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족근관절 골절에서 거골의 골연골 병변의 빈도 및 위치 = The Incidences ans Locations of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in Ankle Fra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99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An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in ankle fracture needs appropriate treatment to prevent traumatic arthritis. Despite the high incidence of an osteochondral lesion in cases of ankle fractu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

      Purpose: An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in ankle fracture needs appropriate treatment to prevent traumatic arthritis. Despite the high incidence of an osteochondral lesion in cases of ankle fractu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lesion during open fracture reduction due to limitation of the surgical
      approach. Therefore, w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MRIs of ankle fractures to determine the incidences
      and locations of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according to ankle fracture injury mechanism.
      Materials and Methods: The MRIs of forty patients with ankle fractures were reviewed. Locations of osteochondral lesions were divided into nine areas; i.e., medial, central, lateral and anterior, central, posterior.
      Injury mechanisms were divided into supination and pronation groups.
      Results: Twenty eight (70%) out of 40 patients with ankle fractures had an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Thirteen (46%) patients were allocated to the supination group and 15 (54%) to the pronation group.
      Lesion locations were; 7 cases of lateral, 1 central, 5 medial and 8 posterior, 3 central, and 2 anterior for
      supination injury. In cases of pronation injury, 13 were lateral, 1 each central and medial, and 9 posterior,
      5 central, and 1 anterior. The incidences of osteochondral les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lateral and central areas, and also between the posterior and anterior areas in both the supination and
      pronation groups.
      Conclusion: For osteochondral lesion in cases of ankle fracture, careful observation of the posterior and lateral areas of the talar dome should be performed and additional treatment should be added for
      the lesion if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족근관절 골절에서 발생하는 거골의 골연골병변은 외상성 관절염을 속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족근관절 골절시 거골의 골연골병변의 빈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으...

      목 적: 족근관절 골절에서 발생하는 거골의 골연골병변은 외상성 관절염을 속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족근관절 골절시 거골의 골연골병변의 빈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으나 골절의 관혈적 정복시 사용하는 수술적 도달법으로
      는 거골의 골연골병변의 유무를 확인하기가 어려워 이에 대한 치료가 지연될 수 있다. 저자들은 족근관절 골절시 발생하
      는 거골의 골연골병변의 빈도와 위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술 전 검사한 자기공명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족근관절 골절 환자 40명의 자기공명영상을 분석하였다. 골연골병변의 위치는 9구획으로 분류하였는데 거
      골 체부 관절면을 전후 그리고 내외측으로 3등분하여 내측, 중심부, 외측, 그리고 전방부, 중심부, 후방부로 나누어 각 부
      위의 발생 빈도를 조사하였다. 손상기전은 회외기전, 회내기전으로 나누었다.
      결 과: 족근관절 골절 40명의 환자 중 28명의 환자(70%)가 거골의 골연골병변이 있었고, 13명의 환자(46%)가 회외기전에
      의해, 15명의 환자(54%)가 회내기전에 의해 발생하였다. 회외기전 손상군에서 7명은 외측부에, 1명은 중심부에, 5명은 내
      측부에 발생하였고, 8명은 후방부에, 3명은 중심부에, 2명은 전방부에 발생하였다. 회내기전 손상군에서는 13명은 외측부
      에, 1명은 중심부에, 1명은 내측부에 발생하였고, 9명은 후방부에 5명은 중심부에 1명은 전방부에 발생하였다. 외상 후 거
      골의 골연골병변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회내, 회외기전 손상군에서 모두 외측과 후방에 높은 발병률을 보였다.
      결 론: 족근관절 골절에서 발생하는 거골의 골연골병변의 조기 진단을 위하여 족근관절 골절 치료시 거골의 후방 혹은 외
      측부의 정밀한 관찰이 요구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ranschondral fractures of the talus" 41-A : 988-1023, 1959

      2 "Supination-outward rotation injuries of the ankle" 110 (Suppl) : 118-119, 1967

      3 "Subtle transchondral fracturesof the talar dome:A radiological perspective" 124 : 667-673, 1977

      4 "Osteochondritis of the talus:The natural history" 144 : 264-268, 1979

      5 "Osteochondritis dessicans of the talus.Review of the literature and new surgical approach for medial domelesions" 5 : 165-185, 1985

      6 "Osteochondritis dessicans and similarlesions of the talus:Report of 55 cases with special reference toetiology and treatment" 23 : 51-66, 1953

      7 "Osteochondral lesions ofthe talus:A revised classification" 20 : 789-793, 1999

      8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62-A : 97-102, 1980

      9 "Osteochondral fractures of the talus:A long term follow-up" 69-B : 89-92, 1987

      10 "Malleolar fracture.Non-operativeversus operative treatment" 199 : 17-27, 1985

      1 "Transchondral fractures of the talus" 41-A : 988-1023, 1959

      2 "Supination-outward rotation injuries of the ankle" 110 (Suppl) : 118-119, 1967

      3 "Subtle transchondral fracturesof the talar dome:A radiological perspective" 124 : 667-673, 1977

      4 "Osteochondritis of the talus:The natural history" 144 : 264-268, 1979

      5 "Osteochondritis dessicans of the talus.Review of the literature and new surgical approach for medial domelesions" 5 : 165-185, 1985

      6 "Osteochondritis dessicans and similarlesions of the talus:Report of 55 cases with special reference toetiology and treatment" 23 : 51-66, 1953

      7 "Osteochondral lesions ofthe talus:A revised classification" 20 : 789-793, 1999

      8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62-A : 97-102, 1980

      9 "Osteochondral fractures of the talus:A long term follow-up" 69-B : 89-92, 1987

      10 "Malleolar fracture.Non-operativeversus operative treatment" 199 : 17-27, 1985

      11 "Long termresults in the treatmentof displaced bimalleolar fractures" 48-A : 1065-1071, 1966

      12 "Late results of operative and non-operative treatmentof ankle tractures" 293 (Suppl) : 295-296, 1962

      13 "Image of osteochondral injuries" 20 : 249-278, 2000

      14 "Evaluation of ankle fractures.Nonoperativeand operative treatment" 111 : 138-149, 1979

      15 "Arthroscopic findings inacute fractures of the ankle" 82-B : 345-351,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6 0.06 0.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8 0.08 0.24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