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지도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관계분석 :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2167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 청소년지도학과 , 2018. 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62.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Relation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Safety Behavior of Youth Leaders- Focusing on the Factors in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

      • 형태사항

        viii, 143 p. ; 26 cm.

      • 일반주기명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권일남

      • UCI식별코드

        I804:11023-00000007463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성을 파악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지...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성을 파악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의 수준, 변수들 간의 차이,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2. 청소년지도자가 지각하는 안전의식은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안전교육,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있다면 각, 각, 매개하는지 또는 복합적으로 매개하 는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 약 25개 청소년시설에 종사하는 487명의 청소년지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상자의 기초통계치를 분석하였고, 주축요인추출을 위해 Varimax를 실시하였으며, 요인의 적합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KMO & Bartlett’s 검사를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은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증을 위해 도구의 Cronbach's α값을 확인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주요변수의 차이 검증을 위해 t-test, ANOVA를 사용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였다. 또한, 독립변수간의 다중공선성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자로서 안전관련 경험이 높을수록 안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들에게 직접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청소년지도자에게서 안전행동의 중요성이 더욱더 강조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로 살펴볼 때 청소년시설에 종사하는 청소년지도자의 직무에 따라 체계적인 안전행동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안전의식, 안전교육이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의식(β=.196)보다 안전교육(β=.386)이 안전행동에 더 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때 안전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밝힌 결과라 할 수 있다. 결국, 청소년지도자의 직무에 따라 개인 또는 단체 등의 안전교육을 맞춤형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실시하여야 그 교육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소방안전과 재난안전의식이 안전점검하기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안전교육이 사전 예방을 위한 안전점검의 중요성도 강조해야 하지만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중 소방안전과 재난안전의식을 가질 수 있는 안전교육을 강조해야 함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넷째, 안전의식은 안전교육을 통해서만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안전의식이 높을수록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게 되고, 안전교육이 결국 안전행동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다섯째, 안전행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의식이 안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직무스트레스를 경로로 하는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직무스트레스 때문에 안전행동이 낮아진다는 주장과 상반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여섯째, 안전교육과 직무스트레스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도 안전의식이 안전교육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안전교육이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교육을 통해서만 안전의식이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안전의식이 안전행동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안전교육을 받는 것이 안전행동을 강화하기 위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밝힌 연구의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자의 안전행동, 주관적 규범, 객관적 규범간의 관계를 밝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결국, 청소년지도자의 안전행동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안전교육을 통해서 객관적 규범을 습득한 후 이를 토대로 주관적 규범이 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야 함을 밝히게 되었다.
      둘째,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 및 단체의 안전교육을 밝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지도자의 평소 생활에서의 안전 행동이나 안전의식이 실제적 안전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지만, 개인 및 단체의 맞춤형 안전교육을 통해서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맞춤형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업무상 직무스트레스를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밝힘으로서 안전행동을 높일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바탕이 되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 안전교육 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가 없어 타 분야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청소년지도자의 환경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점을 밝혀둔다.
      둘째, 안전행동의 측정도구는 NCS 청소년지도 분야의 국가직무능력(NCS) 능력단위를 토대로 사용하였다. 청소년지도 분야에서 유일하게 안전행동과 관련된 측정도구이지만 학문적인 근거를 토대로 개발된 측정지표가 아닌 현장의 직무를 토대로 개발되었다. 이 때문에 이론적 근거와 타당도 신뢰도 등에서 한계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셋째, 청소년지도자의 분석 표본수가 418명으로 표본을 선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고, 전국의 대표성 있는 집단의 청소년지도자가 아닌 수도권 중심의 청소년지도자를 중심으로 표본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주제어: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and relations of youth leaders’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487 youth leaders from 25 centers including youth training center, youth culture house, youth counselling 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and relations of youth leaders’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487 youth leaders from 25 centers including youth training center, youth culture house, youth counselling center answered the survey. KMO & Bartlett’s test was done for the sampling adequacy and the resulting value for Cronbach’s alpha for the most of the survey items was above 0.8.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SPSS 22.0 AND Amos 22.0. Multicollinearity test for independent variables by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eid out and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was analyzed with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summary is as follows.
      First, the more safety-related experiences they have had as a youth leader, the more frequently they presented safety behavior. This result shows that it is better that youth leaders need to be exposed to safety-related experiences more.
      Second,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edu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fety behaviour. Safety education being mo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fety behavior (β=.386) than safety consciousness (β=.196), the study proved the significance of safety education.
      Third, fire safety awareness and disaster safety awareness resulted in safety check behaviors.
      Fourth, safety consciousness affected safety behavior only with the aid of safety education. The more conscious of the safety the youth leaders were, the more importance and value they gave to safety education, which eventually led them to more safety behavior.
      Fifth, job stress did not affect safety behavior. Safety consciousness being a meaningful factor for safety behavior, job stress was not the case. This result disproves the argument that job stress reduces safety behavior.
      Sixth, even with safety education and job stress taken consideration together, only through safety education did safety consciousness affect safety behavior.
      The meaningfu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elp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behaviors and norms of youth leaders. It is recommended that youth leaders be aware of objective rules at first and then internalize them as subjective norms.
      Second,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customized fo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ird, this study help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behaviors and job stress of youth leaders.

