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大典類에 나타난 기록관리제도의 성립과 변화 양상 = A Study on the Constitutions and Change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in Code of State in Jose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seon was a country that pursued the rule of law. Early on, Joseon solidified its administrative system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經國大典』.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was also constituted and operated in accordan...

      Joseon was a country that pursued the rule of law. Early on, Joseon solidified its administrative system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經國大典』.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was also constituted and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is law. 『經國大典』 was considered as permanent law by the rulers, however, in reality it needed change because of responding to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variation.
      To overcome this legal problem, Joseon continued to supplement and compile the law like 『續大典』, 『大典通編』 and 『大典會通』. As the laws were supplemented and compiled, th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was also reorganized ans supplemented.
      Joseon’s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rules which including form of official document were maintained until the late period. However the legal obligations and penalites which related records and archives were continuously enacted and supplemented in the latter. This means that records and archives were actively used in a wider public area, and then legal control of records ans archives was required in this situation in Joseon.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백철, "조선후기 영조대 법전정비와 『속대전』의 편찬" 한국역사연구회 (68) : 189-236, 2008

      2 윤훈표, "조선초기 공기록물(公記錄物) 관리제(管理制)의 개편" 한국기록학회 (2) : 129-168, 2000

      3 명경일, "조선초기 啓目 연구-『經國大典』 행정문서체제의 수립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39 : 35-57, 2011

      4 오항녕, "조선전기 기록관리 체계의 이해" 한국기록학회 (17) : 3-37, 2008

      5 이형중, "조선시대 기록관리제도와 謄錄體系" 서울대학교 2020

      6 이형중, "조선 문서행이체제에 반영된 국왕의 위상" 한국기록학회 (66) : 203-227, 2020

      7 조은정, "영·정조대 공문서 위조의 실태와 정부의 대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8 박재우, "고려시대의 관문서와 전달체계" 한국고문서학회 33 : 1-28, 2008

      9 강은경, "고려시대 기록과 국가운영" 혜안 2007

      10 강은경, "고려시대 공문서의 전달체계와 지방행정운영" 한국사연구회 (122) : 2-62, 2003

      1 김백철, "조선후기 영조대 법전정비와 『속대전』의 편찬" 한국역사연구회 (68) : 189-236, 2008

      2 윤훈표, "조선초기 공기록물(公記錄物) 관리제(管理制)의 개편" 한국기록학회 (2) : 129-168, 2000

      3 명경일, "조선초기 啓目 연구-『經國大典』 행정문서체제의 수립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39 : 35-57, 2011

      4 오항녕, "조선전기 기록관리 체계의 이해" 한국기록학회 (17) : 3-37, 2008

      5 이형중, "조선시대 기록관리제도와 謄錄體系" 서울대학교 2020

      6 이형중, "조선 문서행이체제에 반영된 국왕의 위상" 한국기록학회 (66) : 203-227, 2020

      7 조은정, "영·정조대 공문서 위조의 실태와 정부의 대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8 박재우, "고려시대의 관문서와 전달체계" 한국고문서학회 33 : 1-28, 2008

      9 강은경, "고려시대 기록과 국가운영" 혜안 2007

      10 강은경, "고려시대 공문서의 전달체계와 지방행정운영" 한국사연구회 (122) : 2-62, 2003

      11 강은경, "고려시기 공문서 관리체계에서 胥吏의 地位" 역사교육연구회 (89) : 99-126, 2004

      12 남권희, "高麗時代 記錄文化 硏究" 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13 "續大典"

      14 박준호, "經國大典 체제의 문서 행정 연구" 한국고문서학회 28 : 111-128, 2006

      15 "經國大典"

      16 朴竣鎬, "洪武禮制와 朝鮮 初期 公文書 制度" 한국고문서학회 22 : 141-168, 2003

      17 심영환, "朝鮮初期 官文書의 『洪武禮制』 呈狀式 受容 事例" 한국학중앙연구원 (21) : 135-163, 2009

      18 "新補受敎輯錄 禮典"

      19 "承政院日記"

      20 "大典通編 禮典"

      21 "大典續錄 禮典"

      22 정긍식, "大典會通의 編纂과 그 意義" 41 (41): 2001

      23 "備邊司謄錄"

      24 "世祖實錄"

      25 백선혜, "『경국대전』의 기록관리 규정" 한국기록학회 (15) : 95-140,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2.07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