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설의 이해와 적용을 통한 인문사고 함양 글쓰기 = Writing for Liberal art thinking`s Cultivating of Novel`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87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의 글쓰기 강좌는 인문사고 함양을 위해 어떠한 수업을 진행해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내러티브의 이해와 적용은 문해력(Literacy)은 물론 인문소양 함양의 유용한 방...

      대학의 글쓰기 강좌는 인문사고 함양을 위해 어떠한 수업을 진행해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내러티브의 이해와 적용은 문해력(Literacy)은 물론 인문소양 함양의 유용한 방법과 준거를 제공한다. `탈분과학문 연구(postdisciplinary studies)`로서 인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해 보려는 시도로 문예학 서적에 의거하지 않고, 인접학문에서 소설의 가치를 어떻게 규명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문화진화론의 관점에서 이야기는 인간의 친사회성 증진을 위해 진화해 온 유용한 예술이다. 인문과학의 관점에서 내러티브는 인간 활동의 다양한 에피소드들이 결합된 것으로 삶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본 틀이다. 이러한 내러티브의 가치에 주목하여, 수업활동자료로 소설작품을 활용했다. 김유정의 소설 `동백꽃`을 모티프로 삼되, 학습자들은 모둠별로 새로운 캐릭터를 창조하여 우리 시대 사랑을 조명하는 작품을 창작했다. 학습자들은 새로운 관점으로 오늘날 지향해야 하는 다양한 사랑의 모습을 작품에 담아냈다. 물신화, 화려한 도시문명, 전쟁과 같은 외압에도 견뎌내는 사랑의 힘을 그려 냈다. 학습자들은 창작과 공연 후, 각색본을 대상으로 비평문을 작성했다. 1차 비평문이 다양한 각색본의 분석에 주목했다면, 첨삭 후 수정한 2차 비평문에서는 각색본의 분석을 바탕으로 자신이 지향하는 사랑에 대한 독자적인 시학을 서술했다. 학습자들은 그들의 관점으로 지금 이 곳이 지닌 문제들을 창작으로 구현해 냈으며, 그 과정에서 그들의 가치관을 구체화하고 확장시켜 나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kind of lessons should a college writing course take to cultivate students` humanistic foundation? In this sense of problem consciousness,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ity of writing for cultivating humanistic foundation utilizing novel works. T...

      What kind of lessons should a college writing course take to cultivate students` humanistic foundation? In this sense of problem consciousness,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ity of writing for cultivating humanistic foundation utilizing novel works. Taking the novel as a material for class activity is because it focuses on the value of the narrative that the novel has. Understanding and creation of narrative provides useful opportunities for cultivation of humanistic foundation as well as analytical ability. As an attempt to explore the new possibilities of the humanities as `postdisciplinary studies`, this study examined how to identify the value of narrative in the neighboring disciplinary studies, not based on literary 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volution, narrative is a useful art that has evolved to promote human prosoci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ciences, narrative is the union of various episodes of human activity and i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life in an integrated way. In a writing lecture in K college, this study analyzed the narrative of novel works for cultivating the humanistic foundation and made a new creation activity. They adopted Kim Yujeong`s novel `Camellia` as a motif but the learners created a new character for each group to create works that illuminated the love of our time. The learners put into their works various forms of love that they believed must exist these days with a new perspective. They drew up love enduring fetishism, brilliant urban civilizations, and external pressure of war. After the creation and the performance, the learners wrote the criticism on the adaptation patterns. If the primary criticism focused on the analysis of various adaptations, the second criticism after revision described the unique poetry of the love that they were pursu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daptations. From their own viewpoints, the learners created the problems that there were at the present time by creation, and in the process they embodied and expanded their valu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성환, "통섭의 학문으로서의 ‘글쓰기 인문학’과 효율적인 평가 방안"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연구소 61-96, 2011

      2 신승환, "지금 여기의 인문학" 후마니타스 2010

      3 김주언, "인문학적 실천을 모색하는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115-134, 2014

      4 강명혜, "인문학적 상상력을 통한 창의적 글쓰기, 말하기 교수 학습 전략" 온지학회 (39) : 265-296, 2014

      5 백낙청, "인문학의 새로움은 어디서 오나" 창작과비평사 (여름) : 334-357, 2014

      6 월터 카우프만, "인문학의 미래" 동녘 2011

      7 얼 쇼리스, "인문학은 자유다" 현암사 2013

      8 유강하, "인문학 고전의 대화적 해석과 소통 — “인문학 고전 읽기와 토론” 수업을 예로" 한국중어중문학회 (54) : 129-150, 2013

      9 브라이언 보이드, "이야기의 기원, 인간은 왜 스토리텔링에 탐닉하는가" 휴머니스트 2009

      10 김유정, "원본 김유정 전집 104호" 2007

      1 신성환, "통섭의 학문으로서의 ‘글쓰기 인문학’과 효율적인 평가 방안"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연구소 61-96, 2011

      2 신승환, "지금 여기의 인문학" 후마니타스 2010

      3 김주언, "인문학적 실천을 모색하는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115-134, 2014

      4 강명혜, "인문학적 상상력을 통한 창의적 글쓰기, 말하기 교수 학습 전략" 온지학회 (39) : 265-296, 2014

      5 백낙청, "인문학의 새로움은 어디서 오나" 창작과비평사 (여름) : 334-357, 2014

      6 월터 카우프만, "인문학의 미래" 동녘 2011

      7 얼 쇼리스, "인문학은 자유다" 현암사 2013

      8 유강하, "인문학 고전의 대화적 해석과 소통 — “인문학 고전 읽기와 토론” 수업을 예로" 한국중어중문학회 (54) : 129-150, 2013

      9 브라이언 보이드, "이야기의 기원, 인간은 왜 스토리텔링에 탐닉하는가" 휴머니스트 2009

      10 김유정, "원본 김유정 전집 104호" 2007

      11 스티븐 핑커, "빈 서판" 사이언스북스 2004

      12 천명관, "동백꽃" (104) : 141-156, 2013

      13 Donald E. Polkinghorne,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학지사 2009

      14 앤서니 크론먼, "교육의 종말" 모디브북 2009

      15 이명희, "고전 리텔링(re-telling)을 통한 창조적 글쓰기 -건국대학교의 ‘창조적 사고와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26 : 305-332,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879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