      Keywords : Safety consciousness, Safety education, Job stress, Safety behavi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i
      • 제Ⅰ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문제 7
      • 목 차 i
      • 제Ⅰ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문제 7
      • 제2장 이론적 배경 9
      • 제1절 청소년지도자의 안전행동 9
      • 1. 안전행동의 이해 9
      • 2. 청소년활동지도와 안전행동 12
      • 제2절 청소년지도자의 안전행동을 위한 하위영향요인 15
      • 1. 청소년지도와 안전의식 15
      • 2. 안전교육과 청소년지도 23
      • 3. 청소년지도와 안전교육, 안전행동의 관계 40
      • 4. 청소년지도자 직무스트레스와 안전행동 47
      • 제3장 연구방법 53
      • 제1절 연구대상 53
      • 제2절 측정도구 55
      • 제3절 자료분석 63
      • 제4장 연구결과 분석 및 해석 64
      • 제1절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64
      • 제2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 66
      • 제3절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의 관계 88
      • 제4절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90
      • 제5절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의 구조모형 93
      • 제5장 논의 및 결론 100
      • 제1절 요약 및 논의 100
      • 제2절 결론 및 제언 103
      • 참고문헌 107
      • 부록 121
      • Abstract 142
      • 그림 목차
      • [그림 1] 태안 사설 해병대 캠프 익사사고 로직 트리 분석 22
      • [그림 2] 청소년안전센터의 주요사업영역 35
      • [그림 3] 청소년활동안전교육과정 39
      • [그림 4] 일반적응증후군의 3단계 48
      • [그림 5]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의 수준별 그래프 65
      • [그림 6] 안전의식, 안전교육, 안전행동 구조모형 95
      • [그림 7] 안전의식,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 구조모형 97
      • [그림 8]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 구조모형 99
      • 표 목차
      • <표 1> 학교안전사고의 유형 24
      • <표 2> 7대 학생 안전교육 개요 25
      • <표 3> 학년별 학생 안전교육 시간 및 횟수 28
      • <표 4> 안전교사 양성을 위한 전공 기본이수과목 개선 방안(안) 29
      • <표 5> 대상별 교원 안전관련 연수(안) 30
      • <표 6> 2015학년도 시도교육청 평가 지표(안) 30
      • <표 7> 학교안전과 관련한 현행 법령 및 규정 31
      • <표 8>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약칭:학교안전법) 32
      • <표 9> 청소년활동 안전관련 주요 법규 34
      • <표 10> 안전교육의무 실시에 대한 근거법령 36
      • <표 11> 각 법령에 따른 안전교육 37
      • <표 12> 안전교육과정의 일반적 내용 38
      • <표 13> 청소년 안전교육의 규정 39
      • <표 14> 청소년지도자 및 종사자 안전교육의 규정 40
      • <표 15> 청소년활동 중 실내외 공간의 위험요소 발생요인 43
      • <표 16> 청소년활동 중 수상활동의 위험요소 45
      • <표 17> 청소년활동 중 동계활동의 위험요소 45
      • <표 18> 청소년활동 중 이동·숙박형 활동의 위험요소 46
      • <표 19>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4
      • <표 20> 안전의식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55
      • <표 21> 안전의식 문항 수 및 신뢰도 56
      • <표 22> 안전교육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57
      • <표 23> 안전교육 문항 수 및 신뢰도 58
      • <표 24> KMO와 Bartlett의 검정 59
      • <표 25> 직무스트레스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59
      • <표 26> 직무스트레스 타당도 및 신뢰도 60
      • <표 27> 청소년활동 NCS 능력단위 60
      • <표 28> KMO와 Bartlett의 검정 61
      • <표 29> 안전행동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61
      • <표 30> 안전행동의 타당도 및 신뢰도 62
      • <표 31>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65
      • <표 3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전의식 차이 검증(전체) 67
      • <표 3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안전 차이 69
      • <표 3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방안전 차이 71
      • <표 35>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난안전 차이 72
      • <표 3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전교육 차이 검증 73
      • <표 37>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개인의 안전교육에 차이 검증 74
      • <표 38> 일반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시설의 안전교육에 차이 검증 76
      • <표 39>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 검증(전체) 77
      • <표 40>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요구 스트레스의 차이 검증 78
      • <표 4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체계 스트레스의 차이 검증 79
      • <표 4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장문화 스트레스의 차이 검증 80
      • <표 4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불안정 스트레스의 차이 검증 81
      • <표 4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행동 차이 검증(전체) 82
      • <표 45>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발생사고 대처 안전행동 차이 검증 84
      • <표 46>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계획 수립 안전행동 차이 검증 85
      • <표 47>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안전점검하기 행동 차이 검증 86
      • <표 48>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위생점검의 차이 검증 87
      • <표 49>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의 관계 89
      • <표 50>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90
      • <표 51> 하위요인이 안전행동 하위요인인 발생사고 대처에 미치는 영향 91
      • <표 52> 하위요인이 안전행동 하위요인인 안전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91
      • <표 53> 하위요인이 안전행동 하위요인인 안전점검하기에 미치는 영향 92
      • <표 54> 하위요인이 안전행동 하위요인인 위생점검에 미치는 영향 93
      • <표 55> 안전의식, 안전교육, 안전행동의 구조관계 94
      • <표 56> 안전의식,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의 구조관계 96
      • <표 57> 안전의식, 안전교육, 직무스트레스, 안전행동의 구조관계 9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교육부, "null", 2014년도 국가안전관리 집행계획, 2013

