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정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수학 사교육 이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home mathematical activities on preschool children's math achievements: Moderating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for ma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871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ome mathematical activities on preschool children’s math achievements. It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private math education using worksheets or visiting private math institutes, on the rela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ome mathematical activities on preschool children’s math achievements. It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private math education using worksheets or visiting private math institut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mathmatical activities and children’s math achievements. For this purpose, 168 parent-child pairs. The children's early math skills, including numeracy and problem-solving, were assess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to determine the main and moderating effects. This study considered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children’s sex, children’s age in month,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as confounding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home math activities positively predicted preschool children's early numeracy skills and mathematical problem-solving skills. However, private education for math did not predict children’s numeracy skills and mathematical problem-solving skills. It negated home math activities'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skill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supporting families to focus on home math activities rather than providing private math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수학 사교육 이용이 이러한 영향력을 조절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5세 유아와 그 부모 168명을 대...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수학 사교육 이용이 이러한 영향력을 조절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5세 유아와 그 부모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유아의 수학능력을 검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초통계,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유아의 성별과 월령, 부모의 학력과 월 소득을투입하였다. 그 결과, 가정수학활동은 유아의 수 개념 발달과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와 비교해 수학 사교육 이용은 유아의 수 개념 발달 및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유의하게예측하지 못했다. 그러나 수학 사교육 이용은 가정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력을 부적으로 조절하였다. 한편, 가정수학활동이 유아의 수 개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는 수학 사교육 이용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기 수학 교육을 위해서는 사교육 보다 가정수학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