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학습활동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성격 특성(Big-Five Personality Trait)의 예측력 검증 = Predicting Power of Learner’s Big-Five Personality Trait on Online Learning Activities and Academic Achie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833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자 특성이 온라인 학습활동과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변인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서울에 소재한 A 대학의 온라인 강좌를 수강한 학부생 67명을 대상으로 11주 동안 연구를 진행...

      본 연구는 학습자 특성이 온라인 학습활동과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변인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서울에 소재한 A 대학의 온라인 강좌를 수강한 학부생 67명을 대상으로 11주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불안정성, 외향성, 개방성, 수용성 그리고 성실성의 5 요인으로 나타나는 학습자 성격 특성의 예측력은 과제관리, 과제수행, 사회적 활동 및 과제 외 활동으로 구성된 온라인 학습활동과 개별 포트폴리오로 평가된 학업성취도를 대상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성실성(β = .40)과 수용성(β = -.26)은 학습활동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이었으나 두 요인의 예측방향은 반대로 나타났으며, 세부 학습활동에서는 외향성이 높은 학습자가 과제관리 활동과 과제 외 활동을, 성실성이 높은 학습자가 과제수행활동과 사회적 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성실성(β = .28)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학습활동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성격특성 요인은 면대면 학습상황에서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생략 : 학습자의 성실성이 학업성공 예측의주요 변인이긴 하나], 외향성을 나타내는 학습자의 활동 양상이 성실성이 높은 학습자와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성공적 온라인 학습을 위해 학습자 성격 특성에 따라 적절한 온라인 학습활동 전략을 활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line learning is being widely spread out to all nations with the quick speed. But only a few studies investigated the effect of learners’ personality on online learning behaviors and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d the power of predictability of ...

      Online learning is being widely spread out to all nations with the quick speed. But only a few studies investigated the effect of learners’ personality on online learning behaviors and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d the power of predictability of the five factor personality (Neuroticism, Extraversions,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on online learning activities(task management activity, task performance activity, social activity, and non-task activity) as well as online academic achievement with digital portfolios. From 67 students who took online Course in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participated in the investigation for eleven weeks. Personality traits, online learning activities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measured throughout the course period.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case of task management, conscientiousness positively and agreeableness negativel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nline learning behaviors. For the task performance in online learning, conscientiousness predicted achievement significantly. For social activity, only conscientiousness was a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 Agreeableness was a variable to negatively predict the task activities and openness to experience was a variable to positively predict non-task activities. Finally, conscientiousness of learners’ personality predicted online academic achievement significantly. The findings indicate that online learning designers and instructors should support the environment in that the learners can have accountability of their learning. Also, learners should be encouraged to perform as many task activities as possibl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edict personality of successful online learners, form effective high-quality learning environment and establish a guideline suitable for the relevant students. Al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personality and online learning activity aiming at diver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han, B. H., "이러닝 성공전략" 2004

      2 왕경수, "웹기반 협동학습에서의 상호 작용 증진 방안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269-294, 2003

      3 엄우용, "웹 기반 토론에서 리더유무와 통제소재가 메시지 유형에 미치는 영향웹 기반 토론에서 리더유무와 통제소재가 메시지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73-100, 2003

      4 김지영, "웹 게시판을 활용한 영어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연구"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3 (13): 227-251, 2007

      5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229-267, 2003

      6 유태용, "신임경찰 교육장면에서 성격의 5요인 및 생활경험과 수행간의 관계" 12 (12): 129-144, 1999

      7 유태용, "성격의 5요인과 학업수행간의 관계"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8 : 197-214, 1998

      8 유태용, "성격의 5요인과 조직에서의 맥락수행간의 관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5 (15): 1-24, 2002

      9 민병모, "성격 5요인 모형에서 개인-조직 일치도와 수행의 관계" 2001

      10 유태용, "다양한 직군에서의 성격의 5요인과 직무수행간의 관계" 5 : 69-94, 1997

      1 Khan, B. H., "이러닝 성공전략" 2004

      2 왕경수, "웹기반 협동학습에서의 상호 작용 증진 방안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269-294, 2003