      2 교육부, "null", 학생 안전의식지수 개발을 위한 연구 용역, 2014

      3 김호순, "null", 청소년안전사고예방 및 대처방안 미간행 자료, 2015

      4 강정호, 김광성, 권봉안, "안전교육", 정민사, 금광출판사, 1987

      5 김재휘, "설득 심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6 김충기, "1, 유아생활지도", 동문사, 2000

      7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자유학기제 학생체험 활동 안전 관리 매뉴얼, 2014

      8 김정의, "9인,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pp. 352-356, 2002

      9 성태제, "“알기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247, 2008

      10 김혜원, "「안전의식측정척도개발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1 교육부, "null", 2014년도 국가안전관리 집행계획, 2013

      2 교육부, "null", 학생 안전의식지수 개발을 위한 연구 용역, 2014

      3 김호순, "null", 청소년안전사고예방 및 대처방안 미간행 자료, 2015

      4 강정호, 김광성, 권봉안, "안전교육", 정민사, 금광출판사, 1987

      5 김재휘, "설득 심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6 김충기, "1, 유아생활지도", 동문사, 2000

      7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자유학기제 학생체험 활동 안전 관리 매뉴얼, 2014

      8 김정의, "9인,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pp. 352-356, 2002

      9 성태제, "“알기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247, 2008

      10 김혜원, "「안전의식측정척도개발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11 최영일, "초등학교 안전교육에 관한 연구", 한ㅁ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98

      12 강동묵,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고려의학, p.13, 2005

      13 진정석, "“재난관리의 효율성 향상 방안”", 한국화재소방학회,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 집, Vol.2010 No.4, 2010

