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에서 ERP 회계교육의 효율적인운영 방안 = A Study on Improvement of ERP Accounting Education in the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76373

      • 저자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원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 경영학과 , 2010. 2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x, 63 p. ; 26cm

      • 소장기관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식혁명의 본격화, 기술혁신의 가속화, 정보화의 급진전 등으로, 세계는 점차 경쟁이 심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업에서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하...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식혁명의 본격화, 기술혁신의 가속화, 정보화의 급진전 등으로, 세계는 점차 경쟁이 심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업에서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하여 각 부문에서 만들어지는 단편적인 정보가 아닌, 기업 전체에 관련되어 산출되는 회계정보와 적시성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기업에서 기업의 자원을 각 부문이 아닌, 전사적으로 통합관리해 주는 전사적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ERP)를 도입하게 된 것이다.
      ERP는 영업에서 생산출하에 이르는 기업의 모든 업무과정을 컴퓨터를 이용해 유기적으로 연결,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최신 경영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ERP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에서도 ERP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실무자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이는 학교에서의 ERP 교육을 통하여 실무요원의 양성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ERP교육에 관한 여러 연구사례들을 문헌을 통하여 정리․분석하여 현재 실시중인 ERP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ERP 교육의 효율적인 운용방안에 모색하였고, 그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히 ERP 프로그램의 사용 방법에 대한 지도가 아닌, ERP 프로그램의 운영 원리에 대한 수업도 비중 있게 실시해야 한다.
      둘째, 실무교육 강화를 위해 일반 전산실이 아닌 전용 회계실무실습실을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에 있어서 ERP에 대한 이론은 최소화하여 활용측면에 비중을 두고, 사용능력을 습득시켜야 한다. 그리고 기초 학문으로 회계원리에서 세무회계, 원가회계의 개념까지 학생들이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ERP 교과목 관련 자격 제도를 전문분야에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자격증으로써 자리잡게 하고, 이를 학점으로 인정해 주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현장실습과의 연계를 강화로, 산업체 현장의 직무경험을 전문교과 이수 단위로 인정하는 방안을 모색과 함께, 이수결과가 자격증 취득에도 유리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e-learning 강화를 통해 조직원들에게 경쟁자들보다 앞서서 빠르게 지식을 부여함으로써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gress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with it realization of intellectual revolution, acceleration of technical innovation and rapid advance of informatization, by thus increasingly intensifying international competi...

      The progress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with it realization of intellectual revolution, acceleration of technical innovation and rapid advance of informatization, by thus increasingly intensifying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all aspects of the society. Under these circumstances, companies are forced to demand for timely accounting information over all, not fragmentary, sectors of their business in order to make decisions in a reasonable manner. In response to such needs, companies have taken measures to introduc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which will control the resources of business not from the standpoint of individual section but from the overall view of an enterprise.
      ERP may be defined to be an up-to-date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a company to control in real time all of its business processes ranging from sales through production to delivery by means of organically networked computers.
      In reality, however, it is hard for the companies intending to introduce ERP to find personnel to be assigned for ERP programming, a situation that calls upon educational institutions to start conducting ERP curriculum in order to train administrative workforce to be engaged practically in the field.
      This paper is therefore aimed at seeking methods of effectively operating ERP curriculum by reviewing and analyzing examples of studies from the concerned literature and deriving the issues from ERP education conducted currently. The suggestions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 depth class for teaching operational principles of ERP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in addition to the class for simple use of ERP programs.
      Second, an exclusive room for accounting practice should be set aside to reinforce practical training.
      Third, theoretical education of ERP should be minimized in the curriculum but a focus should be placed instead on its utilization in a try to help students enhance the ability to use it. Moreover, students should be taught fully of fundamental steps from the accounting principles to the concepts of tax accounting and cost accounting as well.
      Fourth, ways should be found to recognize publicly the proficiency in the ERP-related fields as a series of qualifications which must then be considered when rating academic grades.
      Fifth, approaches should be made to approve on-the-job experiences in the industrial field as completion of professional courses needed to acquire credits for professional subjects of the curriculum and to give advantage when winning qualifications.
      Lastly, e-learning should be intensified to let members of organizations have edge over competitors by providing them with the knowledge required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 II. ERP 교육의 배경과 체계 5
      • 제1절 ERP 시스템의 개념 5
      • I.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 II. ERP 교육의 배경과 체계 5
      • 제1절 ERP 시스템의 개념 5
      • 1. ERP 시스템의 정의 5
      • 2. ERP 시스템의 발전과정 7
      • 3. ERP 시스템의 특징 11
      • 제2절 ERP 회계의 체계 12
      • 1. 회계업무와 ERP 12
      • 2. 회계정보시스템으로서의 ERP 14
      • 3. ERP 회계시스템과 관련시스템과의 연동관계 16
      • 제3절 ERP 정보관리사 자격시험 18
      • 1. ERP 정보관리사 자격시험의 의의 18
      • 2. ERP 정보관리사 출제기준 및 합격기준 19
      • III. 선행연구와 ERP교육의 실태분석 21
      • 제1절 ERP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21
      • 1. 이광재의 연구 21
      • 2. 전찬구의 연구 26
      • 3. 윤철호, 김상훈의 연구 29
      • 4. 남궁랑의 연구 33
      • 5. 김도형, 김영렬의 연구 36
      • 6. 선행연구의 시사점 38
      • 제2절 ERP 교육과정의 실태 39
      • 1. ERP 교육과정 현황 39
      • 2. ERP 교육과정의 실태 42
      • 제3절 우리나라 ERP교육의 문제점과 장애요인 44
      • 1.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 미비 44
      • 2. 비효율적 교육 환경 45
      • 3. 기업 ERP 회계실무의 연계 미비 47
      • IV. ERP교육의 효율적 운영 방안 49
      • 제1절 ERP 교과과정의 모형 49
      • 제2절 ERP 교육방법의 개선방안 50
      • 제3절 ERP 교과목 관련 자격 제도의 개선 53
      • 제4절 e-learning을 통한 ERP 교육 55
      • V. 요약 및 결론 57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57
      •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60
      • Ⅵ. 참고문현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