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방개혁 추진에 따른 포병전력 보강소요 판단모형 연구 =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Requirement Decision Model of Artillery Power for the Defense Reform Pl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01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artillery in the event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future projected imbalance of artillery power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 detailed analysis of the proper artillery power reinforcement of the Repub...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artillery in the event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future projected imbalance of artillery power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 detailed analysis of the proper artillery power reinforcement of the Republic of Korea’s army forces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artillery power of the future ROK army using the Defense Reform Plan and to propose artillery reinforcement methods that will maintain the ROK army’s superior artillery power. As a result of the static evaluation, the 0 side of the power index is inferior and the future ROK army division shows a decrease in thermal power density as compared with the present division. Experts supported an opinion on the reinforcement requirement measures that the division artillery is augmented with self-propelled gun, while the corps artillery is augmented with long range MLRS. The combat experiment results show the thermal combat performance ability was superior to the enemy’s when self-propelled artillery was additionally arrang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전에서의 화력 중심의 전쟁수행 양상 및 미래 한반도 전쟁에서의 포병 중요성, 미래 남북한 화력 전력의 불균형을 고려할 때, 국방개혁 추진에 따른 전력증강 및 부대구조 계획에 있어 ...

      현대전에서의 화력 중심의 전쟁수행 양상 및 미래 한반도 전쟁에서의 포병 중요성, 미래 남북한 화력 전력의 불균형을 고려할 때, 국방개혁 추진에 따른 전력증강 및 부대구조 계획에 있어 적정 포병전력 보강소요에 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방개혁에 따른 미래 포병전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포병전력의 보강방법 및 소요에 대해 설문조사 및 전투실험을 통해 제안 및 검증하는데 있다. 정태적 평가결과 전력지수에서 대부대가 열세하며, 화력밀도에서 미래 사단은 현재에 비하여 화력밀도가 감소한다. 보강 소요 방안에 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사단은 자주포로 증강하고, 대부대는 장거리 다련장으로 증강하는 것을 지지하였다. 전투실험 결과 손실률 교환비 및 화력전투 수행능력에서 자주포를 추가로 편성할 경우 적 보다 임무능력이 우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민, "한국군 포병의 발전방향 연구" 대진대학교 2017

      2 지희중, "북한의 장사정포 위협에 대비한 포병전력 발전방안 연구 : 포병 무기체계 및 정확한 사격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복지행정대학원 2013

      3 장재필, "북한군 포병위협에 대한 한국군 포병의 대응방향 연구" 대진대학교 2017

      4 이선영, "병력감축에 따른 과학화전력과이를 대비한 포병 전력 방안" 대진대학교 2016

      5 김재환, "남북한 포병의 발전과정과전력비교 연구" 대진대학교 2015

      6 홍성표, "남북한 지상군 무기 및 장비능력 비교 : 포병 전력 중심으로" (395) : 164-179, 2004

      7 이종호, "국방개혁 추진에 따른 화력증강 필요성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2014

      8 Joshua M. Epstein, "Conventional force reductions : a dynamic assessment" 1990

      9 한국00연구원, "2015-2016 동북아군사력과 전략동향" 2016

      10 한국00연구원, "2003-2004 동북아군사력" 13-25, 2004

      1 이종민, "한국군 포병의 발전방향 연구" 대진대학교 2017

      2 지희중, "북한의 장사정포 위협에 대비한 포병전력 발전방안 연구 : 포병 무기체계 및 정확한 사격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복지행정대학원 2013

      3 장재필, "북한군 포병위협에 대한 한국군 포병의 대응방향 연구" 대진대학교 2017

      4 이선영, "병력감축에 따른 과학화전력과이를 대비한 포병 전력 방안" 대진대학교 2016

      5 김재환, "남북한 포병의 발전과정과전력비교 연구" 대진대학교 2015

      6 홍성표, "남북한 지상군 무기 및 장비능력 비교 : 포병 전력 중심으로" (395) : 164-179, 2004

      7 이종호, "국방개혁 추진에 따른 화력증강 필요성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2014

      8 Joshua M. Epstein, "Conventional force reductions : a dynamic assessment" 1990

      9 한국00연구원, "2015-2016 동북아군사력과 전략동향" 2016

      10 한국00연구원, "2003-2004 동북아군사력" 13-25, 2004

      11 "000 대화력전 수행체계 개선 방안 연구 결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8 0.08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9 0.08 0.25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