용방안으로서 학교사회복지사 직무체계 확립 및 관리, 교육훈련 및 인력개발, 인적자원 활용, 자율적 직무관리 도구로서의 기능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course and procedure of school social worker`s job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reviewed and its utilization measures were presented through the case studies. For this purpose, a preliminary examination and th...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course and procedure of school social worker`s job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reviewed and its utilization measures were presented through the case studies. For this purpose, a preliminary examination and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done and questionnaires, for the survey, were distributed to 109 school social workers resided in schools all over the nation. Job analysis was done by means of the second data analysis over the 71 returned questionnaires. A job analysis team was established to precede the overall job analysis and the process included preparation, design,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the presentation of the results. Job analysis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job classifica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the evaluation of job ratings, the evaluation of job distribution, the evaluation of relative importance of jobs, and the presentation of job standard. From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job classification and job ratings, the current practice of school social works was classified to 6 sub-jobs and 20 sub-jobs respectively. As for setting up the priority of school social worker`s job, all the factors including frequency, importance, priority, and difficulty were considered, and the results were seen in order of individual intervention, community intervention, family intervention, general administration and others, school system support, and group intervention. In addition, in regard to the evaluation of relative importance of jobs, an individual intervention job was the highest with 25.18 and jobs for family intervention and school system support were found relatively low to be 10.25 and 11.14, respectively. Comparing to ideal importance, jobs for family intervention and community intervention were required to be increased compared to current importance and a general administrative job and others were required to be lowered compared to current importance. For the substantial improvement of problems related with job importance, it was resulted that practical training programs and measures to manage jobs at the levels of school education, the school social worker association, and individuals are required. Taking into account considerations that job analysis is valuable when it is used for job management and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within the profession as well as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measures to utilize job analysis as a tool for establishing the system of school social worker`s job, training and developing of human resources, and utilizing of human resources, and an autonomic job management tool as wel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종태, "현대인사관리론" 박영사 125-, 2003

      2 남기민,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발달과 과제" 현학사 2003

      3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학교상주형 학교사회복지 4차년도 사업평가보고서" 2006

      4 전재일, "학교사회복지제도하의 과제와 전략 지방화와 학교사회복지 발전방향" 5-34, 2004

      5 홍순혜,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와 역할에 관한 연구의 토론 한국학교사회복지의 현황" 77-85, 2004

      6 노혜련,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와 역할에 관한 연구" 23-69, 2004

      7 윤철수,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과정과 의미: 현실기반이론 접근" 2004

      8 이경은, "학교사회복지사의 업무와 역할 한국학교사회복지의 현황" 87-90, 2004

      9 윤철수, "학교사회복지 운영 및 실습실태에 관한 연구" (7) : 49-78, 2004

      10 이상균, "학교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평가-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의 현황" 1-22, 2004

      1 최종태, "현대인사관리론" 박영사 125-, 2003

      2 남기민,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발달과 과제" 현학사 2003

      3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학교상주형 학교사회복지 4차년도 사업평가보고서" 2006

      4 전재일, "학교사회복지제도하의 과제와 전략 지방화와 학교사회복지 발전방향" 5-34, 2004

      5 홍순혜,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와 역할에 관한 연구의 토론 한국학교사회복지의 현황" 77-85, 2004

      6 노혜련,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와 역할에 관한 연구" 23-69, 2004

      7 윤철수,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과정과 의미: 현실기반이론 접근" 2004

      8 이경은, "학교사회복지사의 업무와 역할 한국학교사회복지의 현황" 87-90, 2004

      9 윤철수, "학교사회복지 운영 및 실습실태에 관한 연구" (7) : 49-78, 2004

      10 이상균, "학교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평가-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의 현황" 1-22, 2004

      11 박경현, "학교사회복지 시범사업의 성과-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사업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시범사업의 성과와 발전방향" 3-23, 2006

      12 진혜경, "학교 내의 복지 전문 인력과 교사의 협력관계 연구" 2005

      13 김달님, "학교 내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사례연구" 가톨릭대학교 2002

      14 송상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직무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5-8, 1997

      15 신영수, "직무분석의 이론과 실제" 제일제당 인사팀 2002

      16 김성국, "직무분석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연구" 16 : 226-227, 2002

      17 신택현, "직무분석 (Job Analysis)의 현황과 과제" 222-225, 1995

      18 이민진, "지역중심형 학교사회사업가의 역할 수행에 따른 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 2002

      19 유영준, "지역사회복지관에서 학교사회사업가의 역할" (창간) : 33-59, 1998

      20 이기종,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2002

      21 최재성, "정보화를 위한 업무표준화 연구" 36-, 2002

      22 최재성, "장애인복지관 정보전산화를 위한 세부업무표준화 모형연구"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2003

      23 이용교, "일선 행정기관 사회복지담당자의 직무에 관한 연구" (16) : 1990

      24 김기환, "의료사회사업가의 직무표준화를 위한 연구" 대한의료사회사업가협회 1997

      25 이경진, "의료사회사업가의 직무분석을 통한 정원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41-42, 2001

      26 최보영, "우리나라 학교사회사업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2004

      27 휴넷, "실무자를 위한 직무분석 ; 직무기술서, 직무명세서 작성" 2002

      28 정무성, "사회복지조직 인사관리의 원칙과 실제" 101-, 2001

      29 윤현숙, "사회복지사의 직무표준화를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사협회ㆍ보건복지부 2004

      30 강흥구, "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과 직무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7 통 (7 통): 33-62, 2005

      31 황성철, "사회복지관 수퍼비전의 실태와 효과성" 한국 사회복지관 협회 2004

      32 김경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신앙과 지성사 2002

      33 안정선,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T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8) : 243-274, 2005

      34 조소연, "능력주의의 실천적 대안:역량모델구축사업을 중심으로" (봄) : 64-65, 2002

      35 Kadushin, A, "Supervision in social w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2

      36 "Study on School Social Worker’s Job Analysis and Standardization"

      37 Allen-Mears, P, "Social Work Services in Schools A National Study of Entry-Level Tasks" 39 (39): 560-565, 1994

      38 Freeman,M, "School Social Work Overview,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8th ed.)" NASW Press 2087-2097, 1990

      39 Lewis, J. A, "M an agement of hum an service progr ams" Wadsworth Press 2001

      40 A national studyof educational reform,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services in schools" 207-219, 1987

      41 Foster, Mark R, "Effective Job Analysis Methods" Jossey-Bass 1998

      42 김정신, "Dacum법에 기초한 보육교사 직무분석" 12 : 2004

      43 Alderson, "Another perspective on tasks in school social work" 591-600, 1973

      44 Social Work, "Analysis of tasks in school social work" 1977196-201

      45 Costin, "An analysis of the tasks in school social work" 274-285, 1969

      46 Nelson,C, "A job analysis of school social workers" Princeton" Educational Testing Service 1990

      47 성규탁, "21세기 한국사회복지행정의 방향" 1999

      48 정무성, "2003년 사회복지관 평가지표" 한국사회복지관협회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1.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5 2.11 2.512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