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학습공동체 활동성과에 따른 참여역량 분석 : 일반집단과 우수집단 간 비교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ompetency among Learning Community Participants Depending on their Performance: Focusing on the Comparisons between High and Ordinary Perform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278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경험분석을 바탕으로 일반집단과 우수집단 간 참여역량 비교를 통해 학습공동체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학습공동체 효과 제고를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경험분석을 바탕으로 일반집단과 우수집단 간 참여역량 비교를 통해 학습공동체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학습공동체 효과 제고를 위한 지원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한 학생 111명을 대상으로 성찰일지를 수집하고,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이들의 학습경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두 집단의 반응빈도를 비교한 결과, 전체 54개 문항 중 35개 문항에서 우수 집단의 반응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7개 문항에서 일반집단의 반응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학습공동체 활동성과에 따른 참여역량을 비교한 결과, 우수집단은 표현능력, 자기성찰능력, 문제해결능력, 협업능력, 집단운영능력, 학습목표설정 순으로 높은 반응빈도를 보였으며, 일반집단은 문제해결능력, 집단운영능력, 표현능력, 협업능력 순으로 높은 반응빈도를 보였다. 셋째, 효과적인 학습공동체 운영을 위한 성공요인은 ‘지속강화’, ‘중점지원’, ‘추가지원’ 참여역량으로 구분하여 총 6개(문제해결을 위한 다각적 접근, 공동체 운영계획 수립과 공유, 자유롭고 명확한 개인 의사표현, 공동의 목표달성을 위한 과업수행, 자기이해를 통한 자기성장, 구체적인 학습목표 설정과 일정 관리)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학습공동체 운영을 위한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rive specific critical success factors using comparison analysis between a high performing group and an ordinary performing group who participated in a learning community and to propose support methods enhancing the effects of le...

      This study aimed to derive specific critical success factors using comparison analysis between a high performing group and an ordinary performing group who participated in a learning community and to propose support methods enhancing 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ies. For these purposes, the data from the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111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a matrix designed for the content analysis. The main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comparison data on the response frequency of the two groups revealed that the high performing group responded more frequently than the other group in 35 out of 54 items and that the ordinary group responded relatively more frequency in 7 items. Second, the results from comparing the competencies of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 high group’s frequency of participants’competencies we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group. The factors more frequently commented by the high performers are listed as follows: expression, self-reflection, problem solving, collaboration, group operation, and learning goal-setting. According to the data on the other group, the factors more frequently used were problem solving, group operation, expression, and collaboration.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ny given learning community, the six critical success factors namely, a multifaceted approach for problem-solving, planning and sharing operation plans, a free and clear expression of oneself, task performance for achieving common goals, self-growth from self-understanding, and specified goal-setting and scheduling, are classified by the following three dimensions of continuous reinforcement, prior support, and additional support. In conclusion, implications for effective learning communities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