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직의 교환관계가 조직신뢰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H자동차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89989

      • 저자
      • 발행사항

        영주 : 동양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동양대학교 대학원 , 경영학과 ,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25 판사항(6)

      • DDC

        658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v, 128장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백유성
        참고문헌: 장 98-12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직의 교환관계는 조직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핵심적 활동이며 특히 기업과 고객 간의 교환관계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실현하도록 만드는 본원적 활동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조직의 ...

      조직의 교환관계는 조직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핵심적 활동이며 특히 기업과 고객 간의 교환관계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실현하도록 만드는 본원적 활동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조직의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 내기 위한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꾸준히 연구되고 있는 조직 내 교환관계는 상사와 부하 간의 관계이다.
      본 연구는 조직의 교환관계 중에서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와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조직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성과변수인 경력성공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탐색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조직의 교환관계와 조직신뢰 그리고 경력성공을 개관한 다음, 이들 하위 변수들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지역과 경기북부 지역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지점에서 근무하는 영업직원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방법에 따라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358부의 설문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직접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종업원 교환관계가 좋을수록 조직신뢰는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구성원들이 고객-종업원 교환관계를 높게 지각할수록 경력만족과 직무만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객-종업원 교환관계는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상사-부하 교환관계는 조직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좋을수록 조직신뢰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좋을수록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상사-부하 교환관계는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조직신뢰는 경력성공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신뢰가 높을수록 경력성공의 하위요인인 경력만족, 직무만족, 고용가능성 모두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은 간접효과에 대한 분석결과의 요약이다. 첫째, 고객-종업원 교환관계는 조직신뢰를 매개하여 경력성공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객-종업원 교환관계가 좋을수록 경력성공의 하위요인인 경력만족과 직무만족 그리고 고용가능성도 간접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상사-부하 교환관계는 조직신뢰를 매개하여 경력성공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부하 교환관계는 경력성공의 하위요인인 경력만족, 직무만족, 고용가능성 모두를 간접적으로 높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조직신뢰를 매개하여 경력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고객-종업원 교환관계가 조직신뢰를 매개하여 경력성공에 미치는 간접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객-종업원 교환관계 및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조직신뢰, 경력만족, 직무만족,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고객-종업원 교환관계가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조직지원인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경력만족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나 조직지원인식의 필요성이 드러났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정리해보면, 첫째, 고객-종업원 교환관계가 좋을수록 조직신뢰와 경력성공에 유의한 연구결과를 고려해볼 때 기업의 경영자와 관리자들은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고객과 종업원의 관계개선에 한층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조직은 종업원들을 지속적이며 적극적으로 지원해주고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xchange relationship of an organization is considered to be a key activity in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organization, and in particular, the custom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is considered to be the primary activity that makes the compan...

