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응급실 간호사의 건강신념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Health Belief on Fall Prevention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N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45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의 수준을 파악하고, 건강신념(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성과 행동계기)을 기반으로 낙상예방활동에 영향을...

      목적: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의 수준을 파악하고, 건강신념(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성과 행동계기)을 기반으로 낙상예방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며, 2개 권역응급의료센터, 4개 지역응급의료센터와 2개 지역응급의료기관 응급실에 근무하는 12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0.0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응급실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의 평균 점수는 3.78±.50점이었다.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신념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30.8%이었다.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유익성과 행동계기는 낙상예방활동과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며, 지각된 심각성과 응급실 경력 순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결론: 응급실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낙상예방활동의 지각된 유익성을 높이기 위한 행동계기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응급실에 배치된 지 1년이 안된 간호사와 5년 이상의 경력이 많은 간호사, 지역의료기관에 소속된 간호사를 대상으로 낙상예방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fall prevention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ER) nurses based on their health belief factors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arriers, a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fall prevention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ER) nurses based on their health belief factors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arriers, and cues to action).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using questionnaires which were given to 127 emergency room nurses from two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four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s, and two local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with LSD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ER nurses' fall prevention activities had a mean of 3.78±.50. Eigh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lief factors accounted for 30.8% of the fall prevention activities. Fall prevention activitie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affected by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perceived benefits, and cues to action and negatively affected by factors, such as ER career and perceived severit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 plan for enhancing perceived benefits and cues to action to improve fall prevention activities. In addition, fall prevention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for ER nurses who have worked in local medical institutions for less than 1 year or more than 5 yea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나주, "중소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 간호행정학회 17 (17): 462-473, 2011

      2 김은경, "입원환자의 낙상 위험 예측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8 (38): 676-684, 2008

      3 이경숙, "응급의료센터를 내원한 환자의 주증상과 주진단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347-352, 2012

      4 도병수, "응급의료서비스 이용의 적절성과 대형병원 응급실과밀화에 대한 해결방안" 대한의사협회 52 (52): 1044-1046, 2009

      5 정설희, "응급실 재원시간과 관련된 환자의 특성" 한국보건행정학회 19 (19): 27-44, 2009

      6 신태건, "응급실 다방문환자의 임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응급실 다방문환자의 응급실 과밀화 및 중증도와의 관련성 -" 대한응급의학회 22 (22): 86-92, 2011

      7 최유정,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임상간호사의 손씻기 수행 관련요인 분석" 병원간호사회 9 (9): 32-41, 2004

      8 Wang X,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safety culture and adverse event: A questionnaires survey" 2014

      9 Craig J, "The high cost to health and social care of managing falls in older adult living in the community in Scotland" 58 : 198-203, 2013

      10 Brinsley KJ, "Team CDCCt PAR. Assessing motivation for physicians to prevent antimicrobial resistance in hospitalized children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as a framework" 33 : 175-181, 2005

      1 이나주, "중소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 간호행정학회 17 (17): 462-473, 2011

      2 김은경, "입원환자의 낙상 위험 예측 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8 (38): 676-684, 2008

      3 이경숙, "응급의료센터를 내원한 환자의 주증상과 주진단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347-352, 2012

      4 도병수, "응급의료서비스 이용의 적절성과 대형병원 응급실과밀화에 대한 해결방안" 대한의사협회 52 (52): 1044-1046, 2009

      5 정설희, "응급실 재원시간과 관련된 환자의 특성" 한국보건행정학회 19 (19): 27-44, 2009

      6 신태건, "응급실 다방문환자의 임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응급실 다방문환자의 응급실 과밀화 및 중증도와의 관련성 -" 대한응급의학회 22 (22): 86-92, 2011

      7 최유정,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임상간호사의 손씻기 수행 관련요인 분석" 병원간호사회 9 (9): 32-41, 2004

      8 Wang X,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safety culture and adverse event: A questionnaires survey" 2014

      9 Craig J, "The high cost to health and social care of managing falls in older adult living in the community in Scotland" 58 : 198-203, 2013

      10 Brinsley KJ, "Team CDCCt PAR. Assessing motivation for physicians to prevent antimicrobial resistance in hospitalized children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as a framework" 33 : 175-181, 2005

      11 Rosenstock IM,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15 : 175-183, 1988

      12 Morse JM, "Preventing patient falls: Establishing a fall intervention program" Springer 2009

      13 Alexander D, "Predicting patients at risk for fall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2010

      14 Kim MS, "Perception and influencing factors for patient safety among emergency room nurses" Ulsan University 2012

      15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emergency care"

      16 Han S-J, "Patient emergency acuity and length of stay in the emergency room" 14 : 63-68, 2010

      17 Koh SS, "Nurses' perceived barriers to the implementation of a fall preventi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in Singapore hospitals" 8 : 105-, 2008

      18 Ministry of Health & Wel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Ministry of Health & Wel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for hospital [Internet].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1 [cited 2012 June 15]. Available from"

      19 Kim HW, "Knowledge about human papillomavirus (HPV), and health beliefs and intention to recommend HPV vaccination for girls and boys among Korean health teachers" 30 : 5327-5334, 2012

      20 Degelau J, "Health care protocol: Prevention of falls (acute care)" Institute for Clinical Systems Improvement 4-, 2012

      21 Milisen K, "Feasibility of implementing a practice guideline for fall prevention on geriatric wards: A multicentre study" 50 : 495-507, 2013

      22 The National Ageing Research Institute, "Falls prevention guidelines for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and Ageing

      23 Song MR, "Falls management of inpatients"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4 Pachte LM, "Factor and subscale structure of a parental health locus of control instrument (parental health beliefs scales) for use in a mainland United States Puerro Rican community" 50 : 715-721, 2000

      25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26 Korea Consumer Agency, "Consumer ages" Korea Consumer Agency

      27 Kim S-H, "Clinical nurses’ practice of the fall prevention for elderly patients and their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culture" Hanyang University 2012

      28 Schwendimann R, "Characteristics of hospital inpatient fall across clinical departments" 54 : 342-348, 2008

      29 Lee IK, "Affected factors on preventive activity of hospital fall in nurses at an university hospita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1

      30 김금순, "A Comparative Study on the Validity of Fall Risk Assessment Scales in Korean Hospitals" 한국간호과학회 5 (5): 28-37,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98 2.98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6 2.96 4.5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