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새로운 관광수단으로서 지리여행의 콘텐츠 구성과 활용 방안 = The Promotion and Content Composition of Geotravel as a New Way of Tour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64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리여행은 지리학의 현장답사에 근거한 새로운 테마여행이다. 지리여행은 자연경관과 인문경관을 탐구하는 감성여행이며, 역사관광을 뛰어넘는 포괄적 환경여행이다. 지리여행은 가족 체...

      지리여행은 지리학의 현장답사에 근거한 새로운 테마여행이다. 지리여행은 자연경관과 인문경관을 탐구하는 감성여행이며, 역사관광을 뛰어넘는 포괄적 환경여행이다. 지리여행은 가족 체험여행을 할 수 있는 최적화된 지역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공간여행으로서의 지리여행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유역 단위의 지리여행법이 효율적이다. 지리여행 콘텐츠는 융복합 관점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인간과 물은 지리여행 콘텐츠의 통합 주제어이다. 지리여행은 초·중등학교 학생을 위해 특화된 체험여행이기도 하다. 지리여행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지리여행의 코스 개발이 필요하다. 모바일 앱은 지리여행 정보를 쉽게 전달해 주는 매개체가 될 것이다. 지리여행 큐레이터의 육성도 시급하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고품격 지리여행 상품도 개발되어야 한다. 지리여행은 창조관광 달성을 위해 매우 효율적인 수단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ographical travel(Geotravel) is new theme tourism based on geographical fieldwork. Geotravel is an emotional journey to explore physical and human landscapes, and is also a comprehensive environmental one beyond the scope of historical tourism. Geot...

      Geographical travel(Geotravel) is new theme tourism based on geographical fieldwork. Geotravel is an emotional journey to explore physical and human landscapes, and is also a comprehensive environmental one beyond the scope of historical tourism. Geotravel provides an optimized regional content and programs for experiential tourism of the family. Taking advantage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s spatial tourism, the geotravel methodology in catchment unit is strongly recommended. The geotravel content has to be developed in convergence standpoint. The integrated key words of geotravel are human and water. Geotravel is a pattern of specialized edutainment tourism for the public and elementary, secondary school students as well. The development of geographical travel courses is necessary for the popularization of geotravel. Mobile apps will be the medium that delivers easy geographical travel information. And geotravel curator has to be raised quickly for the generalized easy and interesting geotra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지리여행의 정의와 필요성, 역할
      • 3. 지리여행 콘텐츠의 성격과 구성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지리여행의 정의와 필요성, 역할
      • 3. 지리여행 콘텐츠의 성격과 구성
      • 4. 관광 활성화를 위한 지리여행 운영법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종관, "한탄강지질탐사 일지" 지성사 2010

      2 "한국지질공원망"

      3 박종관, "한국지리여행"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2

      4 전영권, "한국의 지오투어리즘" 한국지형학회 17 (17): 53-69, 2010

      5 정필모, "지오투어리즘(Geo-tourism)을 위한 주왕산국립공원의 자연관찰로 분석" 한국지형학회 17 (17): 77-86, 2010

      6 권동희,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본 일본 산인해안(山陰海岸) 지오파크" 한국지형학회 20 (20): 103-116, 2013

      7 박종관,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본 안데스 파타고니아와 아타카마의 지형경관" 한국지형학회 20 (20): 15-28, 2013

      8 권동희,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본 베트남 하롱베이의 지형경관"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1-12, 2013

      9 전영권, "지오 투어리즘(Geo-tourism)을 위한 대구 앞산 활용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517-529, 2005

      10 "지리학에 대하여"

      1 원종관, "한탄강지질탐사 일지" 지성사 2010

      2 "한국지질공원망"

      3 박종관, "한국지리여행"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2

      4 전영권, "한국의 지오투어리즘" 한국지형학회 17 (17): 53-69, 2010

      5 정필모, "지오투어리즘(Geo-tourism)을 위한 주왕산국립공원의 자연관찰로 분석" 한국지형학회 17 (17): 77-86, 2010

      6 권동희,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본 일본 산인해안(山陰海岸) 지오파크" 한국지형학회 20 (20): 103-116, 2013

      7 박종관,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본 안데스 파타고니아와 아타카마의 지형경관" 한국지형학회 20 (20): 15-28, 2013

      8 권동희,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본 베트남 하롱베이의 지형경관"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1-12, 2013

      9 전영권, "지오 투어리즘(Geo-tourism)을 위한 대구 앞산 활용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517-529, 2005

      10 "지리학에 대하여"

      11 전국지리교사모임, "지리세상을 날다" 서해문집 2009

      12 지리누리, "지리교사들 미국 서부를 가다" 푸른길 2007

      13 지리교육연구회지평, "지리교사들 남미와 만나다" 푸른길 2005

      14 한국지구과학회, "주말지질여행" 이치사이언스 2009

      15 "조트라 지리여행"

      16 권동희, "제주도 지오파크의 발전적 콘텐츠 개발 - 산방산·용머리 해안을 중심으로 -" 한국지형학회 18 (18): 1-10, 2011

      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주도" 2006

      18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제50회 국정과제회의 결과 발표문"

      19 고정아, "우리강산 지리여행" 대교출판 2000

      20 "예술의 전당"

      21 김홍민, "여행패턴의 변화, 관광공간의 진화" 강원발전연구원 190 : 2012

      22 "아제르바이잔 지리여행"

      23 "아이슬랜드 지리여행"

      24 글로북스, "세계문화여행 역사지리여행 시리즈물" 2009

      25 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 교육과정"

      26 윤웅, "북한의 지리여행" 문예산책 1995

      27 박종관, "박종관 교수의 LET’S GO! 지리여행" 지오북 2005

      28 "문화체육관광부"

      29 "러시아 지리여행"

      30 박정애, "땅이 가족의 황당 지리여행" 살림 2007

      31 "내셔널지오그래픽사"

      32 권오홍, "국민생활행태 및 여행패턴의 변화와 전망" 157 : 110-124, 1987

      33 노웅희, "교실밖 지리여행" 사계절 1994

      34 윤재진, "관광패턴의 변화와 새로운 관광상품의 등장" 40-46, 1994

      35 허남철, "고등학교 학생들의 지리 현장학습을 위한 실험적 연구 : 강원도 영월군을 사례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36 박민영, "거제도 해금강 지오투어리즘 정착을 위한 정책적 접근" 한국지역지리학회 18 (18): 175-187, 2012

      37 박경, "강원도 양구, 화천 일원의 분지 지형과 지오투어리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 19 (19): 97-108, 2012

      38 Ollier C., "Problems of geotourIsm and geodiversity" 31 (31): 57-61, 2012

      39 송재호, "IT를 활용한 제주도 온라인 여행시장 종합조사와 사이버 여행패턴에 대응하는 관광산업의 eBusiness 전략" 17 : 75-104, 2003

      40 송재호, "IT를 활용한 제주도 온라인 여행시장 종합조사와 사이버 여행패턴에 대응하는 관광산업의 eBusiness 전략" 17 : 75-104, 2003

      41 Joyce B., "Geotourism, Geosites and Geoparks: working together in Australia" 144 : 26-29, 2007

      42 Słomka T., "Geodiversity of Poland" 56 : 584-587, 2008

      43 Thomas M. F., "A geomorphological approach to geodiversity‒its applications to geoconservation and geotourism" 31 (31): 81-89, 2012

      44 이승진, "1등으로 보는 세계지리여행" 꿈꾸는 사람들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4-01-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13 1.701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