      14 문고리, "「안전행동의 차원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5 이교봉, "청소년활동 안전관리 발전방안 모색",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춘계학술 대회. pp.41-54, 2016

      16 김호정, "허전, 한글 SPSS WIN 14.0 통계분석 및 해설", 서울: 삼영사, pp. 190-191, 2010

      17 송도선, "듀이에 있어 체험과 이론 교육의 균형 문제", 한국교육철학학회, 교육철학연구, Vol.33, 2005

      18 신지현, "아동복지현장에서의 안전교육 효과성 연구", 대한아동복지학회, 아동복지연구, 5(3), pp.73-89, 2007

      19 문기섭, "안전분위기의 선행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4

      20 조철호, "SPSS/AMOS 활용 구조방정식 모형 논문 통계분석", 청람, 서울: 청람, pp. 109-180, 2014

      21 정주연, 홍영균, "청소년 수련시설 안전기준 제안을 위한 연구", 홍익대학교환경개발연구원, 환경개발연구 논문 집, vol.6. pp.69-88, 2001

      22 차동필, "폭음행위 이해;계획행동 이론의 적용과 확장",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49(3), 346-390, 2005

      23 차은미,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상담자의 소진 체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5

      24 장영희, "정미라,배소연,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 실태", 유아교육연구, 17권 1 호,23-44, 1997

      25 김창현, "청소년 수련활동 중 안전사고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년복지연구, vol.10. No.3, pp.75-99, 2008

      26 이종은, "화학공장의 안전문화 향상을 위한 실증적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명지대학교 박사학위 논 문, 2013

      27 김상엽, "대학생의 안전의식과 안전실천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13(2) pp. 279-289, 2015

      28 김기식(Ki Sik Kim), 박영석 ( Young Seok Park ), "안전 분위기가 안전 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산업 및 조직, 제15권 제1호, 19-39, 2002

      29 Amanda Ripley, "조윤정 역, THE UNTHINKABLE -생존을 위한 재해 보고서", 다른세상, 2009

      30 최인범, 전순호, "학교안전 보건교육의 필요성과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교육학회, 한국안전교육 학회지, Vol.2 No.1, 1998

      31 이찬종, "건설공사현장의 안전의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산업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7

      32 이미라, 조윤희, 이경자, "“노인의 안전의식과 안전사고 발생에 관 한 연구”", 노인간호학회, 노인간 호학회지, 10(1), pp.48-57, 2008

      33 이원태, "노인들의 생활안전의식이 사고유발 요인과의 관련성", 대구한의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4 이동훈,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안전관리자 직무교육 개선방안", 한국교통대학교 산업대학원, 한국교통대학교 산 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5 김인식, 이순철, 박선진, 김종회, "오류와 착오가 고령운전자의 운전행동에 미치 는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Vol.12, No. 1, pp.55-79, 2006

      36 이송이, "화재 안전 교육이 고등학생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7 양미진, 조수연, 이소엽, "청소년상담사 개인 및 직무환경특성에 따 른 소진 차이",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연구, 20(1), 17-35, 2012

      38 박종민, 장선진, "체험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환경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한국 산림휴양학회지, Vol.9 No.4, 2005

      39 심은순, "초등학생의 안전의식 및 실천정도와 안전사고 발생 실태", 연세대학교 보 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0 김용문, "5인, 청소년수련시설 안전관리현황조사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청소년 활동진흥원, 2016

      41 권일남, 전명순, 김정률, "인증수련활동 활동영역 구분 및 심사지표 신규개발 연 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7

      42 석동헌, 이종한, 이종구, "조직 안전풍토의 안전분위기 확인 및 안전행동과의 관 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3), pp. 627-650, 2011

      43 오지은, 박종승, "직무스트레스가 경찰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한 국경찰학회보, 66, pp.173-198, 2017

      44 김경천, "연구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연구원의 안전의식 제고 방안", 한밭대학 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5 오지은, "직무스트레스와 안전분위기가 경찰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46 소한섭, "건설안전관리자의 직무수행 스트레스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7 신기령, "조직 구성원의 안전 의식과 안전 문화수준 측정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 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8 이영민, "지하철 근로자의 직군별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증상과의 관계", 카톨릭대학 교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 2008

