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IE SCOPUS

      기온 상승에 따른 ‘신고’ 배나무의 만개일 변동 예측 = Estimation of Changes in Full Bloom Date of ‘Niitaka’ Pear Tree with Global Warm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993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온 상승이 ‘신고’ 배나무의 만개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배시험장의 시간별 기온자료로 발육지수를 산정하고, 기상청 관측자료에 있는 67개 지역의 최고 최저 온도에 의한 발...

      기온 상승이 ‘신고’ 배나무의 만개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배시험장의 시간별 기온자료로 발육지수를 산정하고, 기상청 관측자료에 있는 67개 지역의 최고 최저 온도에 의한 발육속도로 평년 만개일 분포 및 온도상승에 따른 만개일 변화를 추정하였다. 나주지역에서 ‘신고’ 배나무의 발육지수는 0.9593이었다. 천안지역의 만개일 관측자료와 발육지수에 따른 예측자료와의 차이가 0-7일 범위였고, 일치한 해가 35.3%였다. 67개 지역의 평년 만개일은 4월 4일부터 5월 28일까지 분포하였다. 예측 만개일이 평년기온보다 5℃ 상승할 때까지 대부분의 지역에서 빨라졌지만 3℃ 상승부터 남쪽의 해안가 지역에서 늦어졌으며, 4℃와 5℃ 상승하면 제주, 고산(제주도 서부), 서귀포 지역에서는 개화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3월 기온 상승 시 예측 만개일의 변화가 가장 컸고, 4월, 2월, 1월 및 12월 순이었다. 기온상승에 따라 우리나라 배 재배 주산지의 만개일이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lobal warming on full bloom date (FBD) of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Nakai) tree by calculating the development stage index by hourly temperatures recorded at Pear Research Station, estimating the distri...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lobal warming on full bloom date (FBD) of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Nakai) tree by calculating the development stage index by hourly temperatures recorded at Pear Research Station, estimating the distribution of average FBD and the change of FBD according to temperature rising by integrating development rate at 67 locations i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ite. Development stage index of ‘Niitaka’ pear tree was 0.9593 at Naju location. Differences between full bloom dates observed at Cheonan region and predictions by development stage index were 0-7 days, and matched year was 35.3%. FBDs of 67 locations were distributed from April 4 to May 28. When yearly temperature was raised 1, 2, 3, 4, and 5℃ at 67 locations, predicted FBD was accelerated at most of the locations. However, FBD decelerated at south coast locations from 3℃ rise and did not bloom at ‘Gosan’, ‘Seogwipo’, and ‘Jeju’ locations from 4℃ rise. When monthly temperature was raised 1, 3, and 5℃ at 67 locations, predicted FBD was the most accelerated at March temperature rise, and followed by April, February, January and December. Therefore, global warming will cause acceleration of the full bloom date at pear production areas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철만,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계절식물의 개화시기 변화" 한국환경과학회 18 (18): 369-374, 2009

      2 한점화, "발육속도 모델을 이용한 배 ‘신고’ 자발휴면타파시기 추정" 한국농림기상학회 10 (10): 58-64, 2008

      3 이승호, "기온 변화에 따른 벚꽃 개화시기의 변화 경향"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2 (12): 45-54, 2003

      4 Tamura, F., "Variations in the chilling requirements for breaking leaf bud endodormancy in wild pear species and pear cultivars" 70 : 596-598, 2001

      5 Sugiura T.,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endormancy completion in Japanese pear (Pyrus pyrifolia Nakai) and modeling the relationship" 53 : 285-290, 1997

      6 Erez, A., "The effect of climatic conditions on dormancy development of peach buds. I. Temperature" 96 : 711-714, 1971

      7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NIMR), "The application of regional climate change scenario for the national climate change report (III)" 131-, 2007

      8 Jang, H.I., "Strategy for fruit cultivation under the changing climate" 20 : 270-275, 2002

      9 National Institute of Fruit Tree Science(NIFTS), "Research report of fruit production constitution" 59-65, 2003

      10 Sugiura, T., "Prediction of full bloom date of pear using air temperature" 54 (54): 146-149, 1999

      1 최철만,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계절식물의 개화시기 변화" 한국환경과학회 18 (18): 369-374, 2009

      2 한점화, "발육속도 모델을 이용한 배 ‘신고’ 자발휴면타파시기 추정" 한국농림기상학회 10 (10): 58-64, 2008

      3 이승호, "기온 변화에 따른 벚꽃 개화시기의 변화 경향"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2 (12): 45-54, 2003

      4 Tamura, F., "Variations in the chilling requirements for breaking leaf bud endodormancy in wild pear species and pear cultivars" 70 : 596-598, 2001

      5 Sugiura T.,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endormancy completion in Japanese pear (Pyrus pyrifolia Nakai) and modeling the relationship" 53 : 285-290, 1997

      6 Erez, A., "The effect of climatic conditions on dormancy development of peach buds. I. Temperature" 96 : 711-714, 1971

      7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NIMR), "The application of regional climate change scenario for the national climate change report (III)" 131-, 2007

      8 Jang, H.I., "Strategy for fruit cultivation under the changing climate" 20 : 270-275, 2002

      9 National Institute of Fruit Tree Science(NIFTS), "Research report of fruit production constitution" 59-65, 2003

      10 Sugiura, T., "Prediction of full bloom date of pear using air temperature" 54 (54): 146-149, 1999

      11 Sugiura, T., "Dormancy and chilling requirement of deciduous fruit tree. Series of Agr. Technol. (Fruit 8), p. 50~2-50~7~4"

      12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Summary for policymakers, technical summary and frequently asked questions" WMO & UNEP 142-, 2007

      13 Weinberger, J.H., "Chilling requirements of peach varieties" 56 : 122-128, 19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74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3 1.11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