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기퇴직자의 우울감과 영향요인 연구 = An Analysis on the Depress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Early Retire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591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퇴직자를 대상으로 우울감에 대한 조사를 통해 조기퇴직자의 우울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고, 조기퇴직자의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차원의 변인들과 우울 정...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퇴직자를 대상으로 우울감에 대한 조사를 통해 조기퇴직자의 우울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고, 조기퇴직자의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차원의 변인들과 우울 정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며, 우울감의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50대의 조기퇴직자 92명을 대상으로 서베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약 60%가 우울감을 느끼고 있고, 평균적으로 가벼운 기분장애 정도를 넘어 중간 정도의 우울감을 가지며, 약 27.2%는 심한 우울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조기퇴직자의 우울 수준이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관련 변인에 따른 우울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개인적 차원의 변수 중 일상생활 만족도와 자존감, 가족적 차원의 변수 중 배우자와의 의사소통 빈도와 대화만족도, 환경적 차원의 변수 중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정도, 일하고 싶은 정도, 무료함의 정도, 그리고 교육프로그램 참여여부, 퇴직준비 여부 등의 변수가 유의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조기퇴직자의 우울 정도를 예측케 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검증된 것은 일(취업)하고 싶은 정도였으며, 다음으로 중요한 요인은 배우자와의 대화만족도, 무료함의 정도로서 일과 가족이 조기퇴직자의 심리적인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다시 한 번 확인케 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거시적, 미시적 차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depression of early retirees and analyze the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on the depression. The study categorizes determinants of depression in early retirees into individual, family, and so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depression of early retirees and analyze the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on the depression. The study categorizes determinants of depression in early retirees into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 level. The respondents of survey research are 92 retirees residing in Seoul. The result shows serious level of depression among the subjects, the average retirees were suffered from moderate depression, and 27.2% of them are clinically diagnosed as severe depression. The range of reactions to early retirement is quite varied and is presumably affected by a wide variety of variables. This study examined variables to determine which particular combination could best predict the current level of depression.
      Five variables are found to be related to the depression, that is, anxiety for work, satisfaction of communication with the spouse, tedious hours, unstability of economy, and daily life satisfaction.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psychological distress is the variable of anxiety for work. We should make an effort to make changes in those intervenable variables such as work, tedious hours, unstability of economy. Finally, implications for alternatives to support early retirees from this study were provid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SOCIAL WORK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2.02 2.30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