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계열별 교육수요자의 대학이미지, 대학만족, 전공만족, 학업지속의향의 차이분석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University Image, University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s of Educational Demander by Major Field: Focusing on the case of a Women’s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411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secondary study by Choi and Jang(2023), who prov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s. Some of the research data were us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additional survey. It has ...

      This study is a secondary study by Choi and Jang(2023), who prov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s. Some of the research data were us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additional survey. It has been analyzed and identified in an integrated man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ive variables, including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s, such as university image, university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by major field. As of 2023, university students from freshman to senior or higher enrolled at a women's university in Seoul by the convenience sampling were studied. A total of 52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excluding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not available as analysis data. Excluding major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university image, university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s by major field. Specifically,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generally highly satisfied with the chosen major, a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arts and sport field and the engineering field for other variables.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college students' studies to the e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iversity system and structure in terms of specialization of university and majors. Focusing on the university's specialization plan and mid-to long-term development plan,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major, prevent dropout, and support the efforts customized to educational demanders. It would be an important basic data for each university to find the ways to overcome the practical difficulties faced by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devise the customized strateg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 학업지속의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증명한 최진호와 장은정(2023)의 2차적 조사이다. 그 연구 자료 일부를 활용하였으며 추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통합적으...

      이 연구는 대학 학업지속의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증명한 최진호와 장은정(2023)의 2차적 조사이다. 그 연구 자료 일부를 활용하였으며 추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분석 파악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학업지속의향을포함하여 그 예측변인들인 대학이미지, 대학만족, 전공만족을 대학 계열별로 차이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 소재 4년제 여자대학교의 재학생들이였다. 비확률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2023학년도에 등록된 1학년에서 5학년 이상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총 527부의 설문지가 최종 통계분석을 위해 활용되었으며 분석 자료로 이용하기 불가능한 설문지는 제외시켰다. 전공만족을 제외하고는 대학이미지, 대학만족, 학업지속의향은 대학 계열별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 대상자들은 선택한 전공에 대해서 대체적으로 높게 만족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그 외의 변인들에 대해서는 예체능계열과 공학계열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학업지속을 끝까지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대학과 전공의 특성화 차원에서 그 대학 제도나 구조 등의 관점에서 분석해야 한다. 그 대학의 특성화 계획과 중장기 발전계획을 중심으로 전공의 경쟁력 제고와 중도탈락 예방 전략, 그리고 교육소비자 맞춤형 지원 노력 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고등교육기관이 처해있는 현실적 난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대학 계열별로 모색하고 맞춤형 전략을 강구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