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북한의 광물자원산업 실태와 남북협력 방안 = Mineral Resource Industry of North Korea and Two Korea’s Coop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73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duction of mineral resource and its industries such as steel making and smelting have deteriorated in North Korea although it has a plenty of mineral resources. Under the North’s new circumstance of the investment, the resources cooperation b...

      The production of mineral resource and its industries such as steel making and smelting have deteriorated in North Korea although it has a plenty of mineral resources. Under the North’s new circumstance of the investment, the resources cooperation between two Koreas could become the win-win strategy. Resource cooperation of South-North need to be focused at not only resource development but also mineral industry. In South Korea, the resource demand will increase mostly in the 4th industries. On the other hand, in North Korea, it would increase mostly in the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heavy industry and infrastructure. Differences in the structures of the demand as well as supply of mineral resources between two Koreas could make an environment to increase the effects of the cooperation. Independent mineral industry value chain would be created in the Korean peninsula when mineral resource of the North and smelting and manufacturing industry of the South are connected. Further this value chain could let the cooperation of the South and the North to raise the value added of the resource industry while increasing the mineral resource produ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은 풍부한 자원을 보유했음에도 자원생산이 침체되고 제철과 제련 등 광물자원산업 전반이 낙후되어있다. 북한의 투자환경만 변한다면, 남북한의 자원협력은 남북 모두에게 수익이 돌...

      북한은 풍부한 자원을 보유했음에도 자원생산이 침체되고 제철과 제련 등 광물자원산업 전반이 낙후되어있다. 북한의 투자환경만 변한다면, 남북한의 자원협력은 남북 모두에게 수익이 돌아가는 상생협력 분야이다. 남북한자원협력은 자원개발만 아니라 광업 전반을 아우르는 협력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남한은 광물자원을 해외에 의존하지만 제련, 가공산업은 높은 국제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남한은 제4차 산업을 중심으로 첨단 소재의 광물 자원수요가 늘어나는 반면 북한은 건설과 토목, 인프라, 중공업을 중심으로 자원수요가 늘어날 것이다. 이러한 남북한의수요구조 차이는 공급구조 차이와 함께 남북의 협업효과를 높이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있다. 북한의 광물자원과 남한의 제련, 가공산업이 연계되면 한반도내 독자적인 광물자원의 밸류 체인을 이룰 수 있고, 이를 통해 남북의 자원 생산증대와 함께 자원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협력 방안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hung, W. J., "The Study on the Status of Energy Trades in North Korea" KEEI 74-, 2015

      2 Park, K. S.,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eel Industry in Korea Under Global Oversupply" Bank of Korea 23-24, 2016

      3 "North Korea Resource Institute"

      4 Statistics Korea, "Major Statistics Indicator of North Korea, Daejeon"

      5 Korean Government, "Job Ecological System Creation Strategy of Base Industry"

      6 "Information System for Resources of North Korea, South-North Korea Exchange and Cooperation Support Association"

      7 Koh, S. M., "Current situation of mineral industry in North Korea" 2018

      8 Jung, S. K., "Current situation of base industry and its implication of East-South region" BNK 2018

      9 Lee, S. G., "Cooperation Between Two Koreas for Rebuilding of the Steel Insudtry in North Korea" 20-, 2014

      10 Kwon, H. J., "Advancement of traditional ceramic" 19 (19): 5-8, 2016

      1 Chung, W. J., "The Study on the Status of Energy Trades in North Korea" KEEI 74-, 2015

      2 Park, K. S.,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eel Industry in Korea Under Global Oversupply" Bank of Korea 23-24, 2016

      3 "North Korea Resource Institute"

      4 Statistics Korea, "Major Statistics Indicator of North Korea, Daejeon"

      5 Korean Government, "Job Ecological System Creation Strategy of Base Industry"

      6 "Information System for Resources of North Korea, South-North Korea Exchange and Cooperation Support Association"

      7 Koh, S. M., "Current situation of mineral industry in North Korea" 2018

      8 Jung, S. K., "Current situation of base industry and its implication of East-South region" BNK 2018

      9 Lee, S. G., "Cooperation Between Two Koreas for Rebuilding of the Steel Insudtry in North Korea" 20-, 2014

      10 Kwon, H. J., "Advancement of traditional ceramic" 19 (19): 5-8,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