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새만금 해양환경정보시스템 구축 =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Using GI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새만금 방조제 건설 및 토지 개발사업에 따른 해양환경변화 모니터링 및 예측을 위하여 2002년부터 실시간 또는 정기 해양관측 및 수치모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있다. 새만금 해양환경자...

      새만금 방조제 건설 및 토지 개발사업에 따른 해양환경변화 모니터링 및 예측을 위하여 2002년부터 실시간 또는 정기 해양관측 및 수치모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있다. 새만금 해양환경자료는 크게 해양기상, 해양물리/해수유동, 해양수질, 해양생태계, 해저 지형/지질 분야로 분류되며, 각 분야별 관측 및 예측을 통해 지속적으로 생산되는 자료는 10여년에 걸쳐 축적되고 있다. 수집된 해양환경자료는 대용량의 다차원 다변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갖는 이질적 자료이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자료의 수집·처리·관리·제공이 가능한 정보시스템 개발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된 웹 기반 새만금 해양환경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분야별로 축적된 새만금 해양환경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관리하며,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과 statistical graphs 및 thematic cartography를 적용한 자료의 과학적 가시화를 통해 방대하고 복잡한 자료의 효과적인 조회 및 분석이 가능하다. 나아가 지오프로세싱을 통한 공간분석을 통해 장기간에 걸친 변화 양상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새만금의 친환경적 개발을 위한 과학적 근거 제시 및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원활한 웹 기반 정보 서비스를 위해 다중 맵 캐쉬, 다중 레이어,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도 병행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monitor and predict the change of coast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Saemangeum sea dyke and the development of land reclamation, we have done real-time and periodic ocean observation and numerical simulation since 2002. Saemangeu...

      To monitor and predict the change of coast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Saemangeum sea dyke and the development of land reclamation, we have done real-time and periodic ocean observation and numerical simulation since 2002.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data can be largely classified to marine meteorology, ocean physics and circulation, water quality, marine geology and marine ecosystem and each part of data has been generated continuously and accumulated over about 10 years. The collected coastal environmental data are huge amounts of heterogeneous dataset and have some characteristics of multi-dimension, multivariate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 Thus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system possible to data collection, processing, management and service is necessary. In this stud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t enables the integral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and the data querying and analysis of enormous and high-complexity data through the design of intuitive and effective web user interface and scientific data visualization using statistical graphs and thematic cartography. Furthermore,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rend changed over long-term by the geo-spatial analysis with geo- processing, it`s being used as a tool for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decision support in Saemangeum coast. Moreover, for the effective web-based information service, multi-level map cache, multi-layer architecture and geospatial database were implemented togeth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토해양부, "새만금 해양환경 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 최종보고서" 2011

      2 Kim, C.S., "Three-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ling for tidal lake and coastal waters with ROMS-ICM" 64 (64): 1068-1072, 2011

      3 Lim, H.S., "The saemangeum operational oceanography networks" 64 (64): 1095-1100, 2011

      4 Breman, J., "The inception of the ArcGIS marine data model" 1 (1): 3-9, 2002

      5 Cohen,J, "NASA Center for climate simulation: data supporting science" 6 (6): 1-12, 2010

      6 이흥재, "Changes in Marine Environment by a Large Coastal Development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in Korea" 한국해양연구원 30 (30): 475-484, 2008

      1 국토해양부, "새만금 해양환경 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 최종보고서" 2011

      2 Kim, C.S., "Three-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ling for tidal lake and coastal waters with ROMS-ICM" 64 (64): 1068-1072, 2011

      3 Lim, H.S., "The saemangeum operational oceanography networks" 64 (64): 1095-1100, 2011

      4 Breman, J., "The inception of the ArcGIS marine data model" 1 (1): 3-9, 2002

      5 Cohen,J, "NASA Center for climate simulation: data supporting science" 6 (6): 1-12, 2010

      6 이흥재, "Changes in Marine Environment by a Large Coastal Development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in Korea" 한국해양연구원 30 (30): 475-48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 0.9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