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딕테와 미디어 예술: 상실과 소외의 메타포 = Dictėe and Artistic Media As a Metaphor for Loss and Margina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76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postmodern experimental work of art, Theresa Hak Kyung Cha’s Dictėe and her artistic media leave the readers struggling to find a way out of a very perplexing linguistics and visual maze. Characteristic of her exceptionally poetic and conceptu...

      As a postmodern experimental work of art, Theresa Hak Kyung Cha’s Dictėe and her artistic media leave the readers struggling to find a way out of a very perplexing linguistics and visual maze. Characteristic of her exceptionally poetic and conceptual works is an intense engagement with language. One of the difficulties with understanding Dictėe is its chaos narrative technique, which is the most embodied form of story. With its violations of English grammar, use of mixed media, multiple languages, and other seemingly random elements, Dictėe radically disjointed poetics resisted easy identification. Dictėe is composed of quotations, uncaptioned images, letters, and ventriloquized voices, interspersed with what appear to be Cha’s reconstructions of history, memories, dreams, and parables.
      Using simple, child-like language, the persona tells the reminiscence of her mother in association with sustenance and home. Exile and diaspora in the text operate on a linguistic level.
      The women as characters in Dictėe and Cha’s artistic media are foreigners, exiled from their homes and therefore from their national language. The “loss of homeland” is central to Dictėe and her various media such as artist’ books, mail art, performances, slide shows, film, video, and installations. And the loss of homeland is always connected to a loss not simply of a native land but of language on both literal and a figurative level.
      Dictėe and Cha’s artistic media as poetic configuration basically serve as a metaphor for loss and marginal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포스트모더니즘 실험소설로서 차학경의 딕테와 그녀의 미디어예술작품은 언어학적 그리고 시각적인 난해함으로 작품이해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다분히 시적이고 추상적인 작품에서 ...

      포스트모더니즘 실험소설로서 차학경의 딕테와 그녀의 미디어예술작품은 언어학적 그리고 시각적인 난해함으로 작품이해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다분히 시적이고 추상적인 작품에서 언어가 차지하는 중요성과 비중은 몹시 크다고 할 수 있다. 딕테읽기가 어려운 점 중의하나는 작품에서의 카오스 화술 때문이다. 이 작품은 일반적인 문법에서 어긋나고 미디어용어와 다국적 언어를 혼용함으로써 단선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을 여실히 보여준다. 차학경은딕테에서 다양한 인용, 표제가 없는 이미지, 편지, 복화술 등을 이용해역사, 기억, 꿈, 우화를 재해석하고 재구성한다. 어린아이의 언어를 통해서 그녀는 어머니가 살아온 과정과 그녀가 살았던 고향이 그녀에게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설명하려 한다. 텍스트에서 작가는 고국을 잃은 망명과 디아스포라가 언어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그리고 언어가 망명자들이나 디아스포라 이주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추적해나간다. 딕테와 차학경의 다양한 미디어 예술작품에서의 인물들은고국을 떠난 망명자나 이주민들로서 그들은 동시에 언어를 잃어버린사람들로 묘사된다. 결국 차학경의 작품에서는 그것이 딕테와 같은문학작품이든 메일 아트, 공연, 오디오, 비디오, 영화, 설치와 같은 공연예술 전반이든 디아스포라 이주자로서 가지게 되는 근원적인 상실감과주변화 그리고 그로 인해 대두되는 말과 언어가 중요한 문제로 확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경숙, "차학경(Theresa Hak Kyung Cha)의 영상 실험시에 나타난 정체성과 역사의 문제"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57 (57): 101-116, 2013

      2 서경숙, "차학경(Theresa Hak Kyung Cha)의 받아쓰기(Dictee) 나타난 식민화된 여성의 육체" 인문과학연구소 33 (33): 265-280, 2006

      3 정재형, "차학경 예술론" 북코리아 61-85, 2013

      4 김종국, "차학경 예술론" 북코리아 40-60, 2013

      5 김현주, "동시 대 한국미술의 지형" 학고재 2009

      6 김홍희, "관객의 꿈: 차학경 1951-1982" 눈빛 출판사 70-83, 2003

      7 Lamm, Kimberly, "Transnational, National and Personal Voices" Transaction Publishers 43-65, 2004

      8 Frank, A. W., "The Wounded Storyteller: Body, Illness, and Ethics" U of Chicago P 2013

      9 Duncan, Pratti, "Tell This Silence: Asian American Women Writers and the politics of speech" U of Iowa Press 2004

      10 Cooley, Nicole, "Postmodernity and Cross-culturalism" Associated UP 2002

      1 서경숙, "차학경(Theresa Hak Kyung Cha)의 영상 실험시에 나타난 정체성과 역사의 문제"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57 (57): 101-116, 2013

      2 서경숙, "차학경(Theresa Hak Kyung Cha)의 받아쓰기(Dictee) 나타난 식민화된 여성의 육체" 인문과학연구소 33 (33): 265-280, 2006

      3 정재형, "차학경 예술론" 북코리아 61-85, 2013

      4 김종국, "차학경 예술론" 북코리아 40-60, 2013

      5 김현주, "동시 대 한국미술의 지형" 학고재 2009

      6 김홍희, "관객의 꿈: 차학경 1951-1982" 눈빛 출판사 70-83, 2003

      7 Lamm, Kimberly, "Transnational, National and Personal Voices" Transaction Publishers 43-65, 2004

      8 Frank, A. W., "The Wounded Storyteller: Body, Illness, and Ethics" U of Chicago P 2013

      9 Duncan, Pratti, "Tell This Silence: Asian American Women Writers and the politics of speech" U of Iowa Press 2004

      10 Cooley, Nicole, "Postmodernity and Cross-culturalism" Associated UP 2002

      11 Wong, Sau-ling, "Postcolonial Theory and the United States: Race, Ethinity, and Literature" UP of Mississippi 2000

      12 Ferens, Dominika, "Narrating Chaos: Theresa Hak Kyung Cha’s Dictee and Korean Fragmentary Writings" 57 : 25-35, 2019

      13 Li, Florence Hsiao-ching, "Imaginging the Mother/Motherland: karen tei Yamashita’s Tropic of Orange and Theresa Hak Kyung Cha’s Dictee" 30 (30): 149-167, 2004

      14 Kim, Hyo K., "Embodying the In-Between: Theresa Hak Kyung Cha’s Dictee" 46 (46): 127-143, 2013

      15 Joo, Hee-Jung, "Dismantling Bellicose Identities: Strategic Language games in Theresa Hak Kyung Cha’s DICTEE" 4 (4): 1-18, 2012

      16 Williams, Cynthia M., "Diaspora Literature: Unexpressed Discourse and Performativity in “Dictee” and “Mulberry and Peach: Two Women of China.”" UMI Dissertation Publishing 2010

      17 Cha, Theresa Hak Kyung, "DICTEE" U of California 2001

      18 Lin, Yi-Chun Tricia, "Asian American Novelists: A Bio-Bibliographical Critical Sourcebook" Greenwood Press 34-37,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4 0.479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