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중섭 신화 연구 : 도록(圖錄)에 실린 <소(牛)> 그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5163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 예술기획 전공 , 2018.2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59.95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Lee Jung Seob's mythology : on the basis of <Bull> series in art book

      • 형태사항

        iv, 130 p. : 삽화(주로천연색)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이순
        참고문헌: p. 101-103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중섭 (1916~1956)은 박수근, 김환기, 유영국과 함께 한국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국민에게 사랑받는 예술가이다. 1972년 현대화랑에서의 《15주기 기념 이중섭 작품전》 1973년인 고은...

      이중섭 (1916~1956)은 박수근, 김환기, 유영국과 함께 한국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국민에게 사랑받는 예술가이다. 1972년 현대화랑에서의 《15주기 기념 이중섭 작품전》 1973년인 고은의 『이중섭 평전』을 시작으로 대중에게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고, 소설, 연극 그리고 영화에 이르기까지 이중섭의 생애를 담은 이야기는 시각문화로 소비되어지며 신화적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2016년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분관에서 열린 대규모 회고전 《이중섭, 백년의 신화》는 공립미술관에서의 최초의 전시였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의 최초 회고전으로도 큰 의미가 있지만 더욱 주목해야할 점은 전시명의 부제목이 ‘백년의 신화’라는 것이다. 이중섭의 신화적 요소를 걷어내고 미술사적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탈신화화’주장과 함께 작품세계에 대한 조망과 기법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던 2000년 이전의 비평 흐름과는 반대되는 입장으로 보인다. 특히 2000년대에는 이중섭 작품 중심으로의 연구가 이루어지며, ‘탈신화화’라는 비평의 흐름을 보여주었던 만큼 본 연구자는 2016년도 국립현대미술관의 전시를 기점으로 이중섭의 신화에 대한 ‘재신화’에 주목하게 되었다.
      2000년 이전에는 이중섭의 생애를 둘러싼 신화가 형성되었다면, ‘재신화’는 이중섭 작품을 중심으로 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소> 그림 중심으로 한 재신화를 찾아 볼 수 있었다. 《이중섭, 백년의 신화》 전시도록에는 이중섭의 <흰 소> 작품을 ‘조선의 소’라고 설명하기도 하고, 고구려 고분벽화의 기법을 빌어 채색기법을 설명하는데, 2000년 이전 이중섭의 ‘민족적 의식’을 고취하는 비평의 흐름을 따르는 모습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자는 1972년 전시부터 2016년도까지 주요 전시의 전시도록을 통해 이중섭 신화형성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중섭의 전시는 그의 작품세계를 조망하는 중요한 자리이며 도록은 그 기록을 총망라 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도록에는 이중섭의 비평의 흐름 중심에 있는 주요 비평가와 문인의 글이 실려 있어 이중섭 신화화에 대한 담화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준다.
      반세기가 지난 60년 만에 국립현대미술관에 입성한 이중섭은 신화 속의 이중섭이 아니라 한국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국민화가’이중섭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래 이중섭의 재신화화의 흐름을 읽어내고 이중섭의 <소> 그림을 통해 ‘재신화’하는 것이 아니라, 이중섭의 <소> 그림이 가진 본질적인 특성을 드러내고 이중섭의 예술성과 주체적인 의식이 반영된 <소> 그림으로 재고찰하는 데 의의를 두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e Jung Seob (1916~1956), with Park Soo Keun, Kim Whan Ki, and Yoo Young Kuk is an artist who represented Korean contemporary art and loved by many people. He is beginning to have the attention of the public since his posthumous work exhibition at a ...

      Lee Jung Seob (1916~1956), with Park Soo Keun, Kim Whan Ki, and Yoo Young Kuk is an artist who represented Korean contemporary art and loved by many people. He is beginning to have the attention of the public since his posthumous work exhibition at a modern gallery in 1972, and the publication of his biography by Ko-Un in 1973. Through the novel, play, and movie, the story about his life has been recreated and disseminated in the visual culture, which gives the near-mythic aura surrounding him.
      《Lee Jung Seob, The Myth of a Hundred Years》2016, a massive retrospective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in Deoksugung, Seoul, was the first exhibition at a public art museum. As the first major retrospective at MMCA, the retrospective has proven its value and importance. Another point to notice is, however, its subtitle - the myth of a hundred years. It seems like they got a conflicting view to the flow of the criticism of before the 2000’s, the necessity of studying and viewing the world of the artists’ works and technique has been on the rise along with claiming ‘demythologization’ and transferring it to an art historical position by removing Lee’s mythical element. In particular,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demythologization movement related to Lee's artworks in the 2000's and the re-mythologization trend in 2016 was a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The previous movement of mythologization happened with focus on painter's life story, while the recent "re-mythologization" is about his masterpieces like Bulls. In the exhibition catalogs. The Myth of a Hundred Years, Lee Jung Seob , commented about the work <White Bull> as “the bull of the Joseon Dynasty.” and quoting the Goguryeo's ancient tomb murals to described the painting technique. Above descriptions illustrate the fact that they follow the flow of criticism that inspired‘national consciousness’ for Lee before the 2000’s.
      In terms of methodology, I analyzed his major exhibitions from 1972 to 2016, where allows us to take a closer look at his artistic world. Additionally, I analyzed these exhibition catalogs because there are some important critiques and literary writings from other artists in it.
      Lee Jung Seob who was selected by MMCA in sixty years, is not a legendary painter that are fictional, but a "real' national artist in Korea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is study is trying to dispel the near-mythic aura surrounding Lee that was created after his death, and instead focus on the genuine art world of the arti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1. 연구의 목적 3
      • 2. 선행연구 및 연구절차 7
      • Ⅱ. 이중섭 신화의 형성 11
      • 1. 신화에 대한 비평분석 12
      • Ⅰ. 머리말 1
      • 1. 연구의 목적 3
      • 2. 선행연구 및 연구절차 7
      • Ⅱ. 이중섭 신화의 형성 11
      • 1. 신화에 대한 비평분석 12
      • 1) 2000년 이전 12
      • 2) 2000년대 18
      • 3) 2010년대 20
      • 2. 이중섭 신화에 대한 재고찰 23
      • Ⅲ. 이중섭 도록(圖錄) 연구 25
      • 1. 도록 소개 및 특징 25
      • 1) 2000년 이전 도록 25
      • 2) 2000년대 도록 34
      • 3) 2010년대 도록 36
      • 2. 도록에 실린 <소(牛)> 그림 41
      • 1) 2000년 이전 도록 42
      • 2) 2000년대 도록 56
      • 3) 2010년대 도록 58
      • Ⅴ. 이중섭 시각문화 연구 66
      • 1. 이중섭 <소(牛)> 그림과 시각문화 66
      • 1) 시각문화 흐름 분석 67
      • 2) 뉴미디어에 등장하는 이중섭의 <소> 그림 72
      • Ⅳ. 이중섭 <소(牛)> 그림의 신화화 83
      • 1. <소(牛)> 그림 재고찰 83
      • 2. <소(牛)> 그림의 주체적 의식 87
      • Ⅵ. 맺음말 95
      • 표 99
      • 참고문헌 101
      • 도판목록 104
      • 도판 115
      • 도표 119
      • Abstract 12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