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TIMSS 과학 내용영역별 성취 특성 분석 = Analysis of Features of Korean Fourth Grade Students' TIMSS Science Achievement in Content Domains with Curriculum Chan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94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TIMSS 2011과 TIMSS 2015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성취 특성 추이변화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

      본 연구의 목적은 TIMSS 2011과 TIMSS 2015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성취 특성 추이변화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현장교사 네 명과 과학교육을 전공한 연구자 세 명이 참여하여 TIMSS 2015의 초등학교 과학과 내용영역별 평가주제와 문항에 대해 교육과정 일치도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생명과학, 물상과학 그리고 지구과학의 영역을 막론하고 초등학교 3-4학년군 교육과정에서 다룬 내용일수록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5-6학년군에서 다루는 열전달, 전기의 작용, 지구와 달의 운동 등과 관련된 문항에서는 정답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과학 인지영역별로는 TIMSS 2015에서 우리나라 초4 학생들은 TIMSS 2011에 비해 추론하기 영역의 점수가 많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시사점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trend of Korean fourth grade students' achievement in TIMSS 2011 and TIMSS 2015 science content domain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science curriculum and teaching & learning improvement. With four elem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trend of Korean fourth grade students' achievement in TIMSS 2011 and TIMSS 2015 science content domain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science curriculum and teaching & learning improvement. With four elementary science teachers and three science educators, we analyzed Korean fourth grade students' percentage of correct responses in TIMSS 2015 science content and cognitive domains, and conducted item-curriculum matching analysis for test items. According to the results, Korean students performed relatively better in test topics covered in the science curriculum for 3-4 grades regardless of the science content domain (i.e., Life science, Physical science, or Earth science). Korean students showed low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items related to such topics as heat conduction, the action of electricity, the motion of the earth and the moon, etc., which were covered in the 5th-6th grade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science cognitive domains, Korean students' achievement dropped significantly in reasoning between TIMSS 2011 and TIMSS 2015. Discussed in the conclusion are implications to reconstruct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봉, "중학교 과학 수업 학습 환경에 대한 변화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717-727, 2016

      2 김지영, "인지진단이론에 근거한 TIMSS 2011의 과학 결과 분석을 통한인지 속성의 국제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267-275, 2015

      3 정은영,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TIMSS 2003)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99-113, 2006

      4 Park, K. M., "prospects and tasks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mathematics achievement: Outcomes and tasks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student achievement" KICE 2004

      5 Kim, 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5 Main Survey" KICE 2015

      6 Sang, K.,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Findings from TIMSS 2015 for Korea" KICE 2016

      7 Martin, M. O, "TIMSS 2015International Results in Science. Retrieved from Boston College"

      8 Mullis, I. V. S, "TIMSS 2015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9 곽영순, "TIMSS 2015 중학교 2학년 지구과학 영역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 및 교육과정 연계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9-16, 2017

      10 IEA, "TIMSS 2015 User Guide for the International Database" Boston College,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2017

      1 이재봉, "중학교 과학 수업 학습 환경에 대한 변화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717-727, 2016

      2 김지영, "인지진단이론에 근거한 TIMSS 2011의 과학 결과 분석을 통한인지 속성의 국제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267-275, 2015

      3 정은영,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TIMSS 2003)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99-113, 2006

      4 Park, K. M., "prospects and tasks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mathematics achievement: Outcomes and tasks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student achievement" KICE 2004

      5 Kim, 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5 Main Survey" KICE 2015

      6 Sang, K.,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Findings from TIMSS 2015 for Korea" KICE 2016

      7 Martin, M. O, "TIMSS 2015International Results in Science. Retrieved from Boston College"

      8 Mullis, I. V. S, "TIMSS 2015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9 곽영순, "TIMSS 2015 중학교 2학년 지구과학 영역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 및 교육과정 연계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9-16, 2017

      10 IEA, "TIMSS 2015 User Guide for the International Database" Boston College,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2017

      11 Mullis, I. V. S., "TIMSS 2015 Assessment Frameworks"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2013

      12 Mullis, I. V. S., "TIMSS 2011 Assessment Framework"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Lynch School of Education, Boston College 2009

      13 홍미영, "TIMSS 2003 성취 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246-257, 2006

      14 신동희, "TIMSS 2003 과학 공개 문항 내용 분석에서 나타난 성별 문항 응답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732-742, 2006

      15 MOE, "Science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2015-74[supplement 9]"

      16 MEST, "Science Curriculum. MEST Notification No. 2011-361[supplement 9]"

      17 MEHRD, "Science Curriculum. MEHRD Notification No. 2007–79[supplement 9]"

      18 KOFAC, "Research on mathematics curriculum for 2009 revised curriculum"

      19 MOE, "General Plans for Science Education(2016.2.)"

      20 Kim, S., "Findings from TIMSS for Korea: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KICE 2012

      21 KICE,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national-level curriculum for the future society – Science" KICE 2013

      22 KOFAC, "Development Research of Draft of 2015 revised subject curriculum Ⅱ - Science Curriculum" KOFAC 2015

      23 Lee, K., "Design of the competencies-ba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uture society" KICE 2012

      24 송은정,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 분석 -TIMSS 인지적 영역 평가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607-616,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