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아동문학비평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8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아동문학비평사가 집필될 때가 되었다. 여러 종류의 비평사가 저술된 일반문학에 비추어봐도 그렇지만, 음악과 미술 등 인접 학문 분야에 견주더라도 그 필요성은 시급하다. 지금까지 ...

      한국 아동문학비평사가 집필될 때가 되었다. 여러 종류의 비평사가 저술된 일반문학에 비추어봐도 그렇지만, 음악과 미술 등 인접 학문 분야에 견주더라도 그 필요성은 시급하다. 지금까지 아동문학 연구는 여러 방향으로 그 결과가 축적되어 왔다. 비평사란 관점에서 볼 때도 마찬가지다. 동심론, 소년문예운동론, 동요-동시 논쟁, 동화와 소년소설, 아동극 문제, 계급문학 논쟁, 외국 아동문학 수용 문제 등 다양한 주제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비평사 연구의 현황은 다양하게 진척되어 왔지만, 아직도 부족한 점이 많다. 성과를 이어받고 부족한 부분은 메워나가야 할 것이다. 비평사 연구의 과제로는 시대구분의 문제를 해결하고, 비평자료 확충을 위한 노력이 요긴하다. 비평가 연구를 바탕으로 작가(비평가)연보와 작품연보를 구축하고 재확인하는 작업에 철저해야 할 것이고, 설화문학의 재화와 자료 해석 및 평가에 유념해야 할 것이다. 비평의 원천탐색도 좀 더 깊이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입사의 단순 확인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이입과정에 반영된 굴절과 주체적 수용 양상을 면밀하게 파악해야 할 것이다. 비평문에 대한 비평 곧 상위비평 수준의 재비평을 지속적으로 축적해 가는 것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문학사 혹은 비평사는 개별 작가나 작품의 평가에 준거로 기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가나 작품 연구 결과는 문학사에 기여한다. 이는 전체와 부분의 관계로 해석학적 순환 체계를 이루어, 아동문학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고 심화시킬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time to start writing the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o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his need is urgent compared to the field of general literature, in which various kinds of literary criticisms have been written. The need is also critical ...

      It is time to start writing the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o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his need is urgent compared to the field of general literature, in which various kinds of literary criticisms have been written. The need is also critical when compared to neighboring academic fields such as music and art. So far, research on children"s literature has accumulated its result in many ways. The same is tru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The study of the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progressed diversely, but there is still much to be desired. Researchers should succeed in its performance and supplement its lacking. Periodization and expansion of materials are the tasks ahead. Based on the research of critics, thorough investigation in building and reconfirming writers’(critics’) annals and work annals should be done. Attentive consideration on a retelling of narrative literature and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materials is also a task to be complemented. Research on finding the source of criticisms needs to be conducted in more depth. Instead of simple confirmation on the history of importation, researchers should closely understand the refraction and subjective acceptance reflected in the importation process. Continuous accumulation of critique on criticisms, in other words, top-level re-criticism will also be a crucial challenge.
      Literary history or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can function as a reference in evaluating an individual writer or work. Likewise, the research and evaluation of writers and works contribute to the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It forms a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 and the part. In other words, it is the hermeneutical circle system, which will enable potentiation between the tw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아동문학 비평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3.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아동문학 비평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3.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영식, "해방기 간행도서 총목록 1945~1950" 소명출판 2010

      2 송영, "해방 전의 조선 아동문학" 교육도서출판사 1956

      3 김영순, "한일아동문학 수용사 연구" 채륜 2013

      4 오타케 기요미(大竹聖美), "한일 아동문학관계사 서설" 청운 2006

      5 사희영, "한일 아동문학 비교 및 전개양상 考察- 1930년 柳田国男 『日本昔話集』과 孫晉泰 『朝鮮民譚集』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215-237, 2019

      6 김가연, "한말~일제강점기 개성 고한승 가의 사회 ․경제적 기반과 지역 유지활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7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1978

