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당제와 지역 축제를 통해서 본 마을 정체성의 변화 : 옹암리의 사례 = Village Ritual, Village Festival and Village Identity : A case Study of Ongam-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8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village identity and its change in Ongam-Ri. Ongam-Ri was prosperous port village, but now it is small commercial village which deals salted shrimps. The villagers wants to identify themselves as villagers of prosperous p...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village identity and its change in Ongam-Ri. Ongam-Ri was prosperous port village, but now it is small commercial village which deals salted shrimps. The villagers wants to identify themselves as villagers of prosperous port village.
      Identity is not static but fluid. The identity of Ongam-Ri is fluid between prosperous port village and small commercial village. Villagers sometimes identify themselves as member of prosperous port village but sometimes as members of salted shrimp village.
      Village ritual and village festival is social arena which two identities are compete. The image of glorious past and the identity as prosperous port village is expressed in village ritual and new identity as salted shrimp village is constituted in village festival.
      However, village ritual and village festival is not only comparison of past and present but process to make village identity. Village ritual is understood to explain present compared to past and village festival is understood to recover glorious past. Village ritual and village festival is sometimes compete and in other case complement to make village ident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충남의 옹암 마을을 사례로 하여 당제와 지역 축제를 통하여 표현되고 있는 마을 정체성의 역동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옹암 마을에서 마을 정체성은 과거의 번성했던...

      이 연구는 충남의 옹암 마을을 사례로 하여 당제와 지역 축제를 통하여 표현되고 있는 마을 정체성의 역동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옹암 마을에서 마을 정체성은 과거의 번성했던 포구마을과 현재의 새우젓 생산과 유통을 하는 마을 사이에서 유동성을 가지고 있다. 주민들은 때로는 영광스러운 포구 마을 주민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지만 또 다른 맥락에서는 토굴 새우젓 마을 주민으로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있다. 두 가지 차원의 정체성이 공존하면서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것은 영광스러웠던 과거만 기억하기에는 현실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고 현실을 설명하기에는 주민들의 합의를 끌어낼 수 있는 정체성의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런 과정에서 당제와 지역 축제는 정체성 경쟁의 사회적 영역이 되고 있다. 당제에서는 영광스러웠던 과거가 기억되고 재생산된다. 그러나 그런 과거는 현재와 대비되어 현재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당제를 지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영광스러웠던 과거를 기억해야 한다는 것과 함께 만족스럽지 못한 현실을 부정하고 싶은 욕구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이다. 반면 지역 축제는 새로운 정체성 만들기의 기회로 활용되고 있다. 새우젓 축제는 지역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지만 이 과정에서 옹암리는 토굴 새우젓이라는 이미지를 자신들의 정체성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옹암리에서 당제와 지역축제는 단순히 과거의 정체성과 현재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표현하는 문화적 장치로 대비되는 것은 아니다. 당제는 과거에 비추어 현재를 설명하고 있으며 지역축제는 과거의 영화로운 모습을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이해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당제와 지역축제는 정체성 만들기 과정에서 경쟁하기도 하고 보완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옹암리에서 당제와 지역 축제는 지역 정체성을 드러내는 과정인 동시에 자신들이 원하는 지역정체성을 만들어 가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홍성 독배마을 : 토굴 새우젓으로 이름난 옛 포구마을" 대원사 2008

      2 장 뒤비뇨, "축제와 문명" 한길사 1998

      3 이정덕, "지역축제와 지역 정체성 : 풍남제와 춘향제의 사례를 통해 in : 축제, 민주주의, 지역 활성화" 새길 1999

      4 홍석준, "지역축제를 통해 본 지역정치와 정체성 : 전남 영암 영보 풍향제의 사례" 역사문화학회 6 (6): 2003

      5 정근식, "지역전통과 정체성의 문화정치" 경인문화사 2004

      6 홍성흡, "정체성과 지역정치 in : 구림연구—마을공동체의 구조와 변동" 경인문화사 2003

      7 쟝—피에르 바르니에, "문화의 세계화" 한울 2000

      8 강정원, "근대화와 동제의 변화: 부천 먼마루 우물고사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35 (35): 41-71, 2002

      9 Hobsbaum & Ranger, "The Invention of Tradition" Cambridge Univ. Press 1983

      1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홍성 독배마을 : 토굴 새우젓으로 이름난 옛 포구마을" 대원사 2008

      2 장 뒤비뇨, "축제와 문명" 한길사 1998

      3 이정덕, "지역축제와 지역 정체성 : 풍남제와 춘향제의 사례를 통해 in : 축제, 민주주의, 지역 활성화" 새길 1999

      4 홍석준, "지역축제를 통해 본 지역정치와 정체성 : 전남 영암 영보 풍향제의 사례" 역사문화학회 6 (6): 2003

      5 정근식, "지역전통과 정체성의 문화정치" 경인문화사 2004

      6 홍성흡, "정체성과 지역정치 in : 구림연구—마을공동체의 구조와 변동" 경인문화사 2003

      7 쟝—피에르 바르니에, "문화의 세계화" 한울 2000

      8 강정원, "근대화와 동제의 변화: 부천 먼마루 우물고사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35 (35): 41-71, 2002

      9 Hobsbaum & Ranger, "The Invention of Tradition" Cambridge Univ. Press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97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