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신마비 환자를 위한 안구 마우스의 UI, UX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 A Study of UI, UX Design Guideline of Eye Mouse for General Paralyzed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04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yeCan’ developed a low-cost eye mouse for paralyzed patients. But, its user experience and graphic interface design is not intuitive so has not been used effectively. This research studies for improvement and complement the problems of existing ...

      ‘eyeCan’ developed a low-cost eye mouse for paralyzed patients. But, its user experience and graphic interface design is not intuitive so has not been used effectively. This research studies for improvement and complement the problems of existing eye mouse. It allows to support in making a design guideline, mouse ocular penetration. For this research, an interview with the paralyzed patient, general review of eye movements, computer and television screens,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alyzed patient observation and experiments to the integrated research and manufacturing user interface of eye mouse. By studying the general information for the user to identify the user of the typical disease characteristic that requires a mouse eye. The design guidelines are clearly being able to work with a mouse and keyboard, computer, and eye movement consisting of the use of tablet PC touch with the main function. This product consists of making it the manual and open source software, this study proposes a specific user interface design for eye mouse. The guidelines were determined by noting the lateral movement and easy point and the diagonal effective than vertical eye movements. And it was made of design elements, size, color, long term use for the comfort of ey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신마비 환자를 위하여 개발된 저가형 안구 마우스 eyeCan은 UI, UX 디자인이 직관성이 낮아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 eyeCan을 중심으로 하여 기존의 안구 마우스의 문제점과 개선...

      전신마비 환자를 위하여 개발된 저가형 안구 마우스 eyeCan은 UI, UX 디자인이 직관성이 낮아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 eyeCan을 중심으로 하여 기존의 안구 마우스의 문제점과 개선할 점을 보완하여 사용자의 특성과 안구운동을 고려한 최적화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이 연구가 안구 마우스 보급에 뒷받침할 수 있도록 한다. 전신마비 환자와의 인터뷰, 안구운동의 일반정보 고찰, 컴퓨터와 텔레비전 화면과 전신마비 환자와의 상호관계 관찰, 안구 마우스 제조와 실험 등 통합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안구 마우스 사용자의 대표적 질병에 대한 일반정보를 알아봄으로써 안구 마우스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한다.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마우스와 키보드, 터치로 이루어지는 컴퓨터 및 태블릿PC의 사용을 안구 운동만으로 명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eyeCan의 제작 매뉴얼과 오픈소스인 소프트웨어로 누구나 수정 및 개선이 가능한 점을 토대로 하여 구체적 디자인 적용을 제안한다. 안구의 상하운동보다 좌우운동이 용이한 점과 사선효과 등에 주목하여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을 잡았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디자인 요소의 형태, 크기, 컬러가 안구에 무리를 주지 않는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춘길, "정상인과 운동 장애환자의 안구운동 변수의 비교 연구" 한국과학재단 1997

      2 Joseph T. Dipiro, "임상약학 백과사전" 조윤커뮤니케이션 2013

      3 최광일, "독서이해과정의 개인차 : 인지과제 수행과 안구운동 패턴" 아주대학교 2006

      4 Kowler, E., "Velocity arching during sooth pursuit of different targets on different backgrounds" 18 : 603-605, 1978

      5 Collewijn, H., "Human sooth and saccadic eye overeats during voluntary pursuit of different target motions on different backgrounds" 351 : 217-250, 1984

      6 Chun Ik Jo, "Development of Low Cost DIY Eye Tracker" 대한인간공학회 2011

      1 이춘길, "정상인과 운동 장애환자의 안구운동 변수의 비교 연구" 한국과학재단 1997

      2 Joseph T. Dipiro, "임상약학 백과사전" 조윤커뮤니케이션 2013

      3 최광일, "독서이해과정의 개인차 : 인지과제 수행과 안구운동 패턴" 아주대학교 2006

      4 Kowler, E., "Velocity arching during sooth pursuit of different targets on different backgrounds" 18 : 603-605, 1978

      5 Collewijn, H., "Human sooth and saccadic eye overeats during voluntary pursuit of different target motions on different backgrounds" 351 : 217-250, 1984

      6 Chun Ik Jo, "Development of Low Cost DIY Eye Tracker" 대한인간공학회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32 0.5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