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어 양보 접속사의 생성 : 문법화적 관점에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개요] 이 연구에서는 양보를 나타내는 영어 접속사의 의미와 화용에서의 차이점을 통시적 및 공시적으로 고찰하고 그 의미변화와 의미, 화용상의 차이를 가능하게 하는 문법화의 기제와 그...

      [개요] 이 연구에서는 양보를 나타내는 영어 접속사의 의미와 화용에서의 차이점을 통시적 및 공시적으로 고찰하고 그 의미변화와 의미, 화용상의 차이를 가능하게 하는 문법화의 기제와 그 차이점이 갖는 이론적인 의의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 영어의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사들의 어원은 'concomitance of circumstance', 'concomitance of time', 'concomitance of space', 'concomitance of manner'와 같은 4가지의 큰 범주에서 발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4범주에서 발달한 영어 양보 접속사 7항목(though, although, even though, while, yet, whereas, however)을 분석대상으로 한다.

      [분석내용] 위에서 제시한 영어 양보 접속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 다섯 가지로 요약되는 분석을 시행하고자 한다.

      첫째, 영어의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사들의 어휘적 근원을 확인하여(기초 연구에서 대략적인 분류가 이루어졌으나 검토를 통해 확정 예정) 이들의 근원을 범주화함으로써, Bybee et al.(1994)에서 제시한 이른바 어원결정가설(Source Determination Hypo thesis)에 따라, 영어 양보 접속사의 문법화 채널(gramm aticalization channel, Heine et al. 1991)은 무엇인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어원 패턴에 대한 연구는 특정한 기능을 담당하는 문법요소들이 모든 가능성으로부터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어원적인 특징에 경로들이 제한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언어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적 제약의 한계를 밝혀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어휘적 항목들이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사로 문법화 하는 과정에서 이 발달과정에 관여하고 있는 인지적 동력(cognitive motivation)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이 분석과정에서 주목할 것은 의미변화가 한 기제에 의해 일어나는지, 그리고 기존학계에서 가장 빈번하게 의미변화의 기제로 간주되어온 은유, 환유, 화용적 추론, 주관화 등이 얼마나 어의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분석한다. 아울러 원래의 어휘적 의미가 후기의 '양보'의 의미에 얼마나 투영되고 있고 얼마나 탈색되어 있는지, 이전의 의미에 의해 기증적인 제약이 있는지(즉, 의미지속성의 원리 'Persistence'), 이러한 의미변화에 따라 명제와의 상관성(Relevance; Bybee 1985, Bybee et al. 1985, 1994)에 따른 분포패턴이 영향을 받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게 된다.

      셋째, 양보를 나타내는 접속사의 의미를 사용 영역 'Domains of Use'(Sweetser 1990)측면에서 살펴본다. Sweetser (1990)의 사용영역(Domains of Use)을 확대 적용하여 content domain, epistemic domain, speech act domain, textual domain의 네 층위(see Crevels 2000)에서 양보 접속사의 의미를 분석한다. 사용영역(Domains of Use)에 따른 의미 분석은 공시적 및 통시적으로 이루어진다. 양보 접속사 7항목의 역사적인 데이터를 사용 영역에 따라 분류하고 의미의 통시적인 변화 과정 또한 사용영역(Domains of Use)에 따라 분석한다. 사용영역(Domains of Use)에 따른 양보 접속사의 공시적인 의미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BNC(British National Corpus)등의 현대영어 코퍼스를 이용해서 양보 접속사의 사용 빈도수를 조사한다.

      넷째, 사용영역(Domains of Use)에 따른 양보 접속사의 의미상의 차이를 화자의 주관적인 신념이나 태도를 표현하는 주관성(Subjectivity; Traugott 1990)과 같은 인지문법의 원리에 적용하여 분석한다. 이와 같은 양보 접속사의 의미와 화용상의 차이가 어떤 통시적인 변화 과정과 연관이 있으며 어원 및 의미적으로 어떠한 요소에 기인한 것인지를 밝히기 위해 주관화(Subjectification; Traugott 1990, 1995, 1999)와 상호 주관화(Intersubjectification; Traugott 1990, 1995, 1999), 전문화(Specialization; Hopper 1991), 의미지속성(Persistence; Hop
      per 1991)과 같은 문법화 원리를 적용하여 분석한다.

      다섯째, 공시적인 현대영어 코퍼스(British National Corpus, COLT, Brown Corpus, FROWN Corpus)를 이용하여 양보절의 위치에 따른 의미와 화용상의 차이를 확인한다. 양보절이 주절 앞에 올 때와 주절 뒤에 올 때, 어떠한 의미, 화용적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위에서 제시한 현대 영어 코퍼스를 이용하여 양보 접속사의 사용이 장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 격식성(formality)과의 연관성 또한 살펴본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