      8 김근수, "한국잡지 개관 및 호별 목차집: 해방 15년" 영신아카데미 한국학연구소 1975

      9 김근수, "한국잡지 개관 및 호별 목차집" 영신아카데미 한국학연구소 1973

      10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한국아동문학사의 재발견" 청동거울 2015

      1 오영식, "해방기 간행도서 총목록 1945~1950" 소명출판 2010

      2 송영, "해방 전의 조선 아동문학" 교육도서출판사 1956

      3 김영순, "한일아동문학 수용사 연구" 채륜 2013

      4 오타케 기요미(大竹聖美), "한일 아동문학관계사 서설" 청운 2006

      5 사희영, "한일 아동문학 비교 및 전개양상 考察- 1930년 柳田国男 『日本昔話集』과 孫晉泰 『朝鮮民譚集』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215-237, 2019

      6 김가연, "한말~일제강점기 개성 고한승 가의 사회 ․경제적 기반과 지역 유지활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7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1978

      8 김근수, "한국잡지 개관 및 호별 목차집: 해방 15년" 영신아카데미 한국학연구소 1975

      9 김근수, "한국잡지 개관 및 호별 목차집" 영신아카데미 한국학연구소 1973

      10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한국아동문학사의 재발견" 청동거울 2015

      11 원종찬, "한국아동문학사 서술방법론 연구―이재철 이후의 모색"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2) : 151-178, 2018

      12 류덕제, "한국아동문학비평사 자료집(전7권)" 보고사 2020

      13 최지훈, "한국아동문학비평사 시고(試攷)" 한국아동문학학회 (18) : 97-153, 2010

      14 원종찬, "한국아동문학 총서(전50권)" 역락 2010

      15 김정의, "한국소년운동사" 민족문화사 1992

      16 김정의, "한국소년운동론" 혜안 2006

      17 류덕희, "한국동요발달사" 한성음악출판사 1996

      18 김병철, "한국근대번역문학사 연구" 을유문화사 1975

      19 최명표, "한국근대 소년운동사" 선인 2011

      20 최명표, "한국근대 소년문예운동사" 도서출판 경진 2012

      21 김병철, "한국근대 서양문학이입사 연구(상, 하)" 을유문화사 1982

      22 권영민, "한국계급문학운동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23 류덕제, "한국 현실주의 아동문학 연구" 청동거울 2017

      24 류덕제, "한국 현대아동문학비평론 연구" 역락 2021

      25 이재철, "한국 현대아동문학 연구사 시론−석 ․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17) : 223-260, 2000

      26 박태일, "한국 지역문학 연구" 소명출판 2020

      27 최덕교, "한국 잡지 백년(전3권)" 현암사 2004

      28 조은숙,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아동의 발견, 그 이후의 문학" 소명출판 2009

      29 원종찬, "한국 아동문학의 쟁점" 창비 2010

      30 원종찬, "한국 아동문학의 계보와 정전" 청동거울 2018

      31 최지훈, "한국 아동문학비평․ 연구사 시론" 한국아동문학학회 (창간) : 37-66, 1990

      32 원종찬, "한국 아동문학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문학교육학회 (8) : 135-146, 2001

      33 신정아, "한국 아동문학 기점 연구 - 김인식의 『표의』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학회 (32) : 159-187, 2017

      34 윤석중, "한국 동요문학 소사" 대한민국예술원 29 : 1990

      35 김젬마, "한국 근대아동소설의‘소영웅(小英雄)’ 변주와 『쿠오레』 번역" 한국학연구소 (55) : 41-74, 2019

      36 김윤식, "한국 근대문예비평사 연구" 한얼문고 1973

      37 원종찬, "한․일 아동문학의 기원과 성격 비교−방정환과 한국 근대아동문학의 본질"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1 : 91-131, 2000

