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무용과 여학생의 스트레스 척도 개발 = (A) Study on a Stress Measure Development for a College Woman of Dance Dep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4221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며 공연 활동을 하고 있는 무용수들이 직면하는 스트레스를 규명하고 규명된 스트레스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

      본 연구는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하며 공연 활동을 하고 있는 무용수들이 직면하는 스트레스를 규명하고 규명된 스트레스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1년 현재 서울 소재 무용관련 학과 중에서 무선 표집(random sampling)을 통해 2개 학교를 선정하여 개방형 설문으로 실시하였다. 개방형 설문 내용을 근거로 기초문항을 작성하고 내용의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소재 대학교에서 무용 전공 학과가 있는 대학교 4개를 무선 표집 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개방형 설문 결과를 통해 구한 측정 개념을 적절하게 대변하고 있는 문항을 구체화하였다.
      척도의 구성 과정은 대학에 재학중인 무용수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통해 스트레스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원자료를 유사한 영역별로 범주화시켜 세부영역을 구분하고, 다시 세부 영역은 유사 내용과 통합해 일반 영역을 구성하는 귀납적 분류 후 전문가 3인과의 토의를 거쳐 문항 풀(pool)을 제작하였다.
      편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version 10.0을 사용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귀납적 범주화 결과 227사례의 원자료는 57항의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57항의 세부영역은 다이어트에 관한 스트레스, 자신의 체형 불만족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 경제적 부담으로 오는 스트레스.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 선후배와의 갈등에서 오는 스트레스, 무용상해의 스트레스, 열악한 시설에서 오는 스트레스, 인맥·학연·지연에 따른 스트레스, 차별적 대우에 대한 스트레스, 자신의 좌절감에 오는 스트레스, 경쟁 심리에서 오는 스트레스 기타 11항의 일반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범주화를 통한 개방형 설문의 종합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척도 문항을 제작하였다. 그러나 총 40문항의 예비 문항이 제작되었으며, 3인 협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34문항을 확정하였다. 그 다음 34개의 문항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유치 값이 1이상인 항목이 8개로 추출되었으며, 8개의 요인은 각각 차별적인 평가에 대한 스트레스, 체형 관리에 대한 스트레스, 실기능력에 대한 스트레스, 무용상해에 대한 스트레스, 인간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경제부담에 대한 스트레스, 환경조건에 대한 스트레스,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로 명명하였다. 이와 같이 8개의 요인수를 설정한 후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결과 8개의 요인을 설명하는 총 변량은 76%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대학에 재학중인 무용수의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 8개요인, 34개 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대학에 재학중인 무용수들이 갖고 있는 스트레스 요인을 개방형 설문이라는 질적 연구 방법을 도입하여 현장감 있는 내용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스트레스를 계량화 하므로서 무용수와 스트레스간의 관계를 밝히려는 양적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stress out to be faced with dancer of performing activity majoring in dance at the college, and also, to develop a stress measure based on its inquired the stress out. This study carried out a question of a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stress out to be faced with dancer of performing activity majoring in dance at the college, and also, to develop a stress measure based on its inquired the stress out.
      This study carried out a question of an open type to select two schools through a random sampling of the departments related to dance in Seoul as of 2001.
      The thesis carried out the investigation through the random sampling of four colleges with a department of major in dance from among the colleges in Seoul in order to do a feasibility-degree study of a content composition to draw up a basic items of sentence based on the question contents.
      The thesis has concreted the item of sentence which is speaking for the measure concept properly through the result of opened-type questionnaire by this survey.
      A constituent process abstracts the stress contents from the opened-type questionnaire on the dancers who is in the college, classify the detailed fields to categorize by similar domains, and drew up the pool of items of sentence through three professional's discussions after an inductive classification to compose a general fields to unite the detailed fields with the similar contents.
      The thesis made a feasibility-degree study from its editorial material with SPSS for Windows version 10.0.
      The original material classified 227 cases of result of an inductive category into the detailed fields of 57 items, that is, the detailed field of 57 items is as in the followings.
      Stress of the dissatisfaction of one's body-shape,
      Stress of economical defrayment
      Stress of course after graduation
      Stress of conflict between senior and junior
      Stress of dance injury.
      Stress of a poor-equipped.
      Stress of personal connections, school relations and regionalism
      Stress of discrimination
      Stress of one's sense of frustration
      Stress of competitive psychology.
      and, it classified a general fields of the other 11 items.
      The thesis made the items of sentence for preliminary measure based on a general results of the open-type questionnaire through categorization. However, it made total 40 items of sentence as a preliminary items of sentence and made a definite decision 34 items of sentence finally through three person's discussions.
      And then, The thesis found out that the result which carried out an analysis of searchable factor, Eight factors over "One" item were abstracted from the objects of 34 items of sentence and the eight factors is called as follows,

      Stress of each discriminative estimation.
      Stress of control of body-shape
      Stress of Practical abilities.
      Stress of dance injury.
      Stress of human relations
      Stress of Economical defrayment
      Stress of environment
      Stress of course

      In the results, the total variate to describe the eight factors showed 76%.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thesis has developed eight factors, 34 items of sentence so as to measure the stress that dancers who are in college have.
      Firstly in the country, this study has extracted the stress factors from the contents of realism to introduce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of open-type questionnaires to the factors of stress which dancers who is in college have, and it is significant that a base of this quantitative study has formed the basis of research in order to inquire into relations between dancers and stress to measure stress based on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 목적 = 4
      • 3. 연구 문제 = 5
      • 4. 용어의 정의 = 5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 목적 = 4
      • 3. 연구 문제 = 5
      • 4. 용어의 정의 = 5
      • Ⅱ. 이론적 배경 = 6
      • 1. 무용심리학 = 6
      • 2. 스트레스 = 10
      • 3. 스트레스 척도의 선행연구 = 25
      • 4. 질문지 개발 과정 = 27
      • Ⅲ. 연구 방법 = 34
      • 1. 조사 대상 = 34
      • 2. 조사 도구 = 35
      • 3. 연구 절차 = 36
      • 4. 자료분석 = 38
      • Ⅳ. 연구 결과 = 39
      • 1. 스트레스 탐색과 문항제작 = 39
      • 2. 무용수의 스트레스 척도 개발 결과 = 42
      • Ⅴ. 논의 및 결론 = 53
      • 참고문헌 = 55
      • ABSTRACT = 61
      • 부록 =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