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경농경농(京農)연대기: 1918-1937 ―경성공립농업학교의 일면사를 통해 본 서울시립대학교의 역사사회학적 장소성 = A Chronicle of Seoul School of Agriculture in Korean modern times -in the eyes of articles of newspapers in 1918-1937,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446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 시대 속에 자리했던 경성공립농업학교와 그 구성원들이 겪어낸 시간과 공간의 일단을 조명해보고자 쓰인 것이다. 한 시대는 자연의 공간 속에 인공적 자리를 만들어내고, 그 인...

      이 글은 한 시대 속에 자리했던 경성공립농업학교와 그 구성원들이 겪어낸 시간과 공간의 일단을 조명해보고자 쓰인 것이다. 한 시대는 자연의 공간 속에 인공적 자리를 만들어내고, 그 인간의 장소 속에 시기별로 당대인은 개인과 집단의 사업을 영위하는 토대를 마련한다. 이 같은 움직임의 상호작용이 공간의 생활을 만들어내고 또 역사의 공간을 이룬다고 할 때, 경성공립농업학교는 어떤 성격의 시간속에서 어떠한 형태의 공간으로 탄생하여 당대 사회의 구성요소로 기능해갔는지에 관하여 그 일면을 들여다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그리고 그 관찰의 매개로는 당대의 시간에 당대인과 더불어 존재하고 기능한 신문의 기사를 주로 활용했다. 이렇게 하여 조사 추출된 사례들은 그날의 학교와 그 구성원의 다양한 모습을 드러내 보여준다. 이는 기존 교사(校史)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은 것으로서, 교내생활에서 학생들이 겪는 갈등관계, 즉 학생과 학생간, 학생과 학교운영진 간의 내막을 알게 해준다. 또한 지역사회 속에서 학교의 위상, 특히 지역의 이해관계를 둘러싸고 벌어진주민자치운동의 집결장소로서 학교의 기능도 아울러 보여준다. 그리하여 이 독특한 성격의 학교는 역시 독특하다 할 그 시대와 사회를 조형해나가는 주체들 가운데에 어떤 일익을 담당했으며, 다시그 사회는 이 학교의 정체성의 형성에 어떻게 개입하였는가를 추정하는데 하나의 시사점을 보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이 글의 취지에 깔려있다. 그렇게, 서울시립대학교의 전신으로서 역사의 시간속에 덮여있는 경성공립농업학교로서만이 아니라 당대의 사회적 생명체로서 이 학교와 그 구성원들이 보여준 역동성을 들추어 봄으로써 그 시대의 한 측면을 역사사회학적으로 관찰하는 계기를 얻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focuses on the origin of the University of Seoul ― especially in terms of the sense of place. What happened at the site of the old school of the former University of Seoul in the periods of 1918-1937 shows much of the ch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focuses on the origin of the University of Seoul ― especially in terms of the sense of place. What happened at the site of the old school of the former University of Seoul in the periods of 1918-1937 shows much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ys and students which began to engage in the mordern times of Korea. In this sense, this article describes several landscapes of the campus and students’ life in that times. This study uses the methods of direct interpretation of articles of the newspapers at that times, and this ways may give some tips on the real situation of the campus and the society of that period, and help to reveal some aspects of the ordinary life of the people and students at this place in that era. So this study may be called as a survey on the informal history as to the story of a certain campus which indicates some implications surrounding this special place in twenty years of 1918-1937. In this way, this study pursues to grip some certain aspects of view that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society at that time. To that purpose, this study pursues a method of the historical sociology. For example, this article contains student strike that occurred by the protest to the administrational defects. It also describes the unified demonstration of both Korean and Japanese people to meet the same goal in regional conflict of interes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시립대학교 90년사" 서울시립대학교 2008

      2 "사진으로 보는 서울시립대학교 90년" 서울시립대학교 2008

      3 "매일신보"

      4 "동아일보"

      5 김보현, "근대를 다시 읽는다 1권" 역사비평사 2006

      1 "서울시립대학교 90년사" 서울시립대학교 2008

      2 "사진으로 보는 서울시립대학교 90년" 서울시립대학교 2008

      3 "매일신보"

      4 "동아일보"

      5 김보현, "근대를 다시 읽는다 1권" 역사비평사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tudies in Urban Humanit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10-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도시인문학연구소
      영문명 : The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Urban Humanit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9 1.01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