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제 유물의 편년을 통해 본 와질토기 출현시점 검토 = Emergence of the Wajil pottery through chronological study of the chinese artifa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38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西漢 중기에 출현한 星雲文鏡은 중국에서도 서한 만기에 더 유행하였으며 東漢 조기 무덤에서 출토 되기도 한다. 중국에서 漢鏡은 무덤 부장용의 禮器가 아니라 일상용 화장도구이므로 장...

      西漢 중기에 출현한 星雲文鏡은 중국에서도 서한 만기에 더 유행하였으며 東漢 조기 무덤에서 출토 되기도 한다. 중국에서 漢鏡은 무덤 부장용의 禮器가 아니라 일상용 화장도구이므로 장시간 동안 사용되거나 傳世의 가능성도 높다. 서한시대 한경이 동한시대는 물론 兩晉시대까지 출토되는 예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영남지역에서 와질토기와 공반된 성운문경을 서한 중기의 연대에 맞추어 기원전 1 세기 초로 편년하는 것은 객관적이지 못하다. 서한 초의 八銖·四銖半兩錢은 兩漢時代의 五銖錢, 王莽錢과 함께 해당 시기는 물론 六朝時代까지 유통되었다. 그러므로 늑도유적에서 출토된 사수반량전이 오수전 출현이전에 유입되었다고 단정할수 없다. 늑도유적에서 출토된 중국제 도기는 戰國系 陶器가 아니라 동한시대의 釜形陶器로 복원되 었다. 따라서 사수반량전의 존재와 중국제 도기를 전국계 도기로 해석하여 낙랑설치 이전에 요동반 도-한반도 남부-일본열도를 잇는 국제 교역망이 형성되었으며 이 결과 기원전 2세기에 유입된 전국계 도기의 영향을 받아 와질토기가 출현했다는 견해는 재고되어야 한다. 漢 武帝 死後 한제국의 대외정책은 유화책으로 바뀌고, 동시에 漢四郡은 樂浪郡을 중심으로 영역재 편이 완료되면서 주변의 토착사회와 교류를 본격적으로 행한다. 이 때부터 漢式文物이 영남지역에 본격적으로 유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토착 製陶기술에 漢式 제도기술이 유입되어 재지화 된 것이 와질토기이다. 그러므로 한식문물이 유입된 후 재지화 되기까지의 시간을 감안하면 와질토기의 출현시 점은 기원전 1세기 중엽으로 편년하는 것이 타당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ar and cloud patterned bronze mirror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Western Han and was prevalent in the latter part of the Wester Han. It also found in the tomb of the early part of the Easter Han. As it was a kind of cosmetic utensils in China,...

      The star and cloud patterned bronze mirror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Western Han and was prevalent in the latter part of the Wester Han. It also found in the tomb of the early part of the Easter Han. As it was a kind of cosmetic utensils in China, it could be used for a long time or handed down to posterity. The mirror of the Wester Han was found in the Eastern Han and Jin period. As a result, this mirror found with the Wajil pottery in Yeongnam area should not correspond to B.C 1C by matching to the middle of Western Han. The eighi-su and four-su Banliang coin of the Werstern Han was distributed to the six dinasty period with the five-su coin and Wangmang coin of the Han period, so it should not be thought that the four-su Banliang coin of the Neuk Island was brought into this area before the emergence of the five su coin. The chinese pottery of this island could not be the warring states period but it could be a kettle shaped pottery of the Western Han period. Therefore, the view that international exchange network - Liaodong peninsula, the south part of Korea and Japan was formed before Nak Lang and the Wajil pottery appeared in Korea peninsula influenced by the pottery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B.C 2C must be revisited. After Emperor Mu died, the foreign policy of the Han Dynasty changed to moderate and four countries of Han were reorganised centred on Nak Lang and started interchange with surrounded local society. From this moment, the Han style culture completely flowed into the Yeongnam area. In this progress, the Wajil pottery appeared based on local ceramics added the ceramics of Han. As a result, considering the time to be localized, the appearance point of the Wajil pottery should be the middle of the B.C 1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중국 출토 한경과 한대 전폐의 검토 1. 漢鏡의 검토 2. 錢幣 Ⅲ. 늑도, 오키나와 출토 중국제 도기의 검토 Ⅳ. 와질토기의 출현시점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Ⅱ. 중국 출토 한경과 한대 전폐의 검토 1. 漢鏡의 검토 2. 錢幣 Ⅲ. 늑도, 오키나와 출토 중국제 도기의 검토 Ⅳ. 와질토기의 출현시점 Ⅴ.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