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적설의 동질지역 구분과 지역 차등화 = Homogeneous Regions Classification and Regional Differentiation of Snowfal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05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설은 우리나라의 법적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최근 기상현상에 의한 사회경제적 영향력을 함께 예보하는 영향예보가 부각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각 지역의 기후적 특징을 분석...

      대설은 우리나라의 법적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최근 기상현상에 의한 사회경제적 영향력을 함께 예보하는 영향예보가 부각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각 지역의 기후적 특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향예보의 기반마련을 위해 자기조직화지도를 활용하여 적설동질지역을 구분하여 지역별 적설 특징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적설동질지역은 7개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강설량 및 관측일수, 최대강설량을 이용하여 각 그룹의 특징을 구분했다. 대관령, 강릉시, 정읍시는 강설량이 많은 지역으로, 경상도는 강설량이 적은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선행연구와 비교결과 대표적인 지역이 잘 구분되었으나 강설의 특징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지역의 영향예보를 위한 정책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nowfall is an important natural hazard in Korea. In recent years, the socioeconomic importance of impact-based forecasts of meteorological phenomena have been highlighted. To further develop forecasts, we first need to analyze the climatic characteri...

      Snowfall is an important natural hazard in Korea. In recent years, the socioeconomic importance of impact-based forecasts of meteorological phenomena have been highlighted. To further develop forecasts, we first need to analyze the climatic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 this study, homogeneous regions for snowfall analysis were classified using a self-organizing map for impact-based forecast and warning services. Homogeneous regions of snowfall were analyzed into seven clus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investigated using snowfall, observation days, and maximum snowfall. Daegwallyeong, Gangneung-si, and Jeongeup-si were classified as areas with high snowfall and Gyeongsangdo was classified as an area with low snowfall.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representative areas were well distinguished, but snowfal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differ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of relevance to future policy decisions that use impact-based forecasting in each reg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정웅, "한반도 우기의 강수 특성과 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 41 (41): 101-114, 2005

      2 김남신, "지난 40년간 한반도 기온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16 (16): 29-38, 2013

      3 김현욱, "자기조직화지도를 활용한 동일강수지역 최적군집수 분석" 한국공간정보학회 20 (20): 12-21, 2012

      4 박선엽, "우리나라 동남부 지역의 토지 이용과 기후 패턴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6 (16): 47-64, 2013

      5 송인홍, "우리나라 농업기상재해의 공간 분포 및 지역 특성 분석" 한국농공학회 54 (54): 45-53, 2012

      6 Donganews, "[Busan/Gyeungnam] traffic chaos, it was damaged by snowfall within 3cm"

      7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guidelines on multi-hazard impact-based forecast and warning services" 1-23, 2015

      8 Han, W.S., "The response for an increase of vulnerable areas in heavysnowfall to climate change" KRIHS 1-6, 2014

      9 Lee, B.S., "The distribution of the fresh snowfall in South Korea" 9 (9): 224-233, 1979

      10 Choi, J.S, "The classification of snowfall area and its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 25 (25): 35-48, 1990

      1 고정웅, "한반도 우기의 강수 특성과 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 41 (41): 101-114, 2005

      2 김남신, "지난 40년간 한반도 기온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16 (16): 29-38, 2013

      3 김현욱, "자기조직화지도를 활용한 동일강수지역 최적군집수 분석" 한국공간정보학회 20 (20): 12-21, 2012

      4 박선엽, "우리나라 동남부 지역의 토지 이용과 기후 패턴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6 (16): 47-64, 2013

      5 송인홍, "우리나라 농업기상재해의 공간 분포 및 지역 특성 분석" 한국농공학회 54 (54): 45-53, 2012

      6 Donganews, "[Busan/Gyeungnam] traffic chaos, it was damaged by snowfall within 3cm"

      7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guidelines on multi-hazard impact-based forecast and warning services" 1-23, 2015

      8 Han, W.S., "The response for an increase of vulnerable areas in heavysnowfall to climate change" KRIHS 1-6, 2014

      9 Lee, B.S., "The distribution of the fresh snowfall in South Korea" 9 (9): 224-233, 1979

      10 Choi, J.S, "The classification of snowfall area and its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 25 (25): 35-48, 1990

      11 Um, M.J., "The analysis of optimal cluster number of precipitation region with Dunn Index" 87-90, 2011

      12 Arribas-Bel, D., "Multidimensional urban sprawl in Europe: a self-organizing map approach" 35 (35): 263-275, 2011

      13 Nishiyama, K., "Identification of typical synoptic patterns causing heavy rainfall in the rainy season in Japan by a self-organizing Map" 83 (83): 185-200, 2007

      14 Lin, G.F., "Identification of homogeneous regions for regional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self-organizing map" 324 : 1-9, 2006

      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ow to use the regional climate change information?" 10-101, 2011

      16 Yonhapnews, "Greenhouse collapsed in heavy snow"

      17 안소라, "GIS/RS를 이용한 3개의 대표 시설물별 폭설 취약지역 추출기법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18 (18): 1-12, 2015

      18 Moon, Y. S, "Division of precipitation regions in Korea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26 (26): 203-215, 1990

      19 Budayan, C.,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raditional cluster analysis, self-organizing maps and Fuzzy C-Means method for strategic grouping" 36 : 11772-11781, 2009

      20 Vesanto, J., "Clustering of the self-organizing map" 11 (11): 586-600, 2000

      21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9-506, 2007

      22 Moon, Y.S., "Classification of annual and seasonal precipitation areas in Korea" 11 (11): 259-262, 2001

      23 Lu, H. C., "Classification of PM10 distributions in Taiwan" 40 (40): 1452-1463, 2006

      24 Changnon, S.A., "A spatial and temporal analysis of damaging snowstorms in the United States" 37 (37): 373-389,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 0.9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