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청준의 「눈길」연구 = A Study on 「Snowy Road(눈길)」by Lee Cheong-J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780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청준의 단편소설 「눈길」을 대상으로 작중인물의 갈등과 관계변화 과정이 ‘집’과 ‘길’의 공간 모티브와 결합되는 양상을 해명한다. ‘집’에서는 소멸과 재생의 이미지가 동시에...

      이청준의 단편소설 「눈길」을 대상으로 작중인물의 갈등과 관계변화 과정이 ‘집’과 ‘길’의 공간 모티브와 결합되는 양상을 해명한다.
      ‘집’에서는 소멸과 재생의 이미지가 동시에 드러난다. 이 소설의 공간적 배경으로서 ‘집’은 작중인물이 어린 시절에 살던 집과 현재 어머니가 살고 있는 집으로 나누어진다. 옛집은 기존에 유지되어 왔던 가족관계의 파탄을 상징한다. 현재의 집은 소멸의 공간 이미지를 띤다. 하지만 그 안에서 벌어지는 어머니와 아내의 대화를 통해 파괴되었던 모자관계의 원형을 회복한다는 점에서 그건 재생의 공간 모티브라고 볼 수 있다.
      ‘길’은 이동의 속성을 띤 공간으로서 작중인물의 존재론적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 모티브다. ‘나’가 옛집을 찾아간 길은 탐색을 유도하는 공간이다. 그곳에서 하룻밤을 지냄으로써 주인공은 미성숙 단계에서 벗어나 성년의 인식을 갖게 된다. 또한 새벽까지 이어지는 아내와 어머니의 대화는 현재와 과거를 연결하는 시간적이고 심리적인 길로서 ‘나’를 존재론적 전환으로 이끄는 구실을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길을 따라 과거의 시간으로 떠난 ‘나’는 비로소 어머니와 화해의 단계에 이른다.
      소설의 공간적 배경은 독자의 감각을 자극해서 의미를 형성하는 데 직접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공간의 연구는 작품을 깊고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initiation structure of contemporary Korean novel. Especially initiation structure is one of rites of passage in myths. In order to clarify, contemporary Korean novel’s initiation structure, this paper analyzed the various symb...

      This study focuses on initiation structure of contemporary Korean novel. Especially initiation structure is one of rites of passage in myths. In order to clarify, contemporary Korean novel’s initiation structure, this paper analyzed the various symbols employed in Lee Cheong Jun’s 「Snowy Road(눈길)」.
      As symbolism in story has a close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archetype, I accommodated archetypal criticism to analyze the works in the paper. So this paper started by viewing the concept of symbolism of house and road. House and road of 「Snowy Road(눈길)」symbolized death and rebirth of charact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소멸과 탐색의 상징적 공간 - ‘집’
      • 3. 재생과 전환의 상징적 공간 - ‘길’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소멸과 탐색의 상징적 공간 - ‘집’
      • 3. 재생과 전환의 상징적 공간 - ‘길’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청준, "한국현대소설문학대계 53" 동아출판사 1995

      2 유경수, "이청준의 「눈길」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2 (32): 173-192, 2005

      3 권오룡, "이청준론" 심인행 1991

      4 이화진, "이청준 소설의 글쓰기 양상에 대한 검토" 반교어문학회 2003

      5 홍웅기, "이청준 소설의 공간성 연구 : '섬'의 공간적 특성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6 마희정,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고향탐색" 개신어문학회 21 : 2004

      7 장윤호, "이청준 소설 연구 : 고향탐색 모티프(motif)작품들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00

      8 가스통 바슐라르, "물과 꿈" 문예출판사 1980

      9 林今福, "李淸俊 小說 硏究: 小說家가 등장하는 作品을 中心으로"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1987

      10 이재선, "家와 家門"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89

      1 이청준, "한국현대소설문학대계 53" 동아출판사 1995

      2 유경수, "이청준의 「눈길」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2 (32): 173-192, 2005

      3 권오룡, "이청준론" 심인행 1991

      4 이화진, "이청준 소설의 글쓰기 양상에 대한 검토" 반교어문학회 2003

      5 홍웅기, "이청준 소설의 공간성 연구 : '섬'의 공간적 특성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6 마희정,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고향탐색" 개신어문학회 21 : 2004

      7 장윤호, "이청준 소설 연구 : 고향탐색 모티프(motif)작품들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00

      8 가스통 바슐라르, "물과 꿈" 문예출판사 1980

      9 林今福, "李淸俊 小說 硏究: 小說家가 등장하는 作品을 中心으로"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1987

      10 이재선, "家와 家門"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89

      11 J. Kestner, "The Spatiality of the Novel"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978

      12 M. Eliade, "The Sacred and the Profane" Harcourts, Brace & World 1959

      13 A. van Gennep, "The Rites of Passage" Chicago University Press 1966

      14 M. Eliade, "Rites and Symbols of Initiation" Harper & Row 1958

      15 C. G. Jung, "Psycological Reflect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0

      16 Burrow, David J, "Myths and Symbols in Indian Art and Civiliz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6

      17 P. Wheelwright, "Metaphor and Reality" Indiaa Universitr Press 196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3-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93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