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BPSD의 정신증적 증상 =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Dementia(BPSD): Psychotic Sympto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4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치매 환자들은 인지기능의 장애와 더불어 행동 심리적증상(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들을 경험한다. 치매의 임상경과 중에 발생하는 BPSD는 질병의 경과에 따라 진행되는 신...

      치매 환자들은 인지기능의 장애와 더불어 행동 심리적증상(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들을 경험한다. 치매의 임상경과 중에 발생하는 BPSD는 질병의 경과에 따라 진행되는 신경 세포군의 손상 정도를 반영하기도 하지만, 인지기능의 장애와 서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치매 환자가 경험하는 인지기능 장애는 그 병의 진행 정도를 반영하는 문제이지만 이로 말미암아 환자와 그 가족들이 고통을 당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BPSD는 치매 환자와 가족을 고통스럽게 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현격히 저하시키며, 그들 관계를 소원하게 만들어 치매 환자를 가족에게서 내치는 단초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치매 환자에서 발생하는 BPSD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치료함은 임상의사들에게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다. BPSD 중 정신증적 증상의 유병률은 망상(delusion)의 경우 전체 치매 환자들 중 20∼73%, 오식별(misidentification)의 경우 23∼50%, 그리고 환각(hallucination)의 경우 15∼49% 정도에서 관찰된다고 한다. 이 글에서는 치매환자의 임상경과 중 나타나는 BPSD 중 이러한 정신증적 증상의 평가와 원인 그리고 약물학적 치료 및 비 약물학적 치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mentia is a multi-dimensional disorder associated with cognitive symptoms, functional impairment,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agitation, depression and psychosis.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are an ...

      Dementia is a multi-dimensional disorder associated with cognitive symptoms, functional impairment,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agitation, depression and psychosis.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are an integral part of the disease process and present severe problems to patients, their families and caregivers, and society at large. BPSD are treatable and are more amenable to therapy than other symptoms or syndromes of dementia. Thus, the recognition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BPSD are important factors in improving our care of dementia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Psychotic symptoms presented as delusions, misidentifications, and hallucinations are most prevalent BPSD in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ementia. The author has reviewed the clinical feature, etiology, and pharmacological and non-phrmacological management of psychotic symptoms of BPS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임상에서 관찰되는 치매환자의 정신증적 증상들의 유형
      • 치매환자의 정신증적 증상에 기여하는 신경생물학적 토대
      • 치매환자의 정신증적 증상에 기여하는 사회 환경적 요인
      • 치매환자의 정신증적 증상에 대한 약물 치료
      • 서 론
      • 임상에서 관찰되는 치매환자의 정신증적 증상들의 유형
      • 치매환자의 정신증적 증상에 기여하는 신경생물학적 토대
      • 치매환자의 정신증적 증상에 기여하는 사회 환경적 요인
      • 치매환자의 정신증적 증상에 대한 약물 치료
      • 치매환자의 정신증적 증상에 대한 비약물학적 중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