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제주도 탈염 용암 해수를 이용하여 수경재배한 새싹인삼 추출물의 In Vitro 신경독성에 대한 신경보호 효과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용한 미네랄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산업적 가치가 높은 제주 용암 해수에서 탈염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탈염 용암 해수를 이용하여 수경재배한 새싹인삼추출물 건조...

      본 연구에서는 유용한 미네랄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산업적 가치가 높은 제주 용암 해수에서 탈염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탈염 용암 해수를 이용하여 수경재배한 새싹인삼추출물 건조시료를 Q-Orbitrap으로 성분을 규명하고, HPLC로 기준 및 시험방법을 설정하여 표준화했으며 ICP-AES를 이용하여 무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시험결과에서 주요 ginsenoside Rb1, Rg1 및 Na, Mg, Ca, Sr, V와 같은 미네랄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했으며 이에 대한 효능을 입증하기 위해서 제주도 탈염 용암 해수를 이용해 수경재배한 새싹인삼 추출물에 대한 신경세포사멸과 신경세포 염증 반응 억제, 신경전달물질 및 시냅스 가소성 회복을 통한 기억력 개선에 대해 in vitro 효능검증을 수행하였다. 제주도 탈염 용암 해수 수경재배 새싹인삼 추출물에 대한 동결 건조를 진행 후 ginsenoside 함량 분석을 진행한 결과에서 ginsenoside Rb1(11.5 mg/g), Rg1(6.85 mg/g), Re(19.2 mg/g)의 합이 37.55 mg/g으로 측정되었고, 이는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인삼 기능성분의 함량기준인 Rb1, Rg1의 합이 0.8~34 mg/g인 것과 비교했을 때, 탈염 용암 해수로 수경재배한 제주새싹인삼 동결 건조물은 개별 인정형 원료로서의 충분한 요건을 갖춘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제주도 탈염 용암 해수 수경재배 새싹인삼 추출물 건조시료에 대한 세포독성 및 효능평가 결과에서 제주도 탈염 용암 해수 수경재배 새싹인삼추출물 건조시료는 RA-differentiated SH-SY5Y neuronlike cell에 48시간 동안 처리 시 1,250 μg/mL에서도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더욱이 Aβ1-42 oligomer(10 μM)를 72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유도한 세포실험 모델에서 비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제주도 탈염 용암 해수 수경재배 새싹인삼 추출물 건조시료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세포사멸 관련 바이오마커들인 cleaved/total caspase-3 ratio, cleaved/total PARP, Bax/Bcl-2 ratio를 감소시켜 Aβ1-42 oligomer에 의한 신경세포사멸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RA-differentiated SH-SY5Y neuron-like cell에 H₂O₂(300 μM)를 처리하여 신경세포 염증 반응을 유도한 세포실험 모델에서 비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제주도 탈염용암 해수 수경재배 새싹인삼 추출물 건조시료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염증 반응과 관련된 NF-κB p65 단백질의 nuclear translocation 억제, COX-2 단백질 발현 감소, MAPK (ERK1/2, SAPK/JNK, p38 MAPK) 인산화를 감소시켜 H₂O₂에 의한 신경세포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한편 RA-differentiated SH-SY5Y neuron-like cell에 Aβ1-42 oligomer(1 μM)를 처리하여 신경전달물질 및 시냅스 가소성 감소를 유도한 세포실험 모델에서 비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제주도 탈염 용암 해수 수경재배 새싹인삼 추출물 건조시료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시냅스 가소성과 관련된 CREB 전사인자의 인산화를 통한 활성화로 신경전달물질인 BDNF 발현이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AChE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Aβ1-42 oligomer에 의한 신경전달물질 및 시냅스 가소성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제주도 탈염 용암 해수를 이용한 새싹인삼은 질환 특이적인 성분의 증가를 높여줌으로써 산업적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활용한 다른 약용작물 및 특용작물의 생산을 통한 건강기능식품 원료개발에도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extract of Panax ginseng sprouts cultivated by hydroponics using desalinated magma seawater from Jeju island (Korea) on neurotoxicity in vitro.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Panax ginseng sprou...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extract of Panax ginseng sprouts cultivated by hydroponics using desalinated magma seawater from Jeju island (Korea) on neurotoxicity in vitro.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Panax ginseng sprouts extracts were analyzed using LC-Q-orbitrap, and ginsenosides (Re, Rg1, Rg2, Rb1, and Rd) were detected. Analysis method based on HPLC was developed for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Rb1, Rg1, and Re. For the in vitro analysis, the extract inhibited Aβ1-42 oligomer-induced neurotoxicity through inhibition of cleaved caspase-3, cleaved PPAR, and Bax expression, as well as activation of Bcl-2 expression. The extract inhibited H₂O₂-induced neuroinflammatory responses through inhibition of nuclear translocation of NF-κB p65 and COX-2 expression, in addition to phosphorylation of MAPK (ERK1/2, SAPK/JNK, and p-38 MAPK). The extract stimulated BDNF expression through CREB activation by phosphorylation at Ser<SUP>133</SUP> and inhibited up-regulation of AChE activity by Aβ1-42 oligomer-induced neurotoxicity.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in vitro evidence that the experimental extract exhibits neuroprotective properties against Aβ1-42-induced neuro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which suggests that the extract has potential to be developed into a new functional food for neuroprotection and learning/memory improvement in the global food marke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desalinated magma seawater from Jeju island (Korea) may be applied for the cultivation of other functional plants in order to enhance functional compon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대철, "홍삼·백삼 및 압출성형 건조수삼의 성분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247-254, 2005