      38 두전하, "한 ․ 중․ 일 프롤레타리아 아동문학" 소명출판 2019

      39 한정호, "포백 김대봉 전집" 세종문화사 2005

      40 두전하, "카프와 좌련 시기의 아동문학론 고찰" 한국아동문학학회 (24) : 231-261, 2013

      41 최애순, "초창기 SF 아동청소년문학의 전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1) : 41-88, 2017

      42 박태일, "정청산이 걸었던 『희망의 길』" 영주어문학회 41 : 391-427, 2019

      43 황병주, "자생과 이식의 코드 임화의 ‘이식문학론’"

      44 전기철, "일제하의 어린이문학 비평" (여름) : 106-120, 1996

      45 김영일, "일제시에 자유시의 깃발을 들고" 38-41, 1980

      46 원종찬, "일제강점기의 동요∙동시론 연구 -한국적 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아동문학학회 (20) : 69-100, 2011

      47 이현진, "일제강점기 조선의 일본어 아동문학" 역락 2016

      48 류덕제, "일제강점기 아동문학가의 필명 고찰"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9) : 81-144, 2016

      49 김종헌, "일제강점기 아동문학가 엄필진과 『朝鮮童謠集』 연구" 우리말글학회 83 : 297-323, 2019

      50 조은숙, "일제강점기 아동문학 서사 장르의 용어와 개념 고찰−아동 잡지에 나타난‘동화’와 ‘소설’ 관련 용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4) : 67-102, 2009

      51 문한별, "일제강점기 아동 출판물의 관리 체계와 검열 양상 - 『불온소년소녀독물역문(不穩少年少女讀物譯文)』과 『언문소년소녀독물의 내용과 분류(諺文少年少女讀物の內容と分類)』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413-434, 2013

      52 권혁래, "일제강점기 설화 ․동화집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53 김영순, "일본 아동문학 탐구" 채륜 2014

      54 김채수, "일본 사회주의운동과 사회주의 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1997

      55 김성연, "일본 구연동화 활동의 성립과 전파과정 연구" 한국일본근대학회 (48) : 133-150, 2015

      56 김제곤, "윤석중 연구" 청동거울 2013

      57 류덕제, "윤복진의 아동문학과 월북"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7) : 187-229, 2015

      58 서범석, "우정 양우정의 시문학" 보고사 1999

      59 김경희, "연성흠(延星欽)의 ‘동화구연방법의 이론과 실제’" 국문학회 (21) : 191-220, 2010

      60 류덕제, "엄필진의 『조선동요집』과 아동문학사적 의미" 한국어문학회 (149) : 297-327, 2020

      61 임동권, "엄필진 저 『조선동요집』 해설" 한국민속학회 8 : 117-148, 1975

      62 윤석중, "어린이와 한평생" 범양사출판부 1985

      63 최지훈, "어린이를 위한 문학" 비룡소 2001

      64 河原和枝, "어린이관의 근대" 소명출판 2007

      65 김해련, "아동소설 쿠오레(Cuore)의 한국수용사 연구" 춘천교대 2019

      66 김제곤, "아동문학의 현실과 꿈" 창비 2003

      67 윤석중, "아동문학의 지도와 감상" 대한교육연합회 1962

      68 박경수, "아동문학의 도전과 지역맥락: 부산 ․경남지역 아동문학의 재인식" 국학자료원 2010

      69 원종찬, "아동문학과 비평정신" 창비 2001

      70 원종찬, "아동문학 연구의 어제와 오늘" 돈암어문학회 22 : 9-27, 2009

      71 임성규, "아동문학 비평 논쟁의 초두(初頭), 그 도정(道程)과 의미 -?소금쟁이? 번역?표절 논쟁" 한국문학교육학회 (24) : 173-193, 2007

      72 김광식, "심의린의 이력과 『조선동화대집』 발간에 대한 재검토 -1926년까지 간행된 한글 설화집을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42) : 443-471, 2014