      The exchange relationship of an organization is considered to be a key activity in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organization, and in particular, the custom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is considered to be the primary activity that makes the company realize sustainable management. In addition, intra-organizational exchange relationships, which have been consistently studied as one of the key factors to drive change and innovation in an organization, ar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ustom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nd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o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first outline organizational exchange relations, organizational trust, and career success, and then analyze and examine these sub-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o design a research model and set hypothese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data were gathered according to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sales staff working at Hyundai Motors branch (directly operated)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total of 358 questionnaires were applied to the study. After that,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direct effects reveal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the perception of the custom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 member shows, the more greatly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al trust he or she boosts. Also, the more a member has the recognition of the custom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the higher the level of the career satisfac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are shown. However, it has been proven that the custom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does not directly increase the employment possibility.
        Second,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trus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is,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trust is shown. The better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is, the higher the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ossibility are manifested. However, it was proved that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does not directly increase job satisfaction.
        Third, organizational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uccess.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trust was found to increase both career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otential,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succes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indirect effects. First, custom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success through mediation of organizational trust. In other words, it is proved that it indirectly increases career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ossi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success
        Second,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uccess through mediation of organizational trust.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ossibility indirectly increase the sub-factors of career success. The indirect effect of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on career satisfaction through mediation of organizational trust is greater than the indirect effect of the custom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on career success through mediation of organizational trust.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indirect effects. First, the custom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 of the career by mediating organizational trust. In other words,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better the custom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the higher the level of experienc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the sub-factors of career succes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been found to regulate the influence that the custom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has on career satisfaction. Therefore, the group with hig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howed higher level of career satisfaction than the group with low perceived of it, which shows the need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practical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First,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the better custom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leads to the better organizational trust and career success, it is urged that the managers and executives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custom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and pay more attention to improving it. Second, the organization should continue to support its employees actively and try to maximize their abi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5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5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절 조직의 사회적 교환관계 6
      • 1. 사회적 교환관계의 개념 6
      • 2, 유통서비스 조직과 사회적 교환관계 7
      • 3. 고객-종업원 교환관계(CMX) 9
      • 4. 상사-부하 교환관계(LMX) 15
      • 제2절 조직신뢰 22
      • 1. 신뢰와 신뢰성, 조직신뢰 22
      • 2. 조직신뢰의 형성과 측정 24
      • 3. 조직신뢰에 관한 선행연구 26
      • 제3절 경력성공 29
      • 1. 경력과 경력성공 29
      • 2. 경력성공의 유형 32
      • 3. 경력성공에 관한 선행연구 39
      • 제4절 조직지원인식 44
      • 1. 조직지원인식의 개념 44
      • 2. 조직지원인식의 구성요소 47
      • 3. 조직지원인식의 선행연구 49
      • 제3장 연구설계 55
      • 제1절 연구모형 55
      • 제2절 가설설정 56
      • 1. 조직의 교환관계와 조직신뢰 간의 관계 56
      • 2. 조직신뢰와 경력성공 간의 관계 57
      • 3. 조직의 교환관계와 경력성공 간의 관계 58
      • 4.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59
      • 제4장 실증분석 62
      • 제1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62
      •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62
      • 2. 설문지의 구성 64
      • 제2절 자료수집 및 표본의 특성 65
      • 1. 표본과 자료수집 65
      • 2. 자료의 분석방법 65
      • 3. 표본의 일반적 특성 67
      • 제3절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69
      • 1. 탐색적 요인분석 69
      • 2. 신뢰도 검증 71
      • 3. 확인적 요인분석 72
      • 제4절 연구모형의 검증 결과 78
      • 1. 연구모형의 적합도 78
      • 2. 직접효과에 대한 가설의 검증 79
      • 3. 간접효과에 대한 가설의 검증 84
      • 4.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의 검증 87
      • 제5장 결론 90
      • 제1절 연구의 요약 90
      • 제2절 연구의 시사점 94
      •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96
      • 참고문헌 98
      • Abstract 121
      • 설문지 12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양창삼, "組織理論", 서울: 博英社, 1994

      2 전병재, "“사회심리학”", 경문사, 1987

      3 백기복, "「리더십리뷰」", 창민사, 2016

      4 이춘우, "“인적자원관리”", 무역 경영사, 2014

      5 송준호, 임외석, 신승국, "“인적자원관리”", 도서출판 범한, 2014

      6 배병렬, "Amos 21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청람, 2014

      7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비앤엠북스, 2005

      8 강영순, 김희철, "“LMX 질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조직과 인사관리 연구」, 27(4), 253-274, 2003

      9 강혜련, 조미영, "남녀관리자의 경력성공 모형 비교", 「인사조직연구」, 15(2), 1-38, 2007

      10 박정준, "“나는 아마존에서 미래를 다녔다”", 한빛비즈, 2019

      1 양창삼, "組織理論", 서울: 博英社, 1994

      2 전병재, "“사회심리학”", 경문사, 1987

      3 백기복, "「리더십리뷰」", 창민사, 2016

      4 이춘우, "“인적자원관리”", 무역 경영사, 2014

      5 송준호, 임외석, 신승국, "“인적자원관리”", 도서출판 범한, 2014

      6 배병렬, "Amos 21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청람, 2014

      7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비앤엠북스, 2005

      8 강영순, 김희철, "“LMX 질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조직과 인사관리 연구」, 27(4), 253-274, 2003

