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선리논쟁의 양상과 성격의 고찰 = A view of the aspects and Characters of the zen-doctrines polemic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882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zen-doctrine polemics, which lasted more than a hundred ye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n important event in the history of Korean Zen. There are seven themes that Choui-Uisoon(草衣意恂) criticized in the Seonmoonsabyunoe(禪門四辨...

      The zen-doctrine polemics, which lasted more than a hundred ye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n important event in the history of Korean Zen.
      There are seven themes that Choui-Uisoon(草衣意恂) criticized in the Seonmoonsabyunoe(禪門四辨漫語)about the Seonmoonsugyong(禪文手鏡) of Bakpa-Geungsun(白坡亘璿). For example, the three zens related to the three phases of Linjie(臨濟三句), convey one's mind in three places, tathagata-zen and patriarch-zen, the origin of tathagata-zen and patriarch-zen, theory-zen and extraordinary-zen, a sword to that kills people and a sword to save people, complete void and subtle existence.
      On the other hand, Udam-Honggi(優曇洪基) criticized four things about Bakpa-Geungsun's view independently of Choui-Uisoon by Seonmunjaejungrok(禪門證正錄). For example, convey one's mind in three places, tathagata-zen and patriarch-zen and theory-zen and extraordinary-zen, a sword to that kills people and a sword to save people, three kinds of teachings and single teaching.
      And Suldoo-Yoohyung(雪竇有炯), fifth generation side with one's views of Bakpa-Geungsun's refuted criticism by Choui-Uisoon and Udam-Honggi, defending Bakpa-Geungsun's views by Seonwonsoryu(禪源遡流). Suldoo-Yoohyung refuted Choui-Uisoon's criticism in eight ways and also refuted Udam-Honggi's criticism in four ways.
      Chookwon-Jinha(竺源震河) took a comprehensive attitude toward the existing long-standing debate by Seonmoonjaejungrok(禪文再正錄). Chookwon-Jinha tried to resolve the already raised questions and tried to induce the meaning of zen-doctrine polemics to a positive aspect.
      The nature of these zen-doctrine polemics that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the case tha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zen-history because it showed a long-standing deepening in various topics in Korean zen-history. These zen-doctrine polimics was closely related to the identity of Korean zen, where Linjie zen-sect was the mainstre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후기에 백여 년 이상 지속되었던 선리의 논쟁은 한국선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이었다. 백파의 『선문수경』에 대하여 초의가 『선문사변만어』에서 비판했던 주제는 임제삼구와 관련...

      조선후기에 백여 년 이상 지속되었던 선리의 논쟁은 한국선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이었다. 백파의 『선문수경』에 대하여 초의가 『선문사변만어』에서 비판했던 주제는 임제삼구와 관련한 삼종선의 배대, 삼처전심, 조사선과 여래선의 선문오종의 배대, 조사선과 여래선의 유래, 격외선과 의리선, 살인도와 활인검, 진공과 묘유 등 일곱 가지였다.
      한편 우담홍기는 초의와 별도로 백파의 견해에 대하여 비판한 점은 삼처전심, 조사선과 여래선 및 의리선과 격외선, 살인도와 활인검, 삼구와 일구의 관계 등 네 가지였다. 그리고 백파의 제5세 법손이었던 설두유형은 백파의 견해를 옹호하면서 초의와 우담의 비판에 반박하였다. 설두는 초의에 대해서는 조사선과 여래선, 삼처전심과 이선, 權에 즉하여 實을 해명하는 것, 임제의 제삼구는 의리선, 살과 활, 선종오가의 배열, 진공과 묘유 등 여덟 가지였다. 또한 우담에 대해서는 삼처전심, 여래선‧조사선 및 의리선‧격외선, 살인도와 활인검, 삼구와 일구의 관계 등 네 가지였다.
      또한 禪‧敎‧律을 겸비했던 축원진하는 기존의 오랜 논쟁에 대한 종합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진하는 이미 제기된 의문점을 해소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선리논쟁의 의미를 긍정적인 측면으로 유도하려고 하였다.
      조선후기에 출현했던 이들 선리의 논쟁의 성격은 한국선종사에서 다양한 주제에 걸쳐서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심화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한국선의 특색을 잘 드러내준 사건이었다. 이 선리논쟁은 임제선종이 주류를 형성해왔던 한국선의 정체성과도 무관하지 않은 주제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광, "초의다선집" 불광출판부 2003

      2 박재현, "조선후기의 선(禪)논쟁에 내포된 원형지향성" 불교학연구회 7 : 6-182, 2003

      3 희철, "조선후기 선리논쟁 연구" 해조음 2012

      4 태기옥, "조선말기 선리논쟁 연구 : 백파와 초의의 논쟁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5 한기두, "장봉김지견박사회갑기념사우록 : 동과 서의 사유세계" 민족사 1991

      6 김영욱, "자료와 해설, 한국의철학사상" 예문서원 2001

      7 김호귀, "우담홍기의 '선문증정록'에 보이는 선리비판 고찰"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9) : 195-226, 2020

      8 김두재, "선문수경" 백파사상연구소 2011

      9 신규탁, "선문수경"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10 김영욱, "선문사변만어"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1 통광, "초의다선집" 불광출판부 2003

      2 박재현, "조선후기의 선(禪)논쟁에 내포된 원형지향성" 불교학연구회 7 : 6-182, 2003

      3 희철, "조선후기 선리논쟁 연구" 해조음 2012

      4 태기옥, "조선말기 선리논쟁 연구 : 백파와 초의의 논쟁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5 한기두, "장봉김지견박사회갑기념사우록 : 동과 서의 사유세계" 민족사 1991

      6 김영욱, "자료와 해설, 한국의철학사상" 예문서원 2001

      7 김호귀, "우담홍기의 '선문증정록'에 보이는 선리비판 고찰"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9) : 195-226, 2020

      8 김두재, "선문수경" 백파사상연구소 2011

      9 신규탁, "선문수경"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10 김영욱, "선문사변만어"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11 한기두, "백파의 선문수경" 원광사 4 : 1969

      12 하미경, "백파와 초의의 선리논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13 류순백, "백파긍선의 사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6

      14 박해당, "간화선, 그 원리와 구조" 동국대 불교학술원 종학연구소 2011

      15 "長阿含經, T1"

      16 "禪門證正錄, H10"

      17 "禪門綱要集"

      18 "禪門四辨漫語, H10"

      19 "禪源遡流, H10"

      20 "禪文手鏡, H10"

      21 "禪文再正錄, H11"

      22 "祖庭事苑, X64"

      23 하미경, "白坡亘璇의 三種禪 考察" 한국선학회 (10) : 49-90, 2005

      24 "大般涅槃經後分, T12"

      25 "大梵天王問佛決疑經, X1"

      26 김호귀, "『선원소류』에 나타난 선리논쟁의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43) : 37-64, 2020

      27 김호귀, "『선문재정록』에 나타난 선리논쟁의 성격 고찰" 원불교사상연구원 (85) : 253-279, 2020

      28 하미경, "『禪門綱要集』에 나타난 臨濟三句 考察" 보조사상연구원 (30) : 45-9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5-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stitute for uddhist Studies -> Korean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5 1.56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