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교교육과정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786784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교육과학사, 2000

      • 발행연도

        200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4 판사항(4)

      • DDC

        375 판사항(21)

      • ISBN

        898287464X 9337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학교교육과정론 / 김경자 지음

      • 형태사항

        494p.: 삽도; 26cm

      • 일반주기명

        본 표제는 광디스크의 표제임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소장기관
        •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서관(중앙)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인천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나사렛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목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외국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경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순천향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체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머리말 = 3
      • 제1장 대전환기의 학교 교육과정 = 15
      • 1. 사회와 학교 교육과정 = 17
      • (1) 사회와 학교 = 17
      • 목차
      • 머리말 = 3
      • 제1장 대전환기의 학교 교육과정 = 15
      • 1. 사회와 학교 교육과정 = 17
      • (1) 사회와 학교 = 17
      • (2) 민주주의와 학교 교육과정 = 22
      • 2. 대전환기의 지식 = 24
      • (1) 지식기반사회의 도래 = 25
      • (2) 지식의 강조와 학교 교육과정 = 29
      • 3. 대전환기의 학습 = 36
      • (1) 인지학습 이론의 경향 = 37
      • (2) 구성주의 이론 = 40
      • (3) 학습과 학교에서 가르쳐야 할 지식 = 42
      • 4 학교 교육과정 전망 = 45
      • (1) 새로운 시대·사회적 요구 = 45
      • (2)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전망 = 49
      • 제Ⅰ부 학교 교육과정의 역사
      • 제2장 현대 학교 교육과정의 역사적 기초 = 55
      • 1. 고대 그리스 - 휴머니즘 교육의 기원 = 58
      • (1) 사회·문화적 특징 = 58
      • (2) 교육의 특징 = 58
      • (3) 논의 = 63
      • 2. 고대 로마 실용주의 교육 = 64
      • (1) 사회·문화적 특징 = 64
      • (2) 교육의 특징 = 65
      • (3) 논의 = 67
      • 3. 중세-고전 인문교육의 전수와 발전 = 69
      • (1) 사회·문화적 특징 = 69
      • (2) 교육의 특징 = 69
      • (3) 논의 = 73
      • 4. 르네상스 시대-인문주의 교육과 자연과학에 대한 관심 = 74
      • (1) 사회·문화적 특징 = 74
      • (2) 교육의 특징 = 76
      • (3) 논의 = 81
      • 5. 계몽시대-합리주의와 자연주의의 결합 = 83
      • (1) 사회·문화적 특징 = 83
      • (2) 교육의 특징 = 83
      • (3) 논의 = 86
      • 6. 근대-국가주의 = 87
      • (1) 사회·문화적 특징 = 87
      • (2) 교육의 특징 = 87
      • (3) 논의 = 90
      • 제3장 현대학교 교육과정의 확립 = 93
      • 1. 국가 건설과 보통학교의 성립 = 96
      • (1) 제퍼슨의 공교육안 = 96
      • (2) 보통학교의 교육내용 = 97
      • (3) 교과의 팽창과 증대 = 98
      • (4) 교육과정 편제의 정비 = 101
      • 2. 전통적 교과에 대한 다양한 입장의 등장 = 102
      • (1) 새로운 사회·문화적 요구와 전통 교과에 대한 도전 = 102
      • (2) 인문주의자들의 입장 = 110
      • (4) 아동중심주의자들의 입장 = 110
      • (4) 사회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입장 = 117
      • (5) 사회개조론자의 입장 = 124
      • (6) 교과, 아동, 사회를 종합한 듀이 = 128
      • (7) 캐스웰의 경험 교육과정 = 132
      • 제4장 현대 학교 교육과정의 발전 = 141
      • 1. 8년 연구-중등교육과 진보주의 = 144
      • (1) 연구의 배경 = 144
      • (2) 연구의 계획과 수행 = 146
      • (3) 성과 = 151
      • 2. 타일러와 진보주의 교육의 쇠퇴 = 153
      • (1) 타일러 모형의 등장과 그 영향력 = 153
      • (2) 진부주의 교육의 쇠퇴 = 159
      • 3. 학문주의자들의 반격 = 162
      • (1) 교과의 힘과 가능성 촉구 = 162
      • (2) 지성의 힘에 대한 신뢰 = 164
      • (3) 교육과정 개혁운동 = 166
      • (4) 학문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도전 = 169
      • 4. 교육과정의 인간화 운동 = 170
      • (1) 학생과 사회의 요구 = 170
      • (2) 열린교실 = 171
      • (3) 사회적 목적의 반영 요구 = 173
      • 5. 기준운동과 교과, 학습자, 사회의 만남 = 175
      • 제Ⅱ부 학교 교육과정의 탐구
      • 제5장 학교 교육과정의 이해 = 183
      • 1. 교육과정의 이해 = 185
      • (1) 교육과정 탐구를 위한 핵심질문 = 185
      • (2) 교육과정 이해의 필요성 = 188
      • 2. 교육과정의 정의 = 191
      • (1) 교과목 혹은 교과에 담긴 교육내용 = 193