      9 강혜련, 조미영, "남녀관리자의 경력성공 모형 비교", 「인사조직연구」, 15(2), 1-38, 2007

      10 박정준, "“나는 아마존에서 미래를 다녔다”", 한빛비즈, 2019

      11 김성종, 현병무, "「조직신뢰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444-453, 2015

      12 안성익, "팀신뢰의 개념정립과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3 이재은, "사무직 근로자의 경력성공 준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4 박내회, "“우리 나라 인력 개발의 문제와 개선 방향”", 「대학교육」, 111, 20-27, 2001

      15 손동성, 탁진국, "“서번트 리더십이 종업원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5(2), 373-395, 2012

      16 이혜진, "「사서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7 심미영,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경력성공: 경력개발의 역할", 고려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8 윤하나, 탁진국,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9(3), 325-347, 2006

      19 최재욱, "「신뢰성과 조직신뢰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동양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0 조선배, "The Service Standardization and its effects of the Korea Hotel Industry", 「호텔경영학연구」, 15(2), 349-360, 2006

      21 백유성, "동료신뢰성, 조직신뢰,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경 영과 정보연구」, 35(4), 155-168, 2016

      22 이재훈, 최익봉, "조직공정성, 신뢰, 조직유효성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12(1), 92-132, 2004

      23 김혜진, 백유성, 남정순, "조직신뢰가 고객-종업원관계와 역할행동에 미 치는 영향", 「사회적기업연구」, 11(1), 127-146, 2019

      24 류은숙, "직장남성의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관리 행 동",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5 내은영, 최병권, 문형구, "“국내 신뢰연구의 동향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 언”", 「경영학연구」, 40(1), 139-186, 2011

      26 김호균, "조직공정성인식, 조직신뢰, 조직시민행동간 영향관계분석", 「한국행정학보」, 41(2), 69-94, 2007

      27 이경호, "『조직 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단국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8 서대교, "「기업의 사회적 책임, 조직신뢰 및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동 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9 현병무, "「조직신뢰와 직무열의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단 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0 박진현, "개인특성이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동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1 조영복, 곽선화, 고경희, "“조직구성원의 Personal Initiative가 경력성공 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14(1), 191-215, 2007

      32 강성환, "“상사-부하 교환관계(LMX)가 부하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세경영연구」, 54(1), 125-150, 2017

      33 김종우, 장은진, "“서비스공정성과 고객교환관계가 고객몰입에 미치는 영 향”",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010(1), 1-15, 2010

      34 최재영, "「조직지원과 상사의 지원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35 김찬배, 이윤철, "“사회적 저본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개념적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15(4), p. 107, 2008

      36 이정호, "「세대별 프로틴 경력 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 향」",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7 류승민, 박원우, "“개인, 집단, 조직에 신뢰와 불신의 선행요인에 관한 문헌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학술발표자료, 2005

      38 이지환, "골프장 캐디의 교환관계가 직무만족과 서비스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1(2), 279-289, 2012

      39 김대원, 박철민, "조직공정성과 조직성과간 신뢰의 매개효과: 구조방정식 모 형 접근", 「지방정부연구」, 16(1), 47-66, 2012

      40 장영희, "「개인특성과 보상만족이 조직신뢰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 향」", 동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1 박경규, 장은주, "성별에 따른 개인특성 및 사회적 자본과 주 관적 경력성공과의 관계", 「경영학연구」, 34(1), 141-166, 2005

      42 이서윤, "「이미지관리 행동이 심리적 기대효과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 향」", 동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3 서종현, "정서지능과 고객-종업원 관계가 정서노동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4 이건혁, "커뮤니케이션과 참여, 그리고 조직성과, 지식공유와 신뢰의 매개효과", 「언론과학연구」, 12(3), 268-300, 2012

      45 임인환, 홍경옥, "호텔 직원의 경력특성, 조직몰입, 경력몰입, 직무만족과 의 관계 검증", 「동북아관광연구」, 10(1), 203-230, 2014