      2 이현주, "한국과 일본의 해양심층수 산업화와 제주 용암해수의 활용성 연구" 동아시아일본학회 (45) : 451-469, 2013

      3 배기화, "제주 용암해수를 이용한 희귀식물 자란(Bletilla striata)의 기내배양" 한국식물생명공학회 39 (39): 281-287, 2012

      4 표미경, "인삼잎으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F1의 Elastase 및 Tyrosinase 억제 효과" 한국생약학회 44 (44): 10-15, 2013

      5 이동우,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근거중심 처방" 대한의사협회 52 (52): 417-425, 2009

      6 김금숙, "수경재배 인삼의 부위별 진세노사이드 분석" 한국원예학회 28 (28): 216-226, 2010

      7 Bishayee A, "Time course effects of vanadium supplement on cytosolic reduced glutathione level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48 : 275-285, 1995

      8 Park SJ, "The anti-obesity effect of natural vanadium-containing Jeju ground water" 151 : 294-300, 2013

      9 Tsave O, "Role of vanadium in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 association with immune-related inflammation and pharmacotoxicology mechanisms" 2016 : 4013639-, 2016

      10 Lombardo S, "Role of the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in Alzheimer’s disease pathology and treatment" 96 : 255-262, 2015

      1 하대철, "홍삼·백삼 및 압출성형 건조수삼의 성분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247-254, 2005

      2 이현주, "한국과 일본의 해양심층수 산업화와 제주 용암해수의 활용성 연구" 동아시아일본학회 (45) : 451-469, 2013

      3 배기화, "제주 용암해수를 이용한 희귀식물 자란(Bletilla striata)의 기내배양" 한국식물생명공학회 39 (39): 281-287, 2012

      4 표미경, "인삼잎으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F1의 Elastase 및 Tyrosinase 억제 효과" 한국생약학회 44 (44): 10-15, 2013

      5 이동우,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근거중심 처방" 대한의사협회 52 (52): 417-425, 2009

      6 김금숙, "수경재배 인삼의 부위별 진세노사이드 분석" 한국원예학회 28 (28): 216-226, 2010

      7 Bishayee A, "Time course effects of vanadium supplement on cytosolic reduced glutathione level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48 : 275-285, 1995

      8 Park SJ, "The anti-obesity effect of natural vanadium-containing Jeju ground water" 151 : 294-300, 2013

      9 Tsave O, "Role of vanadium in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 association with immune-related inflammation and pharmacotoxicology mechanisms" 2016 : 4013639-, 2016

      10 Lombardo S, "Role of the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in Alzheimer’s disease pathology and treatment" 96 : 255-262, 2015

      11 Zwolak I, "Protective effects of dietary antioxidants against vanadium-induced toxicity: a review" 2020

      12 Kyunglae Cho, "Optimization of Enzymatic Pretreatment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Ginseng using Leaves, Stems and Roots of Ginseng" 고려인삼학회 34 (34): 68-75, 2010

      13 D’Amelio M, "Neuronal caspase-3 signaling : not only cell death" 17 : 1104-1114, 2010

      14 Farzane S, "NRF2 and NF-қB interplay in cerebrovascular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molecular mechanisms and possible therapeutic approaches" 21 : 101059-, 2019

      15 Son Y,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 how can ROS activate MAPK pathways?" 2011 : 792639-, 2011

      16 Minji Woo, "Magma Seawater Inhibits Hepatic Lipid Accumulation through Suppression of Lipogenic Enzymes Regulated by SREBPs in Thioacetamide-Injected Rats" MDPI AG 17 (17): 317-, 2019

