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문대학 학위과정 참여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 및 실태 분석 = An Analysis of Motivation and Status of Adult learners in college Degree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478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학위과정 참여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의향, 학위과정 선택 영향요인, 학위과정 발전방안이 개인적 변수에 따라 어떤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학위과정 참여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의향, 학위과정 선택 영향요인, 학위과정 발전방안이 개인적 변수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조사·분석하는 것이다. 개인적 변수는 성별, 연령, 재직여부, 최종학력, 학과, 학년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에 소재한 Y전문대학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회수된 304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인 설문 28부를 제외한 276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개인적 변수에 따른 참여 동기,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의향, 학위과정 선택 영향요인, 학위과정 발전방안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참여 동기와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의향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과정 참여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는 학습지향형 동기가 가장 높았으며, 개인적 변수 중 성별, 연령, 재직유무, 최종학력, 전공,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 의향은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변수에 따라서는 학년, 학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 동기와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 의향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학습지향형 동기를 가진 성인학습자는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재참여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학위과정 선택 영향요인으로는 입학설명회, 지인 권유, SNS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개인적 변수에 따라서는 성별, 연령, 재직여부, 최종학력, 학과,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공 선택의 이유로는 배워보고 싶어서, 향후 진로 및 구직에 대비 순으로 높았으며, 개인적 변수에 따라서는 성별, 연령, 재직여부, 학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학위과정 발전방안에 대한 인식 중 진학 활성화를 위한 지원으로는 교육 전문성의 강화, 성인학습자 입학 관련 정보 및 홍보자료 제공, 선행학습 인정 순으로 높았으며, 성인학습자의 학교 적응을 위한 투자 분야로는 장기간 학업 공백을 도와주기 위한 보충교육 프로그램 제공, 성인학습자를 위한 학습서비스센터 운영, 맞춤형 상담시스템 운영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의 고용 가능성 향상을 위한 지원으로는 성인학습자 취업을 위한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성인학습자 대상 취업 정보 제공, 직업능력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들이 어떠한 참여 동기를 가지고 있는지, 학위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지 연구하는 것은 새로운 학위과정을 운영하거나 기존 학위과정을 발전시키는 것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 개인마다 학습의 선호와 요구가 다름을 인식하고 다양한 접근 방식으로 학습전략을 세워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adult learners motivation, their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their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in college dgree programs. Participants’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mposed of gender,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adult learners motivation, their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their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in college dgree programs. Participants’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mposed of gender, age, employment status, final education, department, and grad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learners at Y College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and 276 copies of the 304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es. A series of one-way ANOVA, cross-tabulation, and independent t-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1.0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ult learners showed the highest learning-oriented motiv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job status, final degree, major, and grade. Second,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showed a high level of positive perception,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and major. Thir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and the intention to re-participate have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each other. Fourth,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on the selection of the degree programs, were an admission information session, recommendation from friends and a social network syste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degree program selection according to gender, age, job status, final academic background, department, and grade. In addition, the adult learners had desire to learn because of their future career and job search. Lastly,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al expertise, supply of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of admission information for adult learners, and acceptance of their prior learning experiences were suggested as the suitable support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It was also suggested that supplementary education program, learning centers, and customized counseling system were needed to help adult learners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Internship availability, job inform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support for developing their job skills were also needed to provide for adult learner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to get a job.
      It is very important and essential to study what kind of motivation adult learners have to participate and how they perceive their degree program considering that these basic data can be used to develop a new degree course or to improve an existing degree course. Therefore, it suggests that learning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with various approaches, recognizing that each learner has different learning preferences and nee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5
      • II. 이론적 배경 6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5
      • II. 이론적 배경 6
      • 1. 대학평생교육 6
      • 2. 성인학습자의 개념과 특성 13
      • 3.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 15
      • 4. 선행연구분석 20
      • III. 연구 방법 23
      • 1. 연구 대상 23
      • 2. 연구 도구 24
      • 3. 연구 절차 25
      • 4. 자료 분석 25
      • IV. 연구결과 27
      • 1. 학위과정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 유형 27
      • 2. 평생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재참여 의향 33
      • 3. 학위과정 성인학습자의 선택 영향요인 40
      • 4. 학위과정 발전방안에 대한 인식 45
      • V. 논의 53
      • VI. 결론 및 제언 60
      • 참고문헌 62
      • 부 록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