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민 · 형사법 측면에서 살펴 본 부동산 · 동산 이중매매시의 배임죄 성립 여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929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형법 제355조 제2항에서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위배되는 행위로써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이를 취득하게 하여 본인에게 손해를 가한 때”에 ...

      우리 형법 제355조 제2항에서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위배되는 행위로써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이를 취득하게 하여 본인에게 손해를 가한 때”에 배임죄가 성립함을 규정하고 있다. 대법원은 종래 부동산 이중매매에 있어서 배임죄의 성립을 인정하여 왔다. 즉 매도인이 제1 매수인으로부터 중도금을 수령한 이후 제2매수인에게 처분하는 행위에 대해 배임죄로 의율하는 것이다. 이는 매수인에게 등기라는 공시방법을 갖추기 전에 이루어지는 중도금을 지급받은 매도인의 이중매매에 있어 단순한 채권·채무와 완전히 물권 이전이 있는 경우의 중간에 위치한 이중매매에 대해 배임죄의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것으로 이를 긍정한 것이다. 그러나 동산 이중양도의 경우에는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 배임죄의 성립을 부정하였다. 이러한 판결이 궁극적으로 부동산과 동산의 특성을 반영하여 그 차이에 따른 결론인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에 의한 것인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의 주요 쟁점은, i) 배임죄의 본질론('타인의 사무‘의 의미), ii) 부동산등기절차의 고유한 특성을 매개로 타인의 재산 보호 내지 관리를 위한 협력의무의 존재를 긍정한 기존 판례의 취지를 감안하면 그와 같은 내용의 협력의무를 상정하기 어려운 동산매매의 경우에 매도인은 매수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단순한 채무불이행은 배임죄를 구성하지 않는다는 기본 법리에 보다 충실한 것은 아닌지의 문제에 대한 고려에 두어진다. 사적 자치의 원칙이 적용되는 거래활동의 영역에서 민사적인 분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형사적 수단이 아닌 민사적 해결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기본명제에 입각해 본다면, 부동산 또는 동산의 매수인(의 매매대금)에 대한 보호는 민사적 제도 내지 거래 관행의 개선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합당한 해결책일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20. January 2011, Korean Supreme Court has given a decision that double dealing of movable property is not guilty of breach of trust in Article 355 Paragraph 2 of the Criminal Code(2008do10479). This decision in the case of movable property is diff...

      On 20. January 2011, Korean Supreme Court has given a decision that double dealing of movable property is not guilty of breach of trust in Article 355 Paragraph 2 of the Criminal Code(2008do10479). This decision in the case of movable property is differerent from the precedents of double dealing cases of real estate. It is a very difficult matter how to interpret the meaning of 'a person administering another's affairs' in Article 355 Paragraph 2. This matter is caused by the reason that Korea takes the formality principle in transfer of ownership both in the real and movable property. A person who resisters first get the ownership, not the one who contracts first, in the real property. There are lots of disputes about the decision of Supreme Court that made a difference between movable and real property. Many scholars and courts argued that the 1st buyer who paid at least 2nd installment should be protected against other later buyers. They think the 1st buyer should be protected because a seller had the duty to execute a contract after he gets 2nd installment. Therefore, the 1st buyer should get the title the real property that is the subject of the contract. They also argue that criminal method, such as breach of trust should be added to protect the 1st buyer when the seller fails to fulfill his duty. Double dealing of movable property should be ruled with breach of trust in the same way as in the real property. The seller of movable property for double establishment of security by means of transfer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breach of trust to the second right holder in the same way as to the first right holder. In conclusion I think applying the criminal method of breach of trust into the civil law area should be stopped, and let the civil lawsystem work by itsel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부동산·동산 이중매매에서의 배임죄 인정 여부와 관련한 기존의 대법원 판례의 입장
      • Ⅲ. 부동산·동산 이중매매의 배임죄 성립 여부에 대한 민·형사상 법리적 측면에서의 검토
      • Ⅳ. 맺으며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부동산·동산 이중매매에서의 배임죄 인정 여부와 관련한 기존의 대법원 판례의 입장
      • Ⅲ. 부동산·동산 이중매매의 배임죄 성립 여부에 대한 민·형사상 법리적 측면에서의 검토
      • Ⅳ. 맺으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기, "형법각론(제7판)" 박영사 2008

      2 김성돈, "형법각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3 김성천, "형법각론" 동현출판사 2006

      4 배종대, "형법각론" 홍문사 2008

      5 이형국, "형법각론" 법문사 2007

      6 이재상, "형법각론" 박영사 2010

      7 오영근, "형법각론" 박영사 2009

      8 이영준, "한국민법론" 박영사 2004

      9 황태윤, "이중매매와 횡령죄" 부설법학연구소 39 : 125-151, 2013

      10 송덕수, "신 민법강의" 박영사 2014

      1 박상기, "형법각론(제7판)" 박영사 2008

      2 김성돈, "형법각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3 김성천, "형법각론" 동현출판사 2006

      4 배종대, "형법각론" 홍문사 2008

      5 이형국, "형법각론" 법문사 2007

      6 이재상, "형법각론" 박영사 2010

      7 오영근, "형법각론" 박영사 2009

      8 이영준, "한국민법론" 박영사 2004

      9 황태윤, "이중매매와 횡령죄" 부설법학연구소 39 : 125-151, 2013

      10 송덕수, "신 민법강의" 박영사 2014

      11 허일태, "부동산이중매매와 배임죄" 한국형사법학회 (15) : 2001

      12 주지홍, "부동산이중매매에 있어서 배임죄 적용 결과 민사법질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법학연구소 51 (51): 319-347, 2010

      13 박찬걸, "부동산 이중매매에 있어서 배임죄의 성립시기" 법학연구소 48 (48): 289-322, 2013

      14 김태수, "부동산 이중매도자의 형사책임" 법학연구원 32 (32): 97-122, 2008

      15 송희식, "배임죄의 불법과 치역(値域) -대법원 2011. 1. 20. 선고 2008도10479 전원합의체판결-" 한양법학회 (35) : 331-360, 2011

      16 이승준, "배임죄 행위주체 해석의 방향 -동산 이중양도를 중심으로-" 대한변호사협회 (422) : 99-114, 2011

      17 손동권, "배임죄 성립에 있어 동산과 부동산 사이의 차이문제" 한국형사법학회 25 (25): 303-324, 2013

      18 김형배, "민법학강의" 신조사 2008

      19 김준호, "물권법" 법문사 2007

      20 곽윤직, "물권법" 박영사 2013

      21 김종구, "동산이중양도의 배임죄 성립 여부 - 대법원 2011.1.20. 선고 2008도10479 전원합의체판결 -" 한국법학회 (51) : 425-442, 2013

      22 이동호, "동산이중매매에 있어서의 배임죄 성립 여부" 광주지방법원 12 : 2013

      23 권오걸, "동산의 이중매매와 배임죄 - 부동산 이중매매와의 비교를 통해서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3 (13): 401-426, 2011

      24 신종열, "동산의 이중매매와 배임죄" 사법발전재단 1 (1): 273-306, 2011

      25 이창온, "동산 이중매매와 배임죄" 서울대학교 2 :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0.679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