      17 Kim AD, "Jeju ground water containing vanadium enhances antioxidant systems in human liver cells" 147 : 16-24, 2012

      18 Yamamoto-Sasaki M, "Impaired phosphorylation of cyclic 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in the hippocampus of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824 : 300-303, 1999

      19 Zhang Y, "Ginsenosides attenuate D-galactose-and AlCl3-induced spatial memory impairment by restoring the dysfunction of the neurotransmitter systems in the rat model of Alzheimer’s disease" 194 : 188-195, 2016

      20 Yang L, "Ginsenoside Rg3 promotes beta-amyloid peptide degradation by enhancing gene expression of neprilysin" 61 : 375-380, 2009

      21 Shi YQ, "Ginsenoside Rg1 attenuates amyloid-beta content, regulates PKA/CREB activity, and improves cognitive performance in SAMP8 mice" 19 : 977-989, 2010

      22 Li F, "Ginsenoside Rg1 ameliorates hippocampal long-term potentiation and memory in an Alzheimer’s disease model" 13 : 4904-4910, 2016

      23 Cao G, "Ginsenoside Re reduces Aβ production by activating PPARγ to inhibit BACE1 in N2a/APP695 cells" 793 : 101-108, 2016

      24 Kim MS, "Ginsenoside Re and Rd enhance the expression of cholinergic markers and neuronal differentiation in Neuro-2a cells" 37 : 826-833, 2014

      25 Xie X, "Ginsenoside Rb1 protects PC12 cells against β-amyloid-induced cell injury" 3 : 635-639, 2010

      26 Mook-Jung I, "Ginsenoside Rb1 and Rg1 improve spatial learning and increase hippocampal synaptophysin level in mice" 63 : 509-515, 2001

      27 Chung-JaC.Jackson, "Ginsenoside Content of North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Araliaceae) in Relation to Plant Development and Growing Locations" 고려인삼학회 27 (27): 8-140, 2003

      28 Nah SY, "Ginseng; recent advances and trends" 21 : 1-12, 1997

      29 Hansen RA, "Efficacy and safety of donepezil, galantamine, and rivastigmine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3 : 211-225, 2008

      30 Areum Daseul Kim, "Effects of Jeju Water Containing Vanadium on Antioxidant Enzymes in vitro" 대한암예방학회 15 (15): 262-267, 2010

      31 Manabe T, "Does BDNF have pre-or postsynaptic targets?" 295 : 1651-1653, 2002

      32 Xie JT. Wu JA, "Constituents and effects of ginseng leaf" 4 : 1-8, 2004

      33 Wang Q, "Comparison of ginsenosides Rg1 and Rb1 for their effects on improving scopolamine-induced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in mice" 24 : 1748-1754, 2010

      34 Sang Yoon Choi, "Comparison of Ginsenoside and Phenolic Ingredient Contents in Hydroponically-cultivated Ginseng Leaves, Fruits, and Roots" 고려인삼학회 36 (36): 425-429, 2012

      35 Naqvi S, "CREB phosphorylation at Ser133regulates transcription via distinct mechanisms downstream of cAMP and MAPK signalling" 458 : 469-479, 2014

      36 Kim YJ, "Biosynthesis and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ginsenosides" 33 : 717-735, 2015

      37 Park JD, "Biological activities and chemistry of saponins from Panax ginseng C.A. Meyer" 4 : 159-175, 2005

      38 Hyunjoo Lee, "Beneficial Effects of Desalinated Magma Seawater in Ameliorating Thioacetamide-induced Chronic Hepatotoxicity" 한국생물공학회 24 (24): 126-134, 2019

      39 Pawlowski J, "Bax-induced apoptotic cell death" 97 : 529-531, 2000

      40 Phillips HS, "BDNF mRNA is decreased in the hippocampus of individuals with Alzheimer’s disease" 7 : 695-702, 1991

      41 Basu A, "Ameliorative effect of an oxovanadium (Ⅳ) complex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nephrotoxicity induced by cisplatin" 22 : 377-387, 2017

      42 Ferreira-Vieira TH, "Alzheimer’s disease : targeting the cholinergic system" 14 : 101-115, 2016

      43 Jakaria M, "Active ginseng components in cognitive impairment : therapeutic potential and prospects for delivery and clinical study" 9 : 33601-33620, 2018

      44 Smith DM, "A systematic review of vanadium oral supplements for glycaemic control in type 2diabetes mellitus" 101 : 351-358, 2008

      45 Cianferotti L, "A review on strontium ranelate long-term antifracture efficacy in the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5 : 127-139,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