      73 김경희, "심의린의 동화운동 연구−옛이야기 재구성을 통한 조선어문학 교육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74 신원기, "심의린(沈宜麟)의 『조선동화대집』에 대한 연구 동향 고찰" 한국문학회 (76) : 235-292, 2017

      75 김광식, "식민지 조선과 근대설화−일본인의 구비문학 조사와 조선인의 대응" 민속원 2015

      76 박태일, "수원 지역 어린이문학가 안준식의삶과 문학" 한국문학회 (81) : 91-147, 2019

      77 류덕제, "송완순의 아동문학론 연구" 동화와번역연구소 (31) : 35-81, 2016

      78 염희경, "소파 방정환과 근대 아동문학" 도서출판 경진 2005

      79 박현수, "산드룡, 재투성이王妃, 그리고 신데렐라- 한국 근대 번역동화의 정전 형성과 그 의미" 상허학회 16 : 249-283, 2006

      80 원종찬, "북한의 아동문학: 주체문학에 이르는 도정" 청동거울 2012

      81 박태일, "백석의 어린이 시론, 『아동문학』 연간평" 현대문학이론학회 (63) : 191-223, 2015

      82 김인옥, "방정환의 아동관과 문학관-아동문학지 『어린이』와 동화집 『사랑의 선물』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65) : 207-237, 2020

      83 이정현, "방정환의 동화론 ‘새로 개척되는 동화에 관하야’에 대한 고찰: 일본 타이쇼시대 동화이론과의 영향 관계"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3) : 89-131, 2008

      84 원종찬, "방정환 담론 변천사 —아동문학 방면의 분화와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3) : 7-46, 2018

      85 한만수, "박세영: 그들의 문학과 생애" 한길사 2008

      86 임화, "문학의 논리" 학예사 819-841, 1940

      87 김광식, "마쓰무라 다케오(松村武雄) 『일본동화집(日本童話集)』의 출전 고찰" 한국일어일문학회 93 (93): 165-187, 2015

      88 박금숙, "두 작가를 동일인물로 혼동한 문학사적 오류 - 아동문학가 고한승과 다다이스트 고한용의 생애 고찰 중심으로 -" 한국아동문학학회 (23) : 5-64, 2012

      89 김종엽, "동화와 민족주의−19세기 후반 이탈리아 민족국가 형성기의 학교 동화 『쿠오레』의 경우" 한국사회사학회 52 (52): 195-232, 1997

      90 제해만, "동요와 동시에 대하여" (여름) : 72-92, 1996

      91 원종찬, "동아시아 아동문학사−한국, 일본, 중국, 베트남" 청동거울 2017

      92 橫須賀薰, "동심주의와 아동문학" 2004 (2004): 182-203, 2004

      93 김광식, "다카기 도시오(高木敏雄)의 조선민간전승 <조선동화집> 고찰" 일본연구소 (55) : 73-95, 2013

      94 김광식, "나카무라 료헤이(中村亮平)와『조선동화집』고찰* 12) -선행 설화집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237-259, 2013

      95 김제곤, "김제곤의 자료로 읽는 동시사(전44회)" 2010

      96 김찬곤, "김영일의 ‘자유시론’과 ‘아동자유시집’ 『다람쥐』"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0) : 87-108, 2012

      97 권석순, "김영일 아동문학 연구" 강릉대학교 대학원 2009

      98 박경수, "김병호의 시와 시 세계" 국학자료원 2004

      99 박경수, "김병호의 동시와 동시비평 연구" 국제어문학회 (29) : 325-360, 2003

      100 류덕제, "김기주의 『조선신동요선집』 연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3) : 153-184, 2018

      101 오타케 기요미(大竹聖美), "근대 한일 아동문화와 문학 관계사−1895~1945" 청운 2005

      102 오오타케 키오미, "근대 한일 아동문화교육 관계사 연구 : 1895-1945"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103 권혁래, "근대 한국 전래동화집의 문예적 성격 고찰" 한국문학회 (76) : 49-86, 2017