      • (2) 학교의 지도아래 학생이 겪는 실제경험 = 194
      • (3) 계획된 활동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 196
      • (4) 수행할 일련의 과제 = 198
      • (5) 의도한 학습결과 = 200
      • (6) 문화적 재생산의 도구 = 201
      • (7) 사회개조를 위한 의제 = 202
      • (8) 학생의 삶에 대한 해석과 전망 = 204
      • (9) 은유 = 205
      • 3. 교육과정의 기초 = 207
      • (1) 교과 = 207
      • (2) 학습자 = 209
      • (3) 사회 = 212
      • 4. 교육과정의 여러 가지 측면 = 214
      • (1) 공식적 교육과정 = 215
      • (2) 잠재적 교육과정 = 215
      • (3) 영 교육과정 = 220
      • (4) 수준별 교육과정 = 222
      • 제6장 교육과정 관점 = 229
      • 1. 교과중심 교육과정 = 233
      • (1) 기본관점 = 233
      • (2)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 237
      • (3) 교육방법 및 교육평가 = 238
      • (4) 실천사례-파이데이아 학교 교육과정 = 239
      • 2. 학문중심 교육과정 = 245
      • (1) 기본관점 = 245
      • (2)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 251
      • (3) 교육방법 및 교육평가 = 253
      • (4) 실천사례- 초등 사회과 경제영역 = 255
      • 3. 인지중심 교육과정 = 257
      • (1) 기본관점 = 257
      • (2)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 264
      • (3) 교육방법 및 교육평가 = 266
      • (4) 실천사례-긴스버그 등의 구구단 지도방법 = 267
      • 4. 경험중심 교육과정 = 270
      • (1) 기본관점 = 270
      • (2)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 276
      • (3) 교육방법 및 교육평가 = 277
      • (4) 실천사례-듀이 학교 교육과정 = 278
      • 5. 인간중심 교육과정 = 283
      • (1) 기본관점 = 283
      • (2)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 290
      • (3) 교육방법 및 교육평가 = 291
      • (4) 실천사례-섬머힐 학교 교육과정 = 293
      • 6. 사회재건중심 교육과정 = 297
      • (1) 기본관점 = 297
      • (2)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 305
      • (3) 교육방법 및 교육평가 = 306
      • (4) 실천사례-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 = 307
      • 7. 기술공학중심 교육과정 관점 = 301
      • (1) 기본관점 = 311
      • (2)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 318
      • (3) 교육방법 및 교육평가 = 320
      • (4) 실천사례-결과중심 교육과정 = 321
      • 제7장 교육과정 개발 = 329
      • 1.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타일러 = 333
      • (1) 교육목표 설정 = 335
      • (2) 학습경험의 선정 = 340
      • (3) 학습경험의 조직 = 342
      • (4) 학습성과의 평가 = 344
      • 2. 학문적(구조적) 교육과정 개발:브르너 = 347
      • (1) 교육내용 = 348
      • (2) 교육방법 = 350
      • 3. 실제적 교육과정 개발: 슈왑과 워커 = 356
      • (1) 슈왑의 교육과정에 대한 진단 = 357
      • (2) 슈왑의 실제성과 절충성 = 359
      • (3) 실제속의 교육과정 개발 = 360
      • (4) 워커의 자연주의적 교육과정 개발 = 363
      • 4. 예술적 교육과정 개발:아이즈너 = 368
      • (1) 교육목표의 여러 가지 측면 = 369
      • (2) 교육과정 개발에 참가하는 사람들의 영향 = 371
      • (3) 교육과정의 개발영역 = 373
      • 5. 생성적 교육과정 개발:프레이니,파이너 = 380
      • (1) 프레이리의 교육목적과 교육방법 = 381
      • (2) 프레이리의 교육과정 개발 = 384
      • (3) 파이너의 교육과정 개발:currere = 387
      • (4) 교육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방법 = 390
      • 제Ⅲ부
      • 제8장 학교 교육과정 모형 = 397
      • 1. 교육개혁과 지식 = 400
      • (1) 교육개혁과 지식기반사회 = 400
      • (2) 지식이 키워드인 사회 = 401
      • 2. 지식의 의미와 창의 성 = 401
      • (1) 지식교육 = 401
      • (2) 지식의 의미 = 405
      • (3) 올바른 지식교육 = 408
      • (4) 지식과 창의성의 관계 = 412
      • 3. 지식기반사회를 위한 학교 교육과정 모형 = 415
      • (1) 추상적 세계와 구체적 세계 그리고 교과 = 415
      • (2) 학교 교육과정 모형 = 419
      • (3) 학교 교육과정 모형의 적용가능성 = 434
      • 제9장 학교 교육과정의 구성과 개발 = 439
      • 1. 학교 교육과정의 의사결정 수준 = 443
      • (1) 의사결정의 주체 = 443
      • (2) 의사결정의 분권화 = 444
      • 2. 학교 교육과정 구성과 개발의 준비 = 445
      • (1) 교육과정 구성과 개발위원회 조직 = 445
      • (2) 교육과정 구성과 개발계획의 수립 = 449
      • (3) 교육과정 개발의 토대마련 = 452
      • 3. 학교 교육과정 구성과 개발의 실제 = 456
      • (1) 교육과정에 대한 이미지 구성 = 456
      • (1) 교육과정 지침서 개발을 위한 준비 = 458
      • (3) 교육과정 지침서 개발절차 = 462
      • (4) 교육과정 재정 = 471
      • 참고문헌 = 475
      • 찾아보기 = 4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