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살에 대한 국내 미술치료연구 동향 분석 = Review and Analysis of Korean Art Therapy Studies on Suici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572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format, setting, directives, materials, and approaches being used to treat attempted suicide and committed suicide with art therapy. A total of 42 articles with a primary focus on art ...

      An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format, setting, directives, materials, and approaches being used to treat attempted suicide and committed suicide with art therapy. A total of 42 articles with a primary focus on art therapy. A literature matrix was used to organize 42 of the publications for comparison and to identify themes among the content. First, the domestic art therapy study for those who attempted suicide and committed suicide showed that more than one episode was continuously conducted every year.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study, 16 cases of mixed sex (42.1%) were found, 22 cases (57.9%) were analyzed for ages 10 to 19, and 8 cases (21%) were reported for those aged 20 to 29 (15.8%) were selected for age 60 or older. There is a need for an increase in research for each age. Third, the analysis results by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Thirty experimental studies (71.4%) and five case studies (12%) were designed, with 35 experimental and case studies combined (83.4%). Three literature studies (7.1%), three other studies (7.1%), one empirical research (2.4%), and zero research studie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of 42 national literature. However, since Korea's suicide rate is more serious tha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it needs to accumulate research data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needs to re-establish the data accumulated over 20 years, so it is meaningful that it will present the data based on the existing data in future research.

      Keywords : Suicidal Thoughts, Suicide attempt, Art therapy, Trend Analysis, Suici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95년부터 2019년 4월까지 발표된 KCI등재 학술지 문헌과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자살시도자·자살사고자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의 발행 편수와 발행기관, 연구대상, 연구 �...

      1995년부터 2019년 4월까지 발표된 KCI등재 학술지 문헌과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자살시도자·자살사고자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의 발행 편수와 발행기관, 연구대상, 연구 방법, 연구 내용, 미술치료 구조와 프로그램에 따라 동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자살시도·자살사고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미술치료 연구는 매년 1편 이상씩은 지속적으로 이루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의 성별은 혼성의 경우가 16편(42.1%)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령 별 분석 결과는 10세~19세 대상 22편(57.9%)으로 과반수를 나타냈으며, 20세 ~29세 대상은 8편(21%) 60세 이상 대상연구가 6편(15.8%)순이었다. 각 연령별에 따른 연구의 증가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방법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설계는 실험연구가 30편(71.4%), 사례연구가 5편(12%)로 실험연구와 사례연구를 합친 비중이 35편(83.4%)이었다. 문헌연구 3편(7.1%), 기타연구 3편(7.1%), 체험연구 1편(2.4%), 조사연구 0편(0%)의 비중을 나타냈다.
      양적 분석방법이 7편(18.4%)을 차지했고, 대상자의 질적 분석방법이 6편(15.8%),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함께 사용한 통합 분석방법이 25편(65.8%)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도구에 따른 결과는 한 연구에서 여러 개의 도구와 척도를 사용한 경우 개별 합산하여 총 빈도수는 116회였다. 그림검사 분야 16개 항목의 사용빈도가 36회(31%)로 가장 많았으며 자아분야 13개 항목의 사용빈도는 32회(28%), 정서 분야 11개 항목은 25회(22%)로 다음이었다.
      넷째, 미술치료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미술치료의 형태는 개인치료가 48% 집단치료가 52%로 비슷한 비율을 나타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 유형에서는 매회기마다 한 가지 프로그램만을 사용하는 단일프로그램 1편(3.4%), 여러 가지 기법을 사용하는 복합프로그램 21편(72.5%)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통합프로그램은 7편(24.1%)으로 나타났다. 매체 분석결과로는 종이매체의 사용빈도가 113회(43.3%)로 가장 많았다. 사인펜, 크레파스, 마카 등을 사용하는 평면건식매체가 94회(36%)로 다음의 비중을 차지했다. 수채물감, 아크릴 물감 등을 사용하는 평면습식매체는 25회(9.6%), 공예 재료들인 입체건식매체 17회(6.5%), 찰흙, 점토 등을 사용하는 입체습식매체 8회(3.2%), 비정형매체 4회(1.4%)의 순서의 비중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국내의 문헌 42편을 대상으로 한 제한점을 가진다. 하지만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심각한 상황이므로 우리나라의 특성에 맞는 연구 자료의 축적이 필요하면서 20여년의 시간동안 축적된 자료들의 재정립 또한 필요하므로 향후 연구에 있어 기존의 자료들을 토대로써 제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자살 5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자살 5
      • 가. 우리나라 자살 현황 5
      • 나. 자살의 원인 6
      • 다. 자살의 징후 11
      • 라. 자살생각, 자살계획 및 자살시도 12
      • 마. 자살의 사후개입(심리부검) 13
      • 2. 미술치료와 자살 14
      • 3. 문헌연구 방법 16
      • Ⅲ. 연구 방법 17
      • 1. 연구논문 선정 17
      • 2. 자료수집 절차 18
      • 가. 핵심어 18
      • 나. 검색원 19
      • 다. 분석기간 20
      • 4. 분석 기준 21
      • 가. 발행편수와 발행기관 21
      • 나. 연구대상 분석기준 22
      • 다. 연구방법 분석기준 23
      • 라. 연구내용 분석기준 23
      • 마. 미술치료 구조와 프로그램 24
      • 5. 자료의 처리 25
      • Ⅳ. 연구결과 26
      • 1. 발행편수와 발행기관 26
      • 가. 연도별 발행편수 26
      • 나. 자료유형 및 발행기관 별 발행편수 27
      • 2. 연구대상 분석결과 29
      • 가. 대상자 성별 29
      • 나. 대상자 연령 29
      • 3. 연구방법 분석결과 30
      • 가. 연구 설계 30
      • 나. 연구도구 32
      • 4. 연구내용 분석결과 37
      • 5. 미술치료 구조와 프로그램 38
      • 가. 미술치료 형태 38
      • 나. 미술치료 프로그램 유형 39
      • 다. 미술치료 회기 수, 주당 회기 수, 회기 당 소요시간 40
      • 라. 미술매체 43
      • Ⅴ. 결론 및 제언 44
      • 부록 50
      • 참고문헌 62
      • Abstract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