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후설과 프레게의 반심리학주의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후설과 프레게의 심리학주의 비판의 차이점을 밝혀 보는 동시에 그 차이점으로 인해 그들이 어떻게 각기 다른 경향의 철학으로 나아가게 되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

      이 글의 목적은 후설과 프레게의 심리학주의 비판의 차이점을 밝혀 보는 동시에 그 차이점으로 인해 그들이 어떻게 각기 다른 경향의 철학으로 나아가게 되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이들 두 철학자의 철학체계 전반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출발점을 마련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후설과 프레게는 모두 논리학과 수학의 정초에 대한 문제를 통해 심리학주의 논쟁에 깊이 관여하고 있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프레게는 자신의 철학에서 심리학을 철저히 배제한 후에, 대상 그 자체에로 시선을 돌려 객관적인 사상(Gedanke)의 세계로 나아가게 된 반면에, 후설은 여전히 심리학적 탐구의 유용성을 유지해 나가면서 대상 그 자체가 아닌 대상을 인식하는 의식에로 시선을 돌리게 된다. 그 결과 후설은 심리학주의 비판을 통해 객관적인 인식의 가능성을 문제 삼는 인식론 나아가 선험철학으로서의 현상학적 철학의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고, 프레게의 경우에는 심리학주의와의 논쟁을 벌이면서 수리논리학에서 출발하게 되는 분석철학이라는 새로운 사조의 철학을 형성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riticisms levelled by G. Frege and E. Husserl against psychologism with special emphasis on clarifying in what respects their criticisms differ. Husserl and Frege got involved in the controversy...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riticisms levelled by G. Frege and E. Husserl against psychologism with special emphasis on clarifying in what respects their criticisms differ. Husserl and Frege got involved in the controversy over psychologism in the course of their attempts to lay a firm foundation for logic and mathematics. Though they were alike in firmly believing that there were some serious problems with psychologism, they did not agree in what those problems were. This disagreement made them take different steps in subsequently developing their respective philosophies. Frege, by removing every psychological elements and all kinds of psychological investigations from his philosophical study, could deal only with objective entities like what he called Thoughts[Gedanke]. In contrast, Husserl, despite his resolutely critical attitude toward psychologism, had no intention to drop his conviction of utility of psychological investigation and thus directed his attention toward consciousness of objects rather than objects themselves. As a result, from Husserl’s criticism of psychology grew his phenomenology as an epistemological theory or a transcendental philosophy which delves into the possibility of objective cognition, while Frege’s struggle with psychologism helped him create a new philosophical trend called ‘analytic philosoph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머리말
      • 2. 심리학주의
      • 3. 프레게의 反심리학주의
      • 4. 후설의 反심리학주의
      • 요약문
      • 1. 머리말
      • 2. 심리학주의
      • 3. 프레게의 反심리학주의
      • 4. 후설의 反심리학주의
      • 5. 후설과 프레게의 심리학주의 비판: 공통점과 차이점
      • 6. 후설과 프레게의 反심리학주의가 갖는 의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Edo Pivčević, "후설에서 사르트르에로" 지학사 1982

      2 윤명로, "현상학과 현대철학" 문학과 지성사 1987

      3 한전숙, "현상학" 민음사 1996

      4 M. K. Munitz, "현대 분석 철학" 서광사 1997

      5 한정선, "프레게의 산술철학 비평이 후설에게 미친 영향, In 후설과 현대철학" 서광사 1990

      6 A. Kenny, "프레게-현대분석철학의 창시자에 대한 소개" 서광사 2002

      7 P. Janssen, "에드문드 훗설의 현상학" 이문출판사 1986

      8 이영호, "논리학의 심리학적 정초에 대한 비판적 고찰-후설의 심리학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상학" 철학과 현실사 1999

      9 Th. De. Boer, "The development of Husserl's Thought" The Hague 1978

      10 H. Spiegelberg, "The Phenomenlogical Movement" The Hague 1982

      1 Edo Pivčević, "후설에서 사르트르에로" 지학사 1982

      2 윤명로, "현상학과 현대철학" 문학과 지성사 1987

      3 한전숙, "현상학" 민음사 1996

      4 M. K. Munitz, "현대 분석 철학" 서광사 1997

      5 한정선, "프레게의 산술철학 비평이 후설에게 미친 영향, In 후설과 현대철학" 서광사 1990

      6 A. Kenny, "프레게-현대분석철학의 창시자에 대한 소개" 서광사 2002

      7 P. Janssen, "에드문드 훗설의 현상학" 이문출판사 1986

      8 이영호, "논리학의 심리학적 정초에 대한 비판적 고찰-후설의 심리학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상학" 철학과 현실사 1999

      9 Th. De. Boer, "The development of Husserl's Thought" The Hague 1978

      10 H. Spiegelberg, "The Phenomenlogical Movement" The Hague 1982

      11 G. Frege, "The Foundations of Arithmetic" 1950

      12 Marvin Farber, "The Foundation of Phenomenology" The Harvard Univ. Press 1943

      13 B. M. Borchert, "The Encyclopedia of Philosophy, 2nd Ed" MacMillan Reference 2006

      14 E. Husserl, "Philosophie der Arithmetik"

      15 E. Husserl, "Logische Untersuchungen, 2 vols" 1900

      16 J. Mohanty, "Husserl and Frege" The Indiana Univ. Press 1982

      17 G. Currie, "Frege: An Introduction to His Philosophy" The Harvard Univ. Press 1982

      18 M. D. Resnik, "Frege and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19 신귀현, "E. Husserl의 심리학주의 비판" 영남대 철학과 6 :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철학탐구 -> 철학탐구
      외국어명 : 미등록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7 0.9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