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력모형을 이용한 RCEP와 TPP의 무역효과 분석 = An Analysis on the Trade Effect of RCEP and TPP by Gravity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2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effects of RCEP and TPP agreement on trade(export) between member countries based on the gravity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RCEP and TPP agreements could still increase the export volume be...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effects of RCEP and TPP agreement on trade(export) between member countries based on the gravity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RCEP and TPP agreements could still increase the export volume between the member countries, even though we have controlled the market size, distance, borders, common language use, and colonial experience of the trading partners and reflected the effects of existing FTAs. That is, at least for expor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CEP and TPP agreement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member stat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부분균형분석 관점(중력모형)에서 RCEP와 TPP가 회원국 사이의 무역규모(특히,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두 협정이 무역에 미치는 효과를 분명하게 ...

      본 연구에서는 부분균형분석 관점(중력모형)에서 RCEP와 TPP가 회원국 사이의 무역규모(특히,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두 협정이 무역에 미치는 효과를 분명하게 파악하고 두 협정의 무역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교역국의 시장규모와 거리, 접경, 공통언어 사용, 식민지 경험 등을 통제하고 기존의 FTA 효과를 모두 반영하였음에도 여전히 RCEP와 TPP 협정이 회원국 사이의 수출규모를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이는 중국과 미국의 참여 여부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어도 수출에 있어서는 RCEP와 TPP 협정이 회원국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보경, "한국의 TPP(Trans-Pacific Partnership :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 가입에 따른 회원국들 간 교역효과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8 (28): 117-132, 2015

      2 윤영호, "지역에 따른 한국의 TPP 가입효과"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6 (16): 87-99, 2016

      3 박건영, "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지역별 수출규모 분석" 한국무역연구원 10 (10): 361-382, 2014

      4 구령총, "중력모형을 이용한 외국의 반덤핑조치와 중국수출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무역통상학회 15 (15): 51-74, 2015

      5 라미령, "역내포괄적동반자협정(RCEP)의 추진 현황과 시사점" 17 (17): 1-22, 2017

      6 강선주, "미국의 TPP 탈퇴 함의" IFANS FOCUS 1-3, 2017

      7 성한경, "동아시아 경제 통합과 환태평양경제동반자 협정의 경제적 효과 연구: CGE 분석과 게임이론의 활용" 한국국제경제학회 21 (21): 83-104, 2015

      8 Head, K., "The Erosion of Colonial Trade Linkages After Independence" 81 (81): 1-14, 2010

      9 Petri, P. A., "The Economic Effects of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New Estimates"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33, 2016

      10 배성준, "TPP에 대한 미(美)-중(中) 전략 분석과 한국의 대응방안" 한국무역통상학회 12 (12): 19-44, 2012

      1 강보경, "한국의 TPP(Trans-Pacific Partnership :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 가입에 따른 회원국들 간 교역효과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8 (28): 117-132, 2015

      2 윤영호, "지역에 따른 한국의 TPP 가입효과"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6 (16): 87-99, 2016

      3 박건영, "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지역별 수출규모 분석" 한국무역연구원 10 (10): 361-382, 2014

      4 구령총, "중력모형을 이용한 외국의 반덤핑조치와 중국수출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무역통상학회 15 (15): 51-74, 2015

      5 라미령, "역내포괄적동반자협정(RCEP)의 추진 현황과 시사점" 17 (17): 1-22, 2017

      6 강선주, "미국의 TPP 탈퇴 함의" IFANS FOCUS 1-3, 2017

      7 성한경, "동아시아 경제 통합과 환태평양경제동반자 협정의 경제적 효과 연구: CGE 분석과 게임이론의 활용" 한국국제경제학회 21 (21): 83-104, 2015

      8 Head, K., "The Erosion of Colonial Trade Linkages After Independence" 81 (81): 1-14, 2010

      9 Petri, P. A., "The Economic Effects of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New Estimates"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33, 2016

      10 배성준, "TPP에 대한 미(美)-중(中) 전략 분석과 한국의 대응방안" 한국무역통상학회 12 (12): 19-44, 2012

      11 윤상흠, "TPP 타결에 따른 우리 정부 및 기업 대응전략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6

      12 최원기, "TPP 이후 동아시아 경제통합 전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7

      13 정례련, "TPP 및 RCEP 논의 동향" (165) : 5-16, 2014

      14 Frankel, J. A., "Regional Trading Blocs in the World Economic System"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997

      15 곽근재, "RTAs의 후생효과에 관한 이론적․경험적 고찰" 한국무역통상학회 10 (10): 47-63, 2010

      16 고종환, "RCEP vs. TPP : Which One Would Be More Beneficial to Korea Economically?" 한국무역연구원 11 (11): 51-70, 2015

      17 Mayer, T., "Notes on CEPII’s Distances Measures: The GeoDist Database" CEPII 2011

      18 박형래, "Korea’s Alternatives for the Korea-China-Japan FTA and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Negotiations" 한국무역통상학회 13 (13): 113-130, 2013

      19 Karacaovali, B., "International Trade Effects of Trans-Pacific Partnership for North America" University of Hawaii 1-19, 2017

      20 권혁재, "G2(미국-중국) 통상분쟁 시나리오에 따른 한국에 대한 영향과 대응전략"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4 (14): 325-345, 2014

      21 Baier, S. L., "Do free trade agreements actually increase members’ international trade?" 71 (71): 72-95, 2007

      22 Feenstra, R. C., "Advanced International Trade: Theory and Evid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6 0.78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