      49 우상천, "“공군 조종사의 안전동기 결정요인 및 안전행동과의 관 계”", 상지대학교 일 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50 감신, 김순심, "고등학생에게 적용한 기본심폐소생술 실기교육프로그램 효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보 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23 No.4, 2006

      51 H. W. Park,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professional dancers, Master’'s thesis",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2 임창호 ( Lim Chang Ho ), "경찰관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경찰학회, 한국경찰 학회보, 65, pp.163-196, 2017

      53 이희택, "생활안전의식과 안전지각이 안전생활 실천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54 이경용, "조직문화와 헌신도에 관한 연구 : 안전분야 종사자를 중심으로", 사회발 전연구, Vol.-No9, 2003

      55 조아미 ( Cho A Mi ), 강영배 ( Kang Young Bae ), 이진숙 ( Lee Jin Sook ), "청소년지도자의청소년활동 안전의식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년복지연구, vol.18. No.3, 151-170, 2016

      56 최수일, 김홍, "건설현장의 안전분위기와 작업자 안전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안전학회, 한국안전학회지, 21(5): 60-71, 2006

      57 김규형, "항공사 안전관리시스템이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 는 영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기대학 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58 김소연, "기본권으로서의 안전권 인정에 대한 헌법적 고찰, 한국공법학회", 공법연 구 제45집 제3호, pp. 173-195, 2017

      59 홍승표, "항공정비사의 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한국항 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60 김승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상담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 탐색", 중앙대 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61 김수동, 이광우,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체험학습의 활성화 조건 탐 색",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Vol.16 N0.1, 2004

      62 임운식, "“사회적 교환이론을 통한 경찰공무원의 안전행동에 관한 연 구”", 계명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63 권일준, "수학여행의 안전관리와 문화가 안전리더십과 행동에 미치 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경기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64 권봉안, 정순광, "청소년 수련원의 실태조사를 통한 청소년 안전교육 필요성의 고 찰", 한국안전교육학회, 한국사회안전학회지 4(1), 101-117, 2001

      65 교육부,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보도자료", 2014.11.11, 2014

      66 김용수, 유승일, "국내 건설안전교육의 실태 및 근로자 안전의식 조사에 관하 ㄴ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구조계, Vol.20 No.1, 2000

      67 안창규, "기관사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에 따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 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68 김은희, 노시평, 박희서, "환경친화적 행동의 영향요인 분석: 합리적 행동이론(TRA)의 관점에서",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지방자치학회보, Vol.19 No.2, 2007

      69 손진희, "극놀이와 그리기를 통한 교통안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70 김은희, "쓰레기 감량행태의 영향요인 분석 : 계획행태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71 최충식, "4인, 안전교육의 경험이 안전의식 및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제25회 국민안전 119소방정책컨퍼런스, 2013

      72 강대열, "체험적 안전교육이 중학생의 안전행동과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73 김문수, "청소년활동 안전사고에 대한 청소년지도자의 의식과 책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74 이재희, 오세진, 문광수, "“스트레스 반응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안전 분위기의 중재효과”", 대한안전경영과학회,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2(4), pp. 31-39, 2010

      75 전미일, "갈등이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일 사람 분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5

      76 김태경, 신미지, "부모의 거절과 통제행동 및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우울에 미 치는 영향",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복지상담교육연구, Vol.2 No.1, 2013

      77 김혜원, "이명선, 안전의식 측정 척도 개발 연구 : 서울시 일부 중학생을 중심으로", 보건 교육 건강증진학회지, vol.19 No.1. pp. 87-100, 2002

      78 최경옥, "항공기 이용객의 항공안전정보인식이 항공안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79 박형주, "무의식의 의식화 과정에서 표출된 이미지 표현 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 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80 이영희, "소비자의 국가식품안전정책과 식품업체의 신뢰에 따른 식품안전추구행 동", 한국소비자학회,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81 서승혜, "객실승무원 항공안전교육 프로그램이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 향",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82 이해안, "실험실 연구활동종사자의 안전보건교육이 지식, 태도, 행동에 미치는 영 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83 윤호동, "“서울도시철도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안전의식 및 행 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84 이효동, "건설현장 근로자들의 설문조사 분석을 통한 안전의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85 이명선, "학생, 부모, 교사의 안전관심도가 초등학교 어린이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2(2), pp.41-56, 2005

      86 안복태, "안전문화와 철도근로자의 안전행동에 관한 연구 : 서울교통공사를 중심 으로",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87 권일남, 박소영, "청소년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명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88 정경일(Kyung il Chung), 서승혜(Seung hae Seo), "객실승무원 안전교육 프로그램과 안전행동 간의 관계 및 안전의식의 매개역할", 한국관광연구학회, 관광연구저널, 31(9), pp.151-167, 2017

      89 박수경, "조직의 사회,심리적 요인과 산재발생간의 관계 : 철강회사 근로자를 대 상으로", 사회복지정책, Vol.16, 2003

      90 이안섭,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수행과 안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pp. 26-43, 2011

      91 최미영,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119구급대원의 안전행동 영향 요인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92 김준태, "철도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안전의식과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93 허정철, "수련활동,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년복지연구, Vol.7 No.1, 2005

      94 황선철, "안전문화와 안전행동 및 역할 내 성과와의 관계: 예방초점 및 운명주의의 조절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6

      95 이명선, 이송이, 김선혜, "화재안전교육이 고등학생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Crisisonomy, 9(11). pp329-343, 2013

      96 정혜인, "초등학생의 안전교육 경험에 따른 사고위험, 행동 수준: 놀이,스포츠안 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7 권상민, 전경민, 이은숙, 박경민, 김민영, "안전관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안 전사고 예방 지식, 태도 및 실천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1(2), pp.220-228, 2010

      98 교육부,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 입 법예고(보도자료", 2013.10.2.), 2013

      99 이수경, 윤여송, 박창복, "“조직의 안전행동에 따른 연구원의 안 전의식 수준 및 안전문화 향상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 한국안전학회지, 30(3), pp.123-134, 2015

      100 차희영, 장경애, "강화 남단 갯벌에 적용가능한 탐조 활동 중심의 생태 체험 학습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생물교육, Vol.34 No.4, 2006

      101 박유영, "동화를 통한 유아교통안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2 류효지, "“건설현장의 안전분위기와 안전의식 수준이 근로자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03 김태성, 배영태, 노성덕, 김호정,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 (CYS-Net) 발전방안 연구 –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정착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원, 서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 발원, 2011

      104 김진희, "안전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유형이 유아의 안전 문제해결 사고능력과 안 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5 유선희, "통합적 활동을 통한 유치원 교통안전교육이 유아의 교통안전 지식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106 이원영, "고용불안, 조직몰입, 및 안전분위기가 안전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철도청 사고 예측 모형",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07 정선아, "극놀이를 통한 교통안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교통안전지식 및 교통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08 한영숙 ( Young Suk Han ), 최태식 ( Tae Sik Choi ), "경험중심 안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안전지식 및 안전문제해결사고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pp.47-79, 2006

      109 박희준, "극놀이를 통한 교통안전교육이 유아의 교통안전 문제 해결 사고와 교통 안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10 이경재, "조직의 안전풍토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과 개인의 안전의식이 직무 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11 박창복, "「실험실 연구종사자의 안전의식 및 안전 문화 향상에 관한 연구 :조직의 안전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 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14

      112 정새롬, "호텔종사원이 지각한 안전분위기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 심리적 주인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17

      113 천덕희, 홍경완, "여행업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의 모형에서 자 기감정 조절능력의 역할-경로분석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Vol.36 No.5, 2012

      114 한정원, "조종사의 안전행동을 예측하는 조직의 안전문화와 개인의 안 전태도 및 안전 동기간의 관계 :공군부대와 조종사를 대상으로 한 다 층자료 분석",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연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15 강동묵, 채창, 조정진, 정진주, 장세진, 이철갑, 손미아, 김정원, 김성아, 고상백, 강명근, "김정일,김형수,노상철,박재범,우종민,김수영,김정연,하미 나,박정선,이경용,김형렬,공정옥,김인아,김정수,박준호,현숙정,손동 국,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 회지, Vol.17 No.4,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