      3 엄우용, "웹 기반 토론에서 리더유무와 통제소재가 메시지 유형에 미치는 영향웹 기반 토론에서 리더유무와 통제소재가 메시지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73-100, 2003

      4 김지영, "웹 게시판을 활용한 영어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연구"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3 (13): 227-251, 2007

      5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229-267, 2003

      6 유태용, "신임경찰 교육장면에서 성격의 5요인 및 생활경험과 수행간의 관계" 12 (12): 129-144, 1999

      7 유태용, "성격의 5요인과 학업수행간의 관계"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8 : 197-214, 1998

      8 유태용, "성격의 5요인과 조직에서의 맥락수행간의 관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5 (15): 1-24, 2002

      9 민병모, "성격 5요인 모형에서 개인-조직 일치도와 수행의 관계" 2001

      10 유태용, "다양한 직군에서의 성격의 5요인과 직무수행간의 관계" 5 : 69-94, 1997

      1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정보화백서" 2003

      12 양혜경, "e-러닝의 이해" 2004

      13 Rosenberg, M. J., "e-learning : 디지털 시대의 지식 확산 전략" 2001

      14 강명희, "e-Learning 환경에서 인식되는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도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2 (22): 1-27, 2006

      15 Illinois Online Network, "What makes a successful online student?"

      16 Borgatta, E. F., "The structure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12 : 8-17, 1964

      17 Duff, A.,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pproach to learning and academic performance" 36 : 1907-1920, 2004

      18 Salgado, J. F.,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in the European community" 82 : 30-43, 1997

      19 Barrick, M. R.,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44 : 1-26, 1991

      20 Hare, A. P., "Small group research: A handbook" 169-193, 1994

      21 Tupes, E. L., "Recurrent personality factors based on trait ratings" 60 : 225-251, 1961

      22 Furnham, A., "Personality, cognitive ability, and beliefs about intelligence as perdictors of academic performance" 14 : 49-66, 2003

      23 Chamorro-premuzic, T., "Personality traits and academic examination performance" 17 (17): 237-250, 2003

      24 Chamorro-premuzic, T., "Personality predicts academic performance: Evidence from two longitudinal university samples" 37 : 319-338, 2003

      25 Hurtz, G. M.,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The big five revisited" 85 : 869-879, 2000

      26 Furnham, A.,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statistics examination grades" 37 (37): 943-955, 2004

      27 Rothstein, M. G., "Personality and cognitive ability predictors of performance in graduate business school" 86 (86): 516-530, 1994

      28 Harasim, L., "On-line education: Perspectives on a new environment" 1990

      29 Costa, P. T., "Normal personality assessment in clinical practice: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4 : 5-13, 1992

      30 민병모, "NEO 인성검사" 1997

      31 Ackerman, P. L.,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interests: Evidence for overlapping traits" 121 : 219-245, 1997

      32 Jonassen, D. H., "Handbook of individual deferences, learning, and insturction" 1993

      33 Strijbos, J. W., "Functional versus spontaneous roles during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content analysis to investigate communication and role behaviour in small groups" 2004

      34 Heath, M. S., "Electronic portfolios: A guide to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ssessment" 2004

      35 Eastmond, D. V., "Effective facilitation of computer conferencing" 56 (56): 23-34, 1992

      36 Strijbos, J. W., "Content analysis: What are they talking about?" 46 : 29-48, 2006

      37 Fiske, D. W., "Consistency of the factorial structures of personality ratings from different sources" 44 : 329-344, 1949

      38 Jonassen, D. H., "Computers in the classroom: mindtools for critical thinking" 1996

      39 Romiszowski, A.,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n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438-456, 1996

      40 Rice, R. 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37 (37): 65-94, 1987

      41 Garrison, D. R., "Computer conferencing: the post industrial age of distance education" 12 (12): 3-11, 1997

      42 O'Connor, M. C., "Big five personality predictors of post-secondary academic performance" 43 : 971-990, 2007

      43 민병모, "Big 5 모델을 중심으로 본 기업조직 고수행 관리자들의 성격 특성 연구" 19-28,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7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방법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4 1.94 2.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35 2.393 0.9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