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광수와 나쓰메 소세키의 문학교육론이 지닌 근대성 비교연구 = Comparative study : retained modernity in theory of literary education for Natsume Soseki and Lee Gwangso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792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seki is representative novelist and theorists of Japanese modern literature, and Lee Gwangsoo (Lee) is known as person who opened doors to Korean modern literature. They are representing not only Korean and Japanese modern literature, but also Orien...

      Soseki is representative novelist and theorists of Japanese modern literature, and Lee Gwangsoo (Lee) is known as person who opened doors to Korean modern literature. They are representing not only Korean and Japanese modern literature, but also Oriental modern literature. We focused on the early stages of their literary theories. As well, looked into their arguments based on their ideas of literary education in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Although Soseki and Lee are both representatives of Korean and Japanese modern literature, we have found their literary theories to have contrasts, as well as undertoned ideal substance. Their findings show identical recognition in defining the workings of human mind as intellect, emotion and volition. Also, their thoughts on the realm of emotion is the characteristic of literature, and explained modern literature by drawing the concepts of rationality and truth.
      Soseki insisted literary art is not a simple skill; a literary artist could influence others due to their ideals that a literary artist is someone who has the biggest and highest ideals. Lee’s argument resembles Soseki’s argument. Lee contended literary art can be made simply with skill and endeavor. Only highly gifted artist can take charge of a growing self-regulating person who could lead society through literature.
      Soseki and Lee both, therefore, conclude the Occidental natural science (in other words, education that is logical and substantiate) is modern education, and upcoming Oriental new education need to take after. We found Soseki and Lee have contended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that could produce self-regulating and liberal individuals based on the mentioned Occidental new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한 · 일 두 근대 지식인의 문학과의 조우
      • 2. 선행연구
      • 3. 『문학론』과 「문학이란 하오?」 비교
      • 4. 문학교육과 근대
      • 참고문헌
      • 1. 한 · 일 두 근대 지식인의 문학과의 조우
      • 2. 선행연구
      • 3. 『문학론』과 「문학이란 하오?」 비교
      • 4. 문학교육과 근대
      • 참고문헌
      • 【논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병호, "한일근대문예론에 있어서"정"(情)의 위치-지(知)․정(情)․의(意)의 범주를 중심으로-" 경원대학교아시아문화연구소 8 : 294-, 2004

      2 하정일, "자율적 개인과 부르조아 결사로서의 민족, In 이광수 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15-150, 2009

      3 가라타니 고진,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9-23, 1997

      4 이광수, "문학이란 하오, In 이광수 전집 1" 삼중당 507-509, 1968

      5 崔明淑, "나쓰메 소세키와 영문학강의 -『문학론』을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57 (57): 124-149, 2006

      6 권혁건,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와 이광수(李光洙)의 유학체험 비교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47-65, 2008

      7 권혁건, "나쓰메 소세키 생애와 작품" 고려대학교 출판부 18-, 2007

      8 夏目金之助, "現代日本の開化" 岩波書店 16 : 440-, 2003

      9 夏目金之助, "文學論 序, 漱石全集 第14卷" 岩波書店 10-, 2003

      10 三好行雄, "敎育と文藝, In 漱石文明論集" 岩波書店 191-201, 1999

      1 정병호, "한일근대문예론에 있어서"정"(情)의 위치-지(知)․정(情)․의(意)의 범주를 중심으로-" 경원대학교아시아문화연구소 8 : 294-, 2004

      2 하정일, "자율적 개인과 부르조아 결사로서의 민족, In 이광수 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15-150, 2009

      3 가라타니 고진,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9-23, 1997

      4 이광수, "문학이란 하오, In 이광수 전집 1" 삼중당 507-509, 1968

      5 崔明淑, "나쓰메 소세키와 영문학강의 -『문학론』을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57 (57): 124-149, 2006

      6 권혁건,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와 이광수(李光洙)의 유학체험 비교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47-65, 2008

      7 권혁건, "나쓰메 소세키 생애와 작품" 고려대학교 출판부 18-, 2007

      8 夏目金之助, "現代日本の開化" 岩波書店 16 : 440-, 2003

      9 夏目金之助, "文學論 序, 漱石全集 第14卷" 岩波書店 10-, 2003

      10 三好行雄, "敎育と文藝, In 漱石文明論集" 岩波書店 191-201, 1999

      11 三好行雄, "夏目漱石事典" 學燈社 68-, 1990

      12 夏目金之助, "創作家の態度" 岩波書店 16 : 85-173, 2003

      13 이광수, "今日 我韓靑年과 情育, In 이광수 전집 1" 삼중당 475-, 196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n Cultur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7 0.629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