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해업소 출입과 청소년 비행 ; 분석과 대응 = Visit to Entertainment Shops and Delinquent Experience of Youth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525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유흥업소 출입현황, 업소내 행위 및 활용동기, 그리고 업소체험이 비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불량 유흥업소 대응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 정...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유흥업소 출입현황, 업소내 행위 및 활용동기, 그리고 업소체험이 비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불량 유흥업소 대응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 정책연구이다. 일차적으로 전국 1600여명의 중고교생 표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청소년의 유흥업소 접촉실태와 업소 내 유해행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가정화목도·학교만족도·비행친구·교외활동이라는 네 가지 생활변수가 유흥업소 출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산정한 후, 경로분석을 통해 유흥업소 출입 및 온라인매체를 경유한 비행효과를 검증하였다. 끝으로, 기존의 유흥업소 제한조치나 방안들을 분석결과와 비교 고찰함으로써 청소년 비행 방지를 위한 생활환경 개선책을 폭넓은 시각에서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가장 주목할 만한 사항은 물리적 공간이 아닌 사이버공간이라는 비행매개 요소의 중요성이다. 첨단 정보통신매체의 확산으로 청소년의 일상생활에 사이버스페이스의 영향력이 가속화 되어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나, 온라인상의 유흥활동에 의한 부정적 효과는 불량 업소출입에 의한 그것과 계량적으로 비교된 연구사례는 없었다고 본다. 분석 결과, 사이버공간을 매개로 한 접속활동은 유흥업소 출입의 3배를 상회하는 비행조장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해업소에 대한 물리적 접근기회를 제한하려는 지금까지의 정책적 대응은 청소년비행을 예방하거나 규제하는 데 절대적 한계성을 지니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불량 유흥업소에의 접촉제한과 더불어 사이버공간의 규제방안을 동반한 놀이공간 개념의 확장이 절실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또 사이버공간의 부정적 영향력은 규제일변도의 방안만으로는 원천적으로 타개가 불가능한 바, 보호 논리가 아니 육성 논리에 입각한 청소년 문화운동이 향후 보다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비행통제 방안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often Korean teenagers visit entertainment shops such as bar. karaoke room, billiard parlor, internet plaza, night club, etc. The paper also seek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it to entertainment sh...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often Korean teenagers visit entertainment shops such as bar. karaoke room, billiard parlor, internet plaza, night club, etc. The paper also seek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it to entertainment shops and delinquency experience. Then, factors affecting delinquent experience a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s that enable to control juvenile delinquency are suggested. With a survey data of 1,60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the effects of four endogenous factors - family bond, school satisfaction, delinquent peers and extra-curricula activities upon delinquence experience are estimates. The effects of two intervening factors - visit to entertainment shops and online activities are also estimates. It is found that inappropriate online activities have a strong effect on juvenile delinquency, three times greater than that of entertainment shops visit. A valuable policy implication is drawn from the results: Preventive measures for juvenile delinquency have to install the effective means that can prevent the negative effect of online activities as well as that of offline on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