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기 소년소설의 이데올로기와 ‘통합’을 위한 장르적 기획 -염상섭의 『채석장의 소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1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염상섭의 『채석장의 소년』(1950)을 중심으로 해방기 소년소설이 갖는 이데올로기적 특성과 작품 속에서 그려지는 국가 공동체의 재편 과정을 살폈다.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

      이 글은 염상섭의 『채석장의 소년』(1950)을 중심으로 해방기 소년소설이 갖는 이데올로기적 특성과 작품 속에서 그려지는 국가 공동체의 재편 과정을 살폈다.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소년소설의 ‘형식’을 취하면서도 어른들의 세계를 배경으로 ‘내용’이 펼쳐진다는 점이다. 『채석장의 소년』은 서울의 한 채석장을 중심으로 두 소년이 우정을 쌓아가는 과정을 중심으로 그려진다. 이 작품의 소년인물인 완식이와 규상이는 각각 해방 이후 귀환한 이주민과 월남민을 대표하는 인물들이다. 이런 설정은 남한 사회에 예전부터 머물던 세력과 새롭게 편입된 세력이 통합하여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해가는 과정을 비유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이다.
      소년소설은 한 개인이 자제력을 길러 사회적 규범을 받아들이는 ‘문명화 과정’의 장르이다. 그리고 헤게모니 집단의 규범을 다른 집단의 사람들이 수용하는 방식으로 국가 공동체가 통합되는 과정이 그려진다. 이 작품에서는 완식과 그의 가족들이 남한 사회에 정착하기 위한 일련의 문명화 과정이 주요하게 그려진다.
      『채석장의 소년』은 소년들의 서사와 어른들의 서사를 교차하면서 민족통합이라는 과제를 위한 화해와 관용의 태도와 함께, 지향해야 할 시대의식과 가치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그리고 염상섭이 이 시기 여러 글을 통해 기존의 고정관념과 선입견을 깨는 것을 강조했던 것을 고려해볼 때, 작가는 이런 문제의식을 토대로 새 시대의 민족의 통합은 기존의 시각과 차이를 깨고 화합하는 것에서 민주주의가 실현될 수 있음을 전달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d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 fic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national community depicted in the works, focusing on Yeom Sang-seop"s Boys in the Quarry(1950). The main char...

      This article examined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 fic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national community depicted in the works, focusing on Yeom Sang-seop"s Boys in the Quarry(1950).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is work is that while taking the ‘form’ of boy novels, the ‘content’ unfold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adult world. Boys in the Quarry is drawn around the quarry in Namsan, Seoul, and the process of building friendship among boys, Wansik and Gyusang are representative of migrants who returned from Manchuria and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respectively. This setting figuratively deals with the process of forming a new community by integrating the forces that have stayed in South Korea for a long time and newly incorporated forces.
      The juvenile fiction is a genre of ‘civilizing process’ in which an individual develops self-control and accepts social norms. And through this, the national community integrates several groups into networks of interdependence dominated by hegemony groups. In this work, a series of civilization processes are mainly depicted for completion and for his family to settle in South Korea.
      Boys in the Quarry is a work that shows the attitude of reconciliation and tolerance for the task of national unity while crossing the narrative of boys and adults. And considering that Yeom Sang-seop emphasized breaking existing stereotypes and prejudices through various writings during this period, he seemed to have tried to convey that democracy can be realized through this work by break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perspective and harmon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1. 서론
      • 2. 공동체의 신생과 소년소설의 이데올로기
      • 3. ‘알 수 있는 공동체’와 문명화 과정
      • 4. 소년과 어른의 서사적 교차와 통합의 기획
      • 국문 요약
      • 1. 서론
      • 2. 공동체의 신생과 소년소설의 이데올로기
      • 3. ‘알 수 있는 공동체’와 문명화 과정
      • 4. 소년과 어른의 서사적 교차와 통합의 기획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