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말레이시아의 이민정책과 한국인 은퇴이주의 조우(遭遇)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549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 말레이시아를 대상으로 말레이시아의 이민정책(migration policy)과 한국인들의 말레이시아로의 은퇴이주(retire migration)의 조우(遭遇, encounter)의 문화적 특징과 의미, 즉 말레이시...

      본 연구는 현대 말레이시아를 대상으로 말레이시아의 이민정책(migration policy)과 한국인들의 말레이시아로의 은퇴이주(retire migration)의 조우(遭遇, encounter)의 문화적 특징과 의미, 즉 말레이시아 이민정책의 특징과 한국인들의 말레이시아로의 은퇴이주가 어떻게 상호 조우하고, 또한 그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에 관해 이를 말레이시아 이민정책의 사회문화적 맥락 내에서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현지조사가 병행되었는데, 특히 현지조사에서는 주요 제보자들(key informants)에 대한 인터뷰(interview)와 관찰(observation) 방법을 주로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말레이아 이민정책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한국인들의 말레이시아로의 은퇴이주와 연관시켜 접근함으로써, 말레이시아의 이민정책과 한국인들의 말레이시아로의 은퇴이주와는 어떠한 상호관계가 있으며, 그 문화적 특징과 의미는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말레이시아 은퇴이주는 MM2H(Malaysia My 2nd Home) 제도 및 은퇴이주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해 자녀교육을 위한 도구로 변용되어 활용되거나 혹은 은퇴이주 자체를 취미활동이나 여가생활의 일부로 간주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런 이유로 타국으로의 이주임에도 불구하고 은퇴 및 이주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 없이 임하거나 혹은 낭만적인 기대로 임함으로써, 결국 대부분 별다른 성과 없이 귀국하는 사례들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말레이시아의 이민정책과 한국인들의 말레이시아로의 은퇴이주를 대상으로 그 특징과 의미를 사회문화적 맥락 내에서 고찰함으로써, 한국과 말레이시아 사이의 인적 교류와 이주를 통한 한국과 말레이시아 사이의 교류와 협력의 문화적 특징과 의미를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과 말레이시아 사이의 교류와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학술적,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encounter between Malaysian migration policy and Korean retirement migration in contemporary Malaysia. For this purpose, I describe and analyze the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migrati...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encounter between Malaysian migration policy and Korean retirement migration in contemporary Malaysia. For this purpose, I describe and analyze the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migration policy in Malaysia, and underst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migration policy, especially Malaysian migration policy in Malaysia, and examine an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retirement migration, especially Korean retirement migration to Malaysia in contemporary Malaysia,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e research outcome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ly, because of the misunderstanding and misuse of MM2H(Malaysia My 2nd Home) program and Malaysian migration policy among Korean retirement migrants in contemporary Malaysia, Korean retirement migration in Malaysia cannot be regarded one of the appropiate and effective migration policy for Koreans. It has been utilized as an instrument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among Koreans in Malaysia. Secondly, in this regard, it has been increased the number of Koreans to return to Korea without any constructive results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their successful retirement lives in Malaysia. It is noted to understand that Korean retirement migration to Malaysia is the movement and migration of the special forms of human migration or human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Korean retirement migration to Malaysia has been one of the important cultural phenomena between Korea and Malaysia in contemporary Malaysia. In this sens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contributed to underst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encounter and exchange between Malaysian migration policy and Korean retirement migration to Malaysia in contemporary Malaysia, and to enhance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Malaysia through human exchange and migration, especially Korean retirement migration to Malaysia in contemporary Malays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기존 연구의 검토
      • III.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II. 기존 연구의 검토
      • III. 연구방법
      • IV. 연구결과
      • V. 맺음말에 대신하여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석준, "한국인들의 말레이시아로의 은퇴이주의문화적 특징과 의미"

      2 한국일보, "제2인생은 길다, 해외로 은퇴 이주 붐: 필리핀․말레이시아 작년 3600명 선 귀족생활 꿈꾸면 실망, 현지화 필수"

      3 스티븐 카슬, "이주의 시대" 일조각 2003

      4 마이클 새머스, "이주: 21세기 경제적․정치적․사회적․문화적 논쟁들의 중심이주와 이민" 도서출판 푸른길 2013

      5 조선일보, "이민자들 동남아행 열품, ‘죽기살기로 일해 봤자 한국선 집 한 칸도...’ 박람회에5만 명 몰려 영어조기유학도 각광"

      6 박공주, "은퇴후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농촌계획학회 12 (12): 63-76, 2006

      7 박공주, "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 이주준비 및 농촌 적응과정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5 (45): 9-21, 2007

      8 중앙일보, "롯데관광, 동남아 실버이민 관심 고조에 따라 My Second Home 답사여행 출시"

      9 김동엽, "동남아 은퇴이주의 실태와 전망 : 필리핀을 중심으로" 동아연구소 (57) : 233-267, 2009

      10 윤순덕, "도시민의 은퇴후 농촌정주에 대한 수요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 12 (12): 37-47, 2006

      1 홍석준, "한국인들의 말레이시아로의 은퇴이주의문화적 특징과 의미"

      2 한국일보, "제2인생은 길다, 해외로 은퇴 이주 붐: 필리핀․말레이시아 작년 3600명 선 귀족생활 꿈꾸면 실망, 현지화 필수"

      3 스티븐 카슬, "이주의 시대" 일조각 2003

      4 마이클 새머스, "이주: 21세기 경제적․정치적․사회적․문화적 논쟁들의 중심이주와 이민" 도서출판 푸른길 2013

      5 조선일보, "이민자들 동남아행 열품, ‘죽기살기로 일해 봤자 한국선 집 한 칸도...’ 박람회에5만 명 몰려 영어조기유학도 각광"

      6 박공주, "은퇴후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농촌계획학회 12 (12): 63-76, 2006

      7 박공주, "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 이주준비 및 농촌 적응과정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5 (45): 9-21, 2007

      8 중앙일보, "롯데관광, 동남아 실버이민 관심 고조에 따라 My Second Home 답사여행 출시"

      9 김동엽, "동남아 은퇴이주의 실태와 전망 : 필리핀을 중심으로" 동아연구소 (57) : 233-267, 2009

      10 윤순덕, "도시민의 은퇴후 농촌정주에 대한 수요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 12 (12): 37-47, 2006

      11 윤순덕, "도시 장년층의 은퇴 후 농촌이주의사 결정요인" 한국노년학회 25 (25): 139-153, 2005

      12 성정현, "그들은 왜 기러기 가족을 선택했는가" 한울 2013

      13 조선일보, "‘묻지마’ 은퇴이민, 잘못 결정했다 낭패"

      14 "http://blog.naver.com/esjpark?Redirect=Log&lo gNo=110133832048"

      15 "http://blog.naver.com/esjpark?Redirect=Log&lo gNo=110130257712"

      16 "http://blog.daum.net/khc0373/12019412"

      17 "http://blog.daum.net/khc0373/12019412"

      18 "Laws of Malaysia. Immigration Act 1959/63(ACT 155), Regulations and Orders &Passports Act 1966(ACT150) and Orders (As AT 10th September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