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일고찰 - 국어과 과목 설정 문제를 중심으로 - = A Consideration for Development of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Integrat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 Focused on Korean Language Subject Setting Issu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725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for development of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integrat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Especially it focused on checking Korean subject setting issues criticall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for development of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integrat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Especially it focused on checking Korean subject setting issues criticall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hecks base discourses which is a background of curriculum development at first. These are “key competence, integration, creativity․character, convergence”, and “key competence” is important thesis among them in this curriculum revision. And then this study arranges reconstruction ways of liberal art and natural science integrat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Especially, “subject system” would be mainly checked due to it is a focus point of a reconstruction. Based on this, the validity of Korean subject setting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e to be considered critically. It is focusing matters, “relationship with key competence, integration for Reading subject, validity of Language and Media, ambiguity of Classic Read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을 살피고, 특히 ‘국어과 과목 설정’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과정 개발의 배경이 되는 ...

      이 연구는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을 살피고, 특히 ‘국어과 과목 설정’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과정 개발의 배경이 되는 기저 담론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들은 ‘핵심 역량, 통합, 창의․인성 및 융․복합’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핵심 역량’은 현 교육과정 개정을 추동하는 가장 중요한 명제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 이번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중점 과제인 ‘교과 체제’를 확인하는 데 집중한다. 일련의 논의를 바탕으로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과목 설정의 타당성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핵심 역량과의 관련성, 독서 과목의 통합성, 언어와 매체의 타당성, 고전읽기의 모호성 등에 대해 집중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향후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의 본격적인 개정 작업을 위한 성찰과 지향을 담은 논의로서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은주, "화법과 문법의 통합 교육 내용 구성"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87-116, 2010

      2 소경희, "호주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및 주요 특징" 한국비교교육학회 21 (21): 51-73, 2011

      3 김규훈, "핵심 역량 시대 문법교육의 역할" 한국문법교육학회 117-133, 2014

      4 원진숙, "핵심 역량 기반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초등 국어과 쓰기 교육 방법" 한국작문학회 (20) : 73-107, 2014

      5 김평원, "프로젝트 수행법을 위한 융합교육과정의 설계 - 화법과 작문을 반영한 수레바퀴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49-78, 2010

      6 김창원,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과 과제" 청람어문교육학회 (51) : 7-37, 2014

      7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8 우한용, "창의인성의 방향과 국어교육의 역할" 한국어교육학회 140 (140): 1-29, 2013

      9 김창원, "창의성 중심의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 국어교육학회 18 (18): 97-128, 2003

      10 문용린, "창의․인성 교육 총론"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1 전은주, "화법과 문법의 통합 교육 내용 구성"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87-116, 2010

      2 소경희, "호주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및 주요 특징" 한국비교교육학회 21 (21): 51-73, 2011

      3 김규훈, "핵심 역량 시대 문법교육의 역할" 한국문법교육학회 117-133, 2014

      4 원진숙, "핵심 역량 기반 창의 인성 교육을 위한 초등 국어과 쓰기 교육 방법" 한국작문학회 (20) : 73-107, 2014

      5 김평원, "프로젝트 수행법을 위한 융합교육과정의 설계 - 화법과 작문을 반영한 수레바퀴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49-78, 2010

      6 김창원,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과 과제" 청람어문교육학회 (51) : 7-37, 2014

      7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8 우한용, "창의인성의 방향과 국어교육의 역할" 한국어교육학회 140 (140): 1-29, 2013

      9 김창원, "창의성 중심의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 국어교육학회 18 (18): 97-128, 2003

      10 문용린, "창의․인성 교육 총론"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11 박수자, "창의 인성 계발과 국어과 교육의 과제" 한국어교육학회 140 (140): 31-51, 2013

      12 박영민, "중학교 통합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51) : 65-80, 2014

      13 차윤경, "융복합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4

      14 김시정, "융복합 교육의 양상에 대한 국어교육적 접근" 국어교육학회 43 (43): 125-153, 2012

      15 김선아, "숙의를 통한 융복합 교육과정의 가능성 탐색- 미술과-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미술교육학회 27 (27): 71-96, 2013

      16 김규훈, "생태언어학의 교육과정 재개념화 방향 - 2009 교육과정 문법 과목의 내용 재구성 방안 모색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1-30, 2011

      17 Merleau-Ponty,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동문선 2004

      18 박영민, "미래 핵심역량과 중등 작문교육" 한국작문학회 (20) : 109-133, 2014

      19 이광우,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I)-핵심 역량 영역별 하위 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0 서영진,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 - 국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1 주세형, "문법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역락 2006

      22 김혜숙, "문법교육과 텍스트의 만남-실천적 탐색과 적용"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2

      23 김창원,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2014년 교육부 정책연구 보고서)" 교육부 2014

      24 이호형, "몸 철학의 국어교육적 의미 탐구 — Merleau -Ponty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9 (49): 527-556, 2014

      25 김명순, "독서 작문 통합 지도의 전제와 기본 방향" 한국독서학회 (11) : 61-82, 2004

      26 박인기, "글쓰기의 미래적 가치 - 글쓰기의 미래적 효능과 글쓰기 교육의 양태(mode) -" 한국작문학회 (20) : 9-36, 2014

      27 김광해, "국어지식 교육의 위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3 : 21-45, 1996

      28 박인기,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국어교육학회 37 (37): 137-158, 2010

      29 김규훈, "국어과 창의 · 인성 교육의 실행 원리 탐색 ― 국어과 핵심 역량의 개념화를 바탕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40) : 409-448, 2013

      30 김규훈,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내용 구성 방안 - 2011 교육과정 ‘독서와 문법’ 과목을 대상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9 (89): 29-54, 2012

      31 김주환,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합성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5 (85): 71-96, 2010

      32 임칠성, "국어과 교육과정의 영역 설정과 운영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41 (41): 35-55, 2010

      33 백경선, "교육과정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의 교육과정적 정당성 준거 탐색에 대한 시론(始論)"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195-218, 2010

      34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2 국어" Science and Technology 2008

      35 민현식, "統合的 文法 敎育의 意義와 方向"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1-37, 2010

      36 Maturana, H., "The Tree of Knowledge" Shambhala 1992

      37 Schwab, J., "The Practical:A Language for Curriculum" 78 (78): 1-24, 1969

      38 DeSeCo,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es" OECD 2001

      39 Harris, T. L., "A dictionary of reading and related terms" IRA 1989

      40 민현식, "2011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2011년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41 이미경,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일반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