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산간지역의 농업적 특성과 정책 대응  :  일본 중산간지역을 중심으로 = The Change of Agriculture in the Hilly- and Semi-Plain Areas and Counterplan in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112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논문요약이 논문은 일본 중산간지역의 농업적 특성을 고찰하면서 일본정부가 이에 어떻게 대응하영 왔는가를 해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본에서는 그 동안 全國總合開發計劃, 山村振興...

      논문요약이 논문은 일본 중산간지역의 농업적 특성을 고찰하면서 일본정부가 이에 어떻게 대응하영 왔는가를 해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본에서는 그 동안 全國總合開發計劃, 山村振興法, 過疎法, 特定農山村地域活城方法 등과 같이 중산간지역을 직간접적인 대상으로 한 법률이나 계획의 수립을 통하여 이에 대한 정책을 전개하여 왔다. 이들 정책이나 법률은 중산간지역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발전과 함꼐 보다 구체화되고 내용도 단순한 효율성 제고의 차원을 넘어 공익적 기능의 확보도 고려하는 수준으로 발전하여 왔다. 이들 정책이나 법률은 중산간지역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발전과 함계 보다 구체화되고 내용도 단순한 효율성 제고의 차원을 넘어 공익적 기능의 활보도 고려하는 수준으로 발전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산간지역은 인구정주력과 영농담당자의 취약화 문제로 아직도 그 존립 자체가 무너지는 등 그 동안의 조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정책의 초점이 기반시설정비 차원을 넘어 인재 육성과 그 합리적 배치로, 정부 주도 방식으로 부터 주민 주체의 방식으로 점차 이행하고 있는 점은 향후 주목되는 점이다.AbstractIn this papaer, I have tried to explicate how the Japanese government has treated agricultural problems in the hilly- and semi-plain areas, explaining the changing nature of agriculture in the areas. Japan has developed policies about the areas by menas of the National-Developing-Plan, the Mountain-Village-Promoting-Law, the Sparse-Population-Area-Promoting-Law, and the Mountain-Village-Promoting-Special-Law. Those policies and laws have been improved more concretely, according to the more correct understanding about the role of the areas. Therefore, in the Japanese policies, special regard is, now, paid to not only the efficiency of agricultural production but alsothe public role of the areas. In spite of these developments in the policies, the decrease of population has been kept up, and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agricultural laborers has been lowered continuously in the hilly- and semi-plain areas. It is, however, worth to observe that the points of policies are changing from building-infrastructures to nurturing-human-resources. It also has to be paid attention to the way of implementation, which is not organized by the government, but dwellers themselves in the are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서 론
      • II. 중산간지역의 總帶區分과 농업적 특성
      • 1. 중산간지역의 지대구분
      • 2. 중산간지대 농업의 특성과 그 문제점 : 통계적 분석
      • III. 중산간지역 관련 입법과 농정의 전개
      • I.서 론
      • II. 중산간지역의 總帶區分과 농업적 특성
      • 1. 중산간지역의 지대구분
      • 2. 중산간지대 농업의 특성과 그 문제점 : 통계적 분석
      • III. 중산간지역 관련 입법과 농정의 전개
      • 1. 「조건불리지역」관련 입법의 전개
      • 2. 전국종합개발게획와 중산간지역 대책
      • 3. 「山脚鑛洛雌叢」과 중산간지역 대쪽
      • 4. 運戮法과 중산간지역 대잭
      • 5. 寺定農山孝難讀性化法」과 중산간지역대책
      • IV.결 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