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응급 제왕절개 자궁적출술 시행시 초기 마취방법과 수술 경과와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Anesthetic methods and Perioperative Courses in Emergency Cesarean Hysterecto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50055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제왕절개수술 후에 전신마취 하에 응급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경우 최초의 마취방법인 전신마취와 부위마취가 수술 전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비교...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제왕절개수술 후에 전신마취 하에 응급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경우 최초의 마취방법인 전신마취와 부위마취가 수술 전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시행된 응급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을 후향적으로 데이터 베이스를 분석하였고, 이 기간 동안 65예의 응급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을 연구군으로 정하였으며 모든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이중 제왕절개 분만과 자궁적출술을 모두 전신마취를 한 24예를 전신마취군으로 정하였고, 최초 제왕절개수술시 부위마취를 하고 자궁적출술시 전신마취를 한 41예를 부위마취군으로 분류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양 군에서 제왕절개 자궁적출술의 적응증 중 가장 많았던 것은 유착태반이었다. 병리학적 이상을 동반하지 않은 자궁이완증의 빈도는 전신마취군 (4.2%)보다 부위마취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34.1%). 양군 간에 수술 중 처치 방법, 실혈량 및 수혈 유무 등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술 전후 합병증은 28.2% (20/65)에서 나타났으며, 파종성혈관내응고가 전신마취군 (4.2%)에서 보다 부위마취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24.4%). 결론: 응급 제왕절개 자궁적출술 시행시 선행된 제왕절개시 마취방법이 자궁적출술 시행과정 중 처치에는 큰 영향은 미치지 않았지만 병리학적 이상이 없는 자궁이완증의 빈도 및 수술 전후 파종성혈관내응고 장애는 전신마취군과 비교할 때 부위마취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ioperative variables in patients administered inhalation or regional anesthesia for the initial cesarean section following emergency hysterec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Methods: Emergency c...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ioperative variables in patients administered inhalation or regional anesthesia for the initial cesarean section following emergency hysterec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Methods: Emergency cesarean hysterectomies performed between January 1993 and December 2004 was analyzed retrospectively. There were 65 emergency cesarean hysterectomies during the period. General anesthesia for both delivery and following hysterectomy was employed 24 cases (General group) and regional anesthesia for the initial cesarean section following general anesthesia for emergency hysterectomy was employed 41 cases (Regional group). Results: Most common indication of cesarean hysterectomy was placenta accreta in the both groups. Incidence of uterine atony without pathology was higher in the regional group than in the general group (34.1% vs. 4.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traoperative managements, estimated blood loss, and transfusions between the two groups. Total perioperative complications were found in 20 out of 65 cases (28.2%), and the incidence of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opathy (DIC) was higher in the regional group than in the general group (24.4% vs. 4.2%). Conclusion: The anesthetic method did not affect the intraoperative managements although the incidence of uterine atony without pathology was higher, and perioperative DIC was more in the regional group than in the general group.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