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어메니티 활용방안 연구 = 장소마케팅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56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산업기술의 평준화와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라, 지역과 산업 간의 특성이 무력화 되었고, 무한경쟁 속에서 치열한 경제활동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천연자원과 산업적 기반 그...

      최근 산업기술의 평준화와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라, 지역과 산업 간의 특성이 무력화 되었고, 무한경쟁 속에서 치열한 경제활동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천연자원과 산업적 기반 그리고 노동인력 등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간적 동질화 및 시간적 접근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한 그 지역만의 독특한 문화자원을 발굴하여, 문화상품개발을 위한 도구로서 장소마케팅을 활용하게 되었다. 특정한 지역을 하나의 상품으로 보고 그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려는 노력은 장소마케팅을 통해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나, 장소마케팅의 소재가 되고 있는 문화자원 발굴과정 및 접근전략은 다소 체계적이지 못한 사례들을 우리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지역 문화상품으로서 지역축제를 기반으로 성공한 장소마케팅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되, 광의로 해석한 에메니티적 개념으로 접근했다는 것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별로 보유하고 있는 문화자원을 어메니티로 이해하고 구분하여, 활용가치에 따라 장소마케팅 도구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주제어에 대한 용어정리와 함께 문화상품으로서 어메니티와 장소마케팅과의 특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정의하였으며, 국내·외 성공 사례지역조사를 통해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참고하였다. 또한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장소 마케팅 추진전략과 함께 최근 변화된 소비현상을 제시한 후 결론으로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자원 개발 유형별 대응전략’ 및 ‘공간별 특성’에 의해, ‘목적에 따른 유형’, ‘장소자산에 따른 유형’ 그리고 ‘이미지 전략에 따른 유형’으로 살펴본 결과, 판촉 또는 소비자 중심모형으로 도시 지역보다는 환경지역, 농·산촌, 연안·어촌지역을 중심으로 우선 추진되어야 할 것이며, 문화적으로 우세한 지역보다는 산업적 그리고 생태적으로 접근하기 쉬운 지역을 장소마케팅 범위로 지정하고, 이미지 강화와 창출형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 문화상품은 지역이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바, 지역 구성원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하고, 고유한 분위기로 지역만의 독특한 포지션을 전략적으로 수립해야할 것이다. 이를 위해 소비현상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들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고, 지역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문화상품개발과정과 운용 프로그램 및 이미지 구축과 더불어 위험요소에 대한 극복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다소 보편적으로 예측 가능한 결과를 가지고 있으나, 보다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정책수립에 불가피할 것이며, 지역별 또는 테마별 등으로 구체적인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equaliz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keen economic activity constantly proceeds in limitless competition. Thus, areas where natural resources, industrial infrastructures, and labor power are ...

      With the equaliz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keen economic activity constantly proceeds in limitless competition. Thus, areas where natural resources, industrial infrastructures, and labor power are not enough have picked out their unique resources which are impossible for space homogeneity and time access and used place marketing as a means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Although efforts to enhance local competition by seeing a specified area as one product have continuously made, the process of picking out cultural resources which are the material of place marketing and access strategies are not systematic and it is easy to see such examples. On the contrary, it is easily understood that place marketing which achieves success on the basis of local festivals as local cultural products uses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is approached in the concept of amenity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Thus,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and classify local cultural resources as amenity and explore methods to use them as a means of place marketing according to their value of application. Amenity as a cultural product and characteristics of place marketing were defined through previous research review along with terms definition for key words and successful examples at home and aborad were examined to show application methods.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was the whole country and strategies for place marketing and recent changes of consumption were presented. Finally, the results were drawn. The findings were examined in aspects of ``coping strategies of cultural resource development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urposes``, ``types of place assets``, and ``types of image strategies``. As a result, promotion or consumer-focused models should be promoted first in environmental, rural, mountain, coastal, and sea areas rather than urban areas. Moreover, the scope of place marketing should be limited to places easy of industrial and ecological access rather than culturally-dominated places and approach should be made to enhance and create an image. Considering that local cultural products hav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n area, a unique local position should be strategically established to form local residents` empathy and have a peculiar atmosphere.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consumer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hanges of consumption, construct the process of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an operation program, and an image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inside and outside the area, and continuously prepare methods to overcome risk elements. Although the findings have universally predictable results, it is inevit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more systematic and consistent policies.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on areas or them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