      104 임성규, "근대 아동문학 비평의 현실인식과 비평사적 함의−아동문학비평가 송완순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0) : 129-150, 2008

      105 이현진, "구루시마 다케히코(久留島武彦)의 구연동화와 식민정책 - 『경성일보(京城日報)』의 기사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회 (89) : 247-263, 2020

      106 문한별, "검열, 실종된 작품과 문학사의 복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107 조선문학가동맹중앙집행위원회서기국, "건설기의 조선문학" 백양당 1946

      108 仲村修, "韓國․ 朝鮮 兒童文學評論集" 明石書店 1997

      109 金成姸, "越境する文学: 朝鮮児童文学の生成と日本児童文学者による口演童話活動" 花書院 2010

      110 金成姸, "越境する文学: 朝鮮児童文学の生成と日本児童文学者による口演童話活動" 九州大學 2008

      111 윤주은, "槙本楠郞와 이주홍의 프롤레타리아 아동문학 비교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7

      112 尹朱恩, "槙本楠郎と李周洪のプロレタリア童謡比較" 대한일어일문학회 (37) : 215-230, 2008

      113 윤주은, "本楠의 아동문학 세계" 대한일어일문학회 (33) : 207-224, 2007

      114 이정현, "方定煥の翻訳童話研究: 『サランエソンムル(사랑의 선물)』を中心に" 大阪大学 2008

      115 신원기, "『조선동화대집(朝鮮童話大集)』의 내용과 문학교육적 가치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8) : 241-284, 2008

      116 송하춘, "「어머니를 차저 三千里」의 원작과 번안 문제 연구" 우리어문학회 (48) : 355-384, 2014

      117 조은숙, "‘동화’라는 개척지- 방정환의 「새로 開拓되는 ‘童話’에 關하야」(1923)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50) : 405-434, 2004

      118 사나다 히로코(眞田博子), "‘노래’가 시가 될 때까지−동시의 기원에 얽힌 여러 문제들" 1998 (1998): 878-892, 1998

      119 장노현, "<이태리 소년>에서 <엄마 찾아 삼만리>까지: 아동문학 <쿠오레>의 한국 수용사" 한국언어문화학회 (52) : 381-403, 2013

      120 전계영, "20세기 전반기 민요집 편찬 목적 및 체제에 대한 고찰-『조선동요집』․『언문 조선구전민요집』․『조선민요선』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 (70) : 271-299, 2016

      121 류덕제, "1930년대 계급주의 아동문학론의 전개 양상과 의미" 한국아동문학학회 (26) : 135-172, 2014

      122 김정인, "1920년대 천도교 소년운동의 이론과 실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3) : 143-180, 2012

      123 이시준, "1920년대 전후에 출판된 일본어 조선설화집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신일본교육구전설화집』, 『조선의 기담과 전설』, 『온돌야화』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소 (53) : 265-284, 2014

      124 김도경, "1920년대 전반 비평에 나타난 소설 개념의 재정립 - 개벽과 조선문단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3) : 341-364, 2010

      125 염희경, "1920년대 아동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방정환과 그의 시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3) : 7-60, 2008

      126 박종진, "1920년대 아동 자유화 운동과 아동 문예 잡지- 『어린이』와 『긴노후네』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학회 (33) : 89-118, 2017

      127 권혁래, "1920년대 민담의 동화화(童話化)와 심의린의 『조선동화대집』" 민족문학사연구소 (39) : 90-121, 2009

      128 김경희, "1920년대 동화집에서 『조선동화 우리동무』(1927)의 위상"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9) : 7-49, 2016

      129 임성규, "1920년대 계급주의 아동문학 비평 연구−소년문예운동 방향전환론의 전개와 비평사적 의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3) : 133-165, 2008

      130 김제곤, "1920, 30년대번역 동요 동시 앤솔러지에 대한 고찰"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3) : 151-189, 2013

      131 김요섭, "(제10권)현대일본아동문학론" 보진재 197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7 1.00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