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씨잡변」초간본의 서지적 연구 =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First Edition of the Bulsijabbyo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977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ulsijabbyon(佛氏雜辯) was written by Jeong Dojeon(鄭道傳) in 1398. The purpose of his writing was to emphasize the superiority of Sung Confucianism to repress Buddhism. Since he was executed for treason only after a few months of its compl...

      The Bulsijabbyon(佛氏雜辯) was written by Jeong Dojeon(鄭道傳) in 1398. The purpose of his writing was to emphasize the superiority of Sung Confucianism to repress Buddhism. Since he was executed for treason only after a few months of its completion, the manuscript disappeared. In 1458, Yoon Gigyoun(尹起) who obtained the manuscript from Hanhyouk(韓) in 1456, published the first edition of the Bulsijabbyon in Yangyang. This first edition of the Bulsijabbyoun(佛氏雜辯) is currently held at the East Asian Library of U.C. Berkeley. The examination of this copy brought up several new facts as follows: First, 'Byoun(辨)' of the title was derived from 'Hobyoun(好辯)' of Mencius doctrines. Therefore the title must be the Bulsijabbyoun(佛氏雜辯). Second, it is assumed that Yangyang must be another name for Yecheon(醴泉), when the official posts held by Yoon Gigyoun(尹起) and his assistant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ird, its printing blocks must have been burn down by Japanese soldiers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3. Fourth, the Bulsijabbyoun(佛氏雜辯) was included in various chapters of different editions of Sambongjib(三峯集), so that there has been much confusion. Fifth, the Bulsijabbyoun included in the Sambongjib(三峯集) (1791), was more precisely proofread than the same text included in the Sambongseonsaengjib(三峯先生集) (146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도전, "「한국의 사상대전집6」:정도전" 서울: 동화출판공사 1972

      2 정성식, "포은과 삼봉의 철학사상" 서울: 심산문화 2003

      3 김용옥, "조선경국전 불씨잡변의 탐구 (삼봉정도전의 건국철학)" 서울: 통나무 2004

      4 한자경, "정도전의 불교비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우주 내에서 인간 心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논의 -" 불교학연구회 6 : 3-104, 2003

      5 이홍순, "정도전의 배불사상" 12 : 119-141, 1992

      6 이영춘, "정도전의 배불론과 그 성격" 167-185, 1998

      7 한영우, "정도전사상의 연구.개정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

      8 한영우, "왕조의 설계자 정도전" 서울: 지식산업사 1999

      9 조기영, "삼봉과 리더십" 서울: 이치 200

      10 이기훈, "불씨잡변"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1 정도전, "「한국의 사상대전집6」:정도전" 서울: 동화출판공사 1972

      2 정성식, "포은과 삼봉의 철학사상" 서울: 심산문화 2003

      3 김용옥, "조선경국전 불씨잡변의 탐구 (삼봉정도전의 건국철학)" 서울: 통나무 2004

      4 한자경, "정도전의 불교비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우주 내에서 인간 心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논의 -" 불교학연구회 6 : 3-104, 2003

      5 이홍순, "정도전의 배불사상" 12 : 119-141, 1992

      6 이영춘, "정도전의 배불론과 그 성격" 167-185, 1998

      7 한영우, "정도전사상의 연구.개정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

      8 한영우, "왕조의 설계자 정도전" 서울: 지식산업사 1999

      9 조기영, "삼봉과 리더십" 서울: 이치 200

      10 이기훈, "불씨잡변"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11 權近, "국역양촌집"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82

      12 李荇, "국역신증동국여지승람 (Ⅲ. 중판)" 서울: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5

      13 "국역삼봉집ⅠⅡ"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77

      14 鄭亨愚․尹炳泰, "韓國의 冊板目錄" 서울: 保景文化社 1995

      15 李鍾燦, "韓國漢詩大觀 (13)" 서울: 이회문화사 200

      16 宋昌漢, "鄭道傳의 斥佛論에 대하여: 佛氏雜辨을 중심으로" 15 : 225-246, 1978

      17 金海榮, "鄭道傳의 排佛思想" 1 : 33-62, 1984

      18 名古屋市敎育委員會, "蓬左文庫漢籍目錄 (昭和 30)" 名古屋市: 同會 1955

      19 衫浦豊治, "蓬左文庫典籍樷錄:駿河御讓本" 一宮: 人文科學硏究會 1975

      20 "經書" 서울: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68

      21 "朝鮮王朝實錄. 宣祖26年 5月 乙亥(條)"

      22 "朝鮮王朝實錄. 太祖7年 8月 己巳(條)"

      23 千惠鳳, "日本蓬左文庫韓國典籍" 서울: 지식산업사 2003

      24 徐師曾, "文體明辯.影印本" 서울: 保景文化社 1984

      25 "佛氏雜辯 (三峯先生集 卷7. 世祖 11)" 國立中央圖書館藏 1465

      26 李相佰, "三峰人物考 (完)" 23 : 495-529, 1936

      27 李相佰, "三峰人物考 (1)" 23 : 239-283, 1935

      28 琴章泰, "三峯의 闢佛論" 서울: 삼봉선생기념사업회 185-214, 1982

      29 李丙燾, "三峯의 儒佛觀;三峯의 與闢異端" 서울: 삼봉선생기념사업회 1992

      30 末松保和, "三峯集編刊考" 1 : 55-68, 1951

      31 鄭道傳, "三峯集.영인본" 서울: 경인문화사 1994

      32 "三峯集.寫本" The Claremont College Library McCormick Korean Collection藏

      33 "三峯集 (正祖 15)" 1791

      34 "三峯集 (影印標點韓國文集叢刊 5)"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90

      35 "三峯集" 1914

      36 李炫熙, "三峯集" 5 (5): 46-53, 1968

      37 鄭文炯, "三峯先生集跋.成宗 18" 國立中央圖書館藏 1487

      38 "三峯先生集 (世祖 11)" 日本蓬左文庫藏;國立中央圖書館 microfilm藏 1465

      39 鄭道傳, "三峯先生佛氏雜辯 (木板本. [醴泉]: [尹起畎], 世祖 2)" 1456

      40 "三峯 鄭道傳과 陽村 權近「(韓國漢文學論文選集 13)" 고양: 불함문화사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KCI등재
      2019-03-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5-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지학회 -> 한국서지학회
      영문명 :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1.1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