      46 하종원, "무경계 경력태도와 사회적 자본 유형, 경력성공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7 류인평, 조의영, 전효진, "“외식기업의 사회적 교환관계, 임파워먼트, 조직 유효성의 관계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6(6), 763-771, 2006

      48 김윤성, 박동수, "지각된 조직적 지원과 조직공정성 의사소통 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 「경영연구」, 18(2), 1-33, 2003

      49 이기은,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의 결합효과와 직무태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0(5), 2301-2320, 2008

      50 김경은, "「뷰티산업 종사자의 사회적 교환관계, 행복 및 조직효과성 간 의 관계」", 동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51 최재필, "「온-오프라인 사회적 네트워크가 업무성과와 경력성공에 미치 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52 김민희, "「종업원과 고객 간의 상업적 우정의 선행변수 및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53 김부희, 서균석, 박동진, 김태형, "개인과 조직의 경력관리가 경력만족, 경력전망 및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32(6), 1715-1739, 2003

      54 공태식, 이유재, 우문규, 박재우, "서비스품질이 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S-SQI를 중심으로", 「서비스마케팅저널」, 3(2), 69-80, 2010

      55 장혜진, "“컨벤션 종사자의 조직신뢰가 직무만족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 향연구”", 「관광연구」, 30(2), 375-399, 2015

      56 김상범, "「호텔 종사원의 임금만족도가 조직후원인식과 이직의도에 미치 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57 김종우, "“고객지원인식, 고객-종업원 교환관계, 고객만족 및 고객몰입 간 의 관계”", 「마케팅논집」, 23(4), 141-160, 2015

      58 박정준, 윤만희, "“서비스 종업원의 교환관계 인식이 역할내 외적행위수 행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34(3), 783-813, 2005

      59 이경은, "「항공사 캐빈 승무원 인턴제도가 이직 의도, 직무 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60 이성우, "「호텔기업의 리더십 유형이 사회적 교환관계와 조직성과에 미 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61 송지준, "“관광호텔 종사원의 LMX 질에 따른 임파워먼트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14(4), 157-174, 2005

      62 공태식, 이유재, 유재원, "서비스 조직과 고객의 교환관계가 고객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33(6), 1809-1845, 2004

      63 백유성, "“고객-종업원 교환관계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 Big 5 성격 유 형의 조절효과”", 「경영과 정보연구」, 33(2), 155-170, 2014

      64 윤만희, "서비스종업원의 교환관계 확장이 직무관련 태도와 서비스 수 행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 24(2) 51-79, 2009

      65 최혜수, "「개인과 조직의 경력관리가 호텔직원의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66 조연화, "「기혼 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경력성공 간의 관계 : BWF의 매 개효과를 중심으로」", 동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67 김동환, 양인덕, "개인혁신행동의 선행요인으로서 조직공정성과 조직지원인식의 역할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3(2), 49-75, 2009

      68 진도령, "「리더-멤버 교환관계, 조직성과. 임파워먼트, 조직지원인식의 구조적 관계분석」",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69 최익봉, "신뢰,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조직몰입의 매개적 역 할",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9(4), 35-66, 2005

      70 이정, 장영철, ""리더십 類型이 組織沒入에 미치는 影響에관한 硏究- 조 직 신뢰를 매개변인으로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28(1), 137-172, 2004

      71 김성남, "「경력관리활동, 사회적 교환관계 및 직장-가정 갈등이 경력성 공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2 안석찬, "호텔리어의 온 오프라인 사회적 네트워크가 경력계획 및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73 박수성, "「호텔기업에 있어 멘토링의 기능이 주관적 경력성공 및 경력몰 입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74 윤만희, "“팀 맥락에서의 서비스 종업원의 상대적 상사 부하 교환관계와 교환관계의 차별화”", 「마케팅논집」, 25(3) 27-42, 2017

      75 박명옥, "「호텔종사자의 성격특성, 인상관리, 상사-부하 교환관계 및 직 무만족간 관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76 김은석,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프로테우스적 경력 태도와 개 인 및 조직 특성의 위계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7 신영원, "직장인의 조직신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78 서문식, 안진우, "고객참여가 서비스접점에서 서비스제공자와의 상호작용과 감 정적 요소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38(4), 897-934, 2009

