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래 인명 · 지명에 관한 동아시아 언어정책 차이의 원인 분석 및 소통 제고를 위한 제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095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아시아의 중심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은 군사, 역사인식, 또는 영토 문제로 최근 긴장과 협력 사이에서 갈등을 거듭하고 있다. 긴장의 축은 남북한은 물론, 한국과 일본, 중국과 일본이다...

      동아시아의 중심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은 군사, 역사인식, 또는 영토 문제로 최근 긴장과 협력 사이에서 갈등을 거듭하고 있다. 긴장의 축은 남북한은 물론, 한국과 일본, 중국과 일본이다. 그런데 이 지역 갈등의 원인을 언어학적 측면에서도 고찰해 볼 수 있다. 이 지역국가들은 상대 국가의 인명과 지명의 표기에 대하여 원음주의와 자국음 원칙 사이에서 서로 다른 언어정책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분명 이 지역 국민들 간의 의사소통에 분명 장애를 초래한다. 이 논문은 동아시아 국가 간 상대 국가의 인명과 지명 표기법에 대한 차이의 원인을 분석하고, 지역 국가 간 보다 나은 의사소통을 위해 원지음주의에 충실한 언어정책을 채택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points out the fact that the major countries in East Asia, such as South and North Koreas, China, and Japan, adopt slightly different language policies related with personal and place names in other parts of East Asia. For instance, they ...

      This article points out the fact that the major countries in East Asia, such as South and North Koreas, China, and Japan, adopt slightly different language policies related with personal and place names in other parts of East Asia. For instance, they call Korean and Japanese names in their own pronunciations in China while the Koreans call Chinese and Japanese names in the original pronunciations in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In Japan, however, Korean names are pronounced in Korean pronunciations while Chinese names are pronounced in the Japanese way, namely in Sino-Japanese. Based upon the observ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s,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causes for the discrepancies in the language policies in the region and to propose the transliteration as the most ideal policy to enhance mutu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among the people in East As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갈등의 동아시아
      • Ⅱ. 중국의 표기법
      • Ⅲ. 대만의 표기법
      • Ⅳ. 일본의 표기법
      • 국문초록
      • Ⅰ. 갈등의 동아시아
      • Ⅱ. 중국의 표기법
      • Ⅲ. 대만의 표기법
      • Ⅳ. 일본의 표기법
      • Ⅴ. 북한의 표기법
      • Ⅵ. 한국의 표기법
      • Ⅶ. 토론
      • Ⅷ. 맺는말
      • 參考文獻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익상, "중국언어학 한국식으로 하기" 한국문화사 2002

      2 하종훈, "北, 中 인명・지명 표기 왜 바꾸었나"

      3 홍덕화, "‘주체 조선’ 北도 중국인명・지명 중국식 표기"

      4 DeFrancis, John, "The Chinese Language: Fact and Fantas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4

      5 엄익상, "Korean Language Policies Related with Chinese and Romanization" 한국중어중문학회 (49) : 171-190, 2011

      6 Eom, Ik-sang., "Discrepancies between Sounds and Graphs: The Irregular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12 (12): 188-201, 2009

      1 엄익상, "중국언어학 한국식으로 하기" 한국문화사 2002

      2 하종훈, "北, 中 인명・지명 표기 왜 바꾸었나"

      3 홍덕화, "‘주체 조선’ 北도 중국인명・지명 중국식 표기"

      4 DeFrancis, John, "The Chinese Language: Fact and Fantas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4

      5 엄익상, "Korean Language Policies Related with Chinese and Romanization" 한국중어중문학회 (49) : 171-190, 2011

      6 Eom, Ik-sang., "Discrepancies between Sounds and Graphs: The Irregular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12 (12): 188-20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4 0.507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