      79 장경석, "「커피전문점의 LMX(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종업원 만족 및 장기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80 이호형, "「콜센터 상담원의 긍정심리자본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직무만 족의 매개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81 김종우, "고객-종업원 교환관계, 팀-구성원 교환관계, 다차원적 감 정노동 및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마케팅논집」24(4) 151-172, 2016

      82 서재현, "의사결정참여 및 직업불안정성이 조직후원인식, 조직신뢰 및 역할 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13(1), 173-198, 2005

      83 박성현, "부하의 핵심자기평가와 업무몰입 및 상사와 부하간 교환관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84 고인희, "“항공사 승무원의 번영감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의 조절효과”", 「리더십연구」, 10(2), 3-23, 2019

      85 정완영, "“교육훈련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교육훈련전이의 매개효과와 조직 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86 김이태, 한진환, "“조직후원인식,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질이 임파워먼 트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22(3), 259-284, 2007

      87 고수정, "「社會福祉專門人力의 職務滿足및 組織沒入影響要因에 관한 硏究: 公 私部門從事者의 比較」",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88 박세현, "「직장인 프로틴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재능 기부활동만족도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9 김윤식, "「정부조직 통합인적자원관리체제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 관 세청의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90 황은주, "리더-부하 교환관계(LMX)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CSR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91 박규경, "경력계획이 경력만족, 경력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지원을 조절변수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0

      92 김대수, 윤정현, "“조직지원인식과 상사부하교환관계가 조직응집력 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역할 갈등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2(1), 271-296, 2015

      93 정준수, "변혁적 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이 혁신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 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8

      94 김인웅, "고객- 상사- 동료- 종사원간 관계의 질이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고 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산업학회지」, 6(2), 137-164, 2010

      95 이재봉, "「군 간부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 및 조직효과성 에 미치는 영향 : 경력몰입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96 김은광, "“사이버대학 교직원의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취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2

      97 박영주,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사경 찰과 일반경찰의 비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8

      98 이수범, 이행순, "“외식 프랜차이즈 선택동기, 지원 서비스, 브랜드 자산 이 LMX의 질과 재계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 구」, 18(2), 97-115, 2006

      99 양현교, "“호텔직원의 조직후원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와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9

      100 노관석, "직업군인의 감성지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와 주관적 경 력성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01 이소영,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상사-구성원 교환관계가 직 무만족,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02 이영욱,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지원인식과 상사 -부하 간 교환관계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03 강인주,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경력학습, 경력 동기, 조직지원인식, 조직몰입, 경력몰입 및 고용가능성의 관 계",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04 정선정,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고용가능성과 훈련생의 사회심리적 특 성, 훈련프로그램 특성, 학습몰입 및 경력계획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05 김점남, 이형룡, 이상희, "호텔 식음료직원의 개인특성이 상사,부하간 교환관계, 부하 직원의 갈등지각 및 커뮤니케이션의 개방성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13(1), 61-78, 2004

      106 박슬기, "「호텔직원의 직무관련 개인성향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원과 경력정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07 정연승, "“자동차 판매점의 영업사원이 지각하는 서비스 분위기의 선행요 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교환이론을 중심으로”", 「마케팅연 구」, 27, 86-112, 2012

      108 변재우, "호텔 종사원이 인지하는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직무스트레 스, 직무만족 및 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경 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09 신수진,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지속학습 활동, 경력정체성 및 경력적응성,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간의 구 조적 관계", 고 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10 권나경, "「호텔기업의 제안된 직원가치(EVP:Employee Value Proposition)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직무순환의 매개효과 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11 신수림, "「산업체 종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고용가능성, 조직경력관 리지원, 프로틴 경력태도, 프로틴 경력관리행동의 인과적 관계」", 서울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12 박 순, ", “일과 삶의 균형(WLB)지원제도와 성과주의 인사제도가 종 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 